리더쉽과제 - 오바마 대통령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리더쉽과제 - 오바마 대통령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기준은 리더의 행동이다. 리더의 말과 행동이 일치하는가에 따라 구성원들은 리더의 정직성을 판단하게 된다. 설령 실수를 했다 하더라도 솔직하게 인정하는 태도를 보이고 자신이 한 말은 반드시 책임지는 사람이라면 그 주위에는 사람으로 넘친다.
또한 구성원들은 정직에 못지않게 조직의 미래를 내다보는 선견지명을 지닌 리더를 원한다. 함께 나아가야 할 목표를 세울 때 주변상황이나 조직의 상황을 충분히 고려하고 미래 예측을 하는 사람은 실수가 적은 법이다. 만약 리더가 목표를 못 정하거나 나아갈 방향을 제대로 인도해주지 못한다면 어느 누구도 그를 따르고 싶다는 마음을 갖지 못할 것이다. 진정한 리더는 장기적인 안목과 목표를 가지고 어떻게 나아가야 할지 뚜렷하게 정해져 있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두번째, 변화와 혁신정신을 추구하라. - 변혁적 리더십 -
You we can change, 우리는 변화시킬 수 있고,
You we can heal this nation, 우리는 이 나라를 화합시킬 수 있으며
You we can seize our future. 우리는 우리의 미래를 붙잡을 수 있다.
이 문장은 버락 오바마의 명연설로 잘 알려져 있다. 그는 연설에서 change라는 단어를 매우 자주 사용한다. 이 변화라는 단어는 분열된 정치를 타파하고 새로운 시대가 열리기를 간절히 원하는 미국인들에게 매우 적합한 단어였다. 그리고 무조건 변화할 것만을 내세우지 않고 비전을 내세웠다.
“ 부유하든 가난하든, 흑인이든 백인이든, 히스패닉이든 아시아인이든, 우리는 이 나라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지금 미국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입니다. 변화, 이것이 미국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입니다.”
이런 비전을 들을 때 사람들은 희망으로 가득 찰 수 있었던 것이다. 또한 변화를 향한 비전과 목표가 있더라고 그 목표를 어떤 식으로 추구하느냐에 따라 사람들의 반응은 달라진다. 만약 무조건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해 명령이란 방법을 사용한다면 그것은 진정한 리더자의 모습이 아니다. 오히려 독재자의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대중 한 명 한 명이 스스로 리더자가 될 수 있다는 생각이 들도록 대중들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어야 한다.
세번째, 가치관의 다양성을 인정하라. - 다원주의적 리더십 -
2006년 오바마가 학생그룹과의 만남을 가진 후 자리에 참석했던 한 청중은 이런 말을 했다고 한다.
“버락은 자신과 의견이 같지 않은 그 사람들이 의견 차이 때문에 불편하게 느끼지 않도록 하려고 했어요.”
오바마는 포용력 있는 자세로 왜 자신이 그러한 의견을 냈는지 설득하는 태도를 취했던 것이다. 자신과 다른 의견을 가진 사람을 설득하는 것은 결코 쉬운 것이 아니다. 상대방도 자기 나름대로의 이유로 인해 그 의견을 가지고 있는 것 일테고, 나 역시 나 나름대로의 이유로 인해 의견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현대는 민주적 다원주의의 원칙에 따른다. 다원주의란 개인이나 여러 집단이 기본으로 삼는 원칙이나 목적이 서로 다를 수 있음을 인정하는 태도를 말한다. 이러한 다
  • 가격13,86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04.25
  • 저작시기2013.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11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