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1
Ⅱ. 본 론
1. 아가서 조감도
1) 전체 개요………………………………………2
2) 제 목………………………………………2
3) 저 자………………………………………2
4) 기록 연대와 장소………………………………3
5) 기록 목적………………………………………3
6) 요 점………………………………………4
7) 전체특징………………………………………4
8) 아가서에 나타난 노래의 유형과 특징………4
9) 핵심단어………………………………………5
10) 핵심절………………………………………5
11) 핵심장………………………………………5
12) 중심주제………………………………………5
2. 신학적 집필동기와 배경…………………………6
3. 문학적 형태………………………………………7
4. 내용구조………………………………………7
5. 내용분해………………………………………9
6. 아가서 해석과 논쟁
1) 풍유적 해석……………………………………9
2) 사실주의적 해석…………………………………10
3) 극적 해석………………………………………10
4) 제의적 해석…………………………………10
5) 예표론적 해석………………………………10
7. 각 장 개요 및 주해…………………………11
Ⅲ. 결론………………………………………22
Ⅳ. 참고문헌………………………………………24
Ⅱ. 본 론
1. 아가서 조감도
1) 전체 개요………………………………………2
2) 제 목………………………………………2
3) 저 자………………………………………2
4) 기록 연대와 장소………………………………3
5) 기록 목적………………………………………3
6) 요 점………………………………………4
7) 전체특징………………………………………4
8) 아가서에 나타난 노래의 유형과 특징………4
9) 핵심단어………………………………………5
10) 핵심절………………………………………5
11) 핵심장………………………………………5
12) 중심주제………………………………………5
2. 신학적 집필동기와 배경…………………………6
3. 문학적 형태………………………………………7
4. 내용구조………………………………………7
5. 내용분해………………………………………9
6. 아가서 해석과 논쟁
1) 풍유적 해석……………………………………9
2) 사실주의적 해석…………………………………10
3) 극적 해석………………………………………10
4) 제의적 해석…………………………………10
5) 예표론적 해석………………………………10
7. 각 장 개요 및 주해…………………………11
Ⅲ. 결론………………………………………22
Ⅳ. 참고문헌………………………………………24
본문내용
끼지 않았던 것이다(8, 9절). 여기서 오빠들은 누이인 술람미 여인을 ‘성벽’으로 가정하고 은망대를 그 위에 지켜주겠다고 주장한다. 이는 술람미 여인이 성장하여 결혼하기 전까지 그녀의 안전과 순결을 지켜주겠다는 은유적인 표현으로 이해할 수 있다. 즉 성벽을 지키기 위하여 성벽 위에 망대를 세우는 것처럼 자신들이 누이를 보호하는 역할을 감당하겠다는 다짐을 하는 것이다. 제자원편, 694.
이와 같은 오빠들의 노래에 대해 술람미 여인은 그들의 노고를 인정하고 바로 그들 덕분에 자신이 정숙하고 현명한 여인으로 솔로몬의 사랑을 받을 수 있었음을 노래한다(10절). 그리고 이러한 오빠들의 도움에 보답하기 위해 친정에 대한 도움을 약속하는 술람미 여인의 노래가 뒤따른다(11, 12절).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본문은 어린 시절에 대한 회상을 통해 한 여인으로서 그리고 한 남자의 아내로서 당당하게 선 술람미 여인의 진정한 아름다움을 부각시킨다. 그런 의미에서 본문은 순결의 중요성과 더불어 그리스도의 영적 신부인 교회가 영적 순결을 도모해야만 하는 당위를 재고하게 만든다. 한명수 편저,「리더스 바이블리포트」제8권「전도서 아가」, 682.
8:13-14 남편과 아내의 마지막 교창 : 본문은 술람미 여인의 오빠들이 술람미 여인이 정숙한 여자가 될 때까지 든든한 후견자가 되어 주었던 일에 대한 언급(8-12절)에 이어 마지막으로 모든 갈등과 반목의 시간을 뒤로한 남편과 아내의 마지막 교창을 기록한다. 또한 본문은 본서의 종결 부분으로 매우 짧은 형태로 제시되었지만 완전한 신뢰속에서 성숙한 사랑을 이룬 남편과 아내의 정겨운 음성을 생생하게 전달한다. 먼저 남편은 아내의 음성을 들음으로써 자신을 향한 그녀의 사랑을 확인하고 기쁨을 얻기 원한다(13절). 이러한 남편의 요청에 아내는 결혼전에 남편에 대해 묘사했던 바(2:9) ‘나의 사랑하는 자야 너는 빨리 달리라 향기로운 산 들에서 노루와도 같고 어린 사슴과도 같아여라’(14절)를 반복해서 노래함으로 남편에 대한 자신의 사랑이 변함없이 지속되고 있음을 분명하게 보여준다. 이와 같은 남편과 아내의 마지막 교창을 통해 남편이신 그리스도와 그의 아내인 교회의 교제 가운데 풍성히 넘쳐나는 기쁨을 묘사한다. 한명수 편저, 682.
8:6 투기(ha;n_qi, 킨아)라는 말의 보다 적절한 번역은 ‘뜨거운 사랑’이며(Keil and Delitzsch) 또한 ‘그 기세가 여호와의 불 같다’는 말은 마치 하나님께서 일으킨 불처럼 신랑 신부 두 사람의 사랑이 결코 소멸되거나 약하여지지 않는다는 의미를 강조하기 위한 상징적 표현이다.
8:13 동무들(rbej, 하베림) : 이웃사람, 가족 그리고 신부의 친구들 등 신부와 가까운 다양한 대상을 가리키는 포괄적인 호칭으로 볼 수 있다. 한명수 편저, 593-6.
Ⅲ. 결론
할렐루야~이상으로, 22번째 성경인 아가서는 인간의 사랑과 결혼을 통하여, 하나님이 우리들에게 허락하신 선물. 즉, 원래 한 몸이었던, 우리 사람들의 근본을 깨닫게 됨으로써, 나뉘었던 몸이 둘이 짝하여 연합하고, 다시 한 몸이 되는 하나님의 섭리를 깨닫게 해 주심을 알게 한다.
창세기에서의 네피림의 등장. 이것은 세상이 성을 순수하고 거룩하게 여기지 아니하고, 정상적인 방법을 벗어나고, 완악하고, 왜곡시키며, 악용한 데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요즘 시대에도 대단히 많은 결혼들이 사랑과 책임과 헌신의 부족으로 파기되어지고 있기 때문에, 오히려 성경 속에 하나님께서 건전하고 순수한 사랑을 승인하는 아가서가 포함되는 것은 유익한 일이 되는 것이다.
궁극적으로, 아가서의 해석에 있어서 모형적(예표적) 원리를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그 이유는 아가서의 내용인 솔로몬과 술람미 여인의 결혼이 그리스도와 교회의 영적 연합의 모형이기 때문이다. 예수 그리스도 자신이 친히 교회의 신랑인 사실을 말씀하신 바 있다(마 9:15, 25:1).
그가 이 말씀을 하실 때에 설혹 아가서를 염두에 두시지 않았다 하더라도 부부의 제도 자체가 그리스도와 교회의 영적 연합에 대한 비유라고, 성경이 밝히 증거한다.
사도 바울은 말하기를, “내가 너희를 정결한 처녀로 한 남편인 그리스도께 드리려고 중매함이로다”라고 하였고(고후 11:2), 또 “이러므로 사람이 부모를 떠나 그 아내와 합하여 그 둘이 한 육체가 될지니 이 비밀이 크도다. 내가 그리스도와 교회에 대하여 말하노라”고 하였다(엡 5:31-32). 계 19:7에는 교회를 가리켜 그리스도(“어린 양”)의 “아내”라고 하였다.
구약성경에는 숨어 있듯이 기록되어 있지만, 신약을 모르고는 이해가 될 수 없는 예수 그리스도와 교회와의 관계. 그 크고도 비밀한 하나님의 섭리를 다시한번 아가서에서 느끼게 해 주시고, 깊은 감사와 감동을 주신 하나님께 영광을 돌립니다.
한 학기 동안 수고해 주시고 큰 가르침 주신 이은애 교수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리고, 주일사역에 육신의 지친 몸으로 수업에 참여하여 함께 배움과 나눔으로 도움주신 목회반 원우 여러분의 우정에도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우리 모두 등불에 기름준비한 지혜로운 다섯 처녀처럼 신랑되신 예수님의 다시 오심을 기다리며, 늘 깨어 준비하고 있는 저와 여러분이 되기를 소망합니다. 아멘.
Ⅳ. 참고문헌
강병도 편.「호크마 종합주석」제16권「전도서아가」서울: 기독지혜사, 1993.
전봉준.「Power 라이프 성경」, 서울: 기독지혜사, 2001.
제자원편.「그랜드종합주석」제9권 서울: 성서 교재 간행사, 1994.
제자원편.「옥스퍼드 원어성경대전」제54권「전도서아가」서울: 제자원, 2006.
크로스종합주석 제9권.「시편아가잠언전도서」서울: 시내, 1994.
트리니티 말씀대전 제15권.「전도서아가」서울: 목양서원, 1994.
한명수 편저.「리더스 바이블리포트」제8권「전도서아가」서울: 제자원, 2002.
도날드 글렌, 잭 디어.「두란노 BKC강해주석시리즈」제12권「전도서아가」전계상, 홍지훈 역. 서울: 두란노 서원, 2006.
Redford, R.A, Caffin, B.C. The pulpit commentary, 이명희역.「풀핏 성경주석 아가」서울: 보문출판사, 1981.
이와 같은 오빠들의 노래에 대해 술람미 여인은 그들의 노고를 인정하고 바로 그들 덕분에 자신이 정숙하고 현명한 여인으로 솔로몬의 사랑을 받을 수 있었음을 노래한다(10절). 그리고 이러한 오빠들의 도움에 보답하기 위해 친정에 대한 도움을 약속하는 술람미 여인의 노래가 뒤따른다(11, 12절).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본문은 어린 시절에 대한 회상을 통해 한 여인으로서 그리고 한 남자의 아내로서 당당하게 선 술람미 여인의 진정한 아름다움을 부각시킨다. 그런 의미에서 본문은 순결의 중요성과 더불어 그리스도의 영적 신부인 교회가 영적 순결을 도모해야만 하는 당위를 재고하게 만든다. 한명수 편저,「리더스 바이블리포트」제8권「전도서 아가」, 682.
8:13-14 남편과 아내의 마지막 교창 : 본문은 술람미 여인의 오빠들이 술람미 여인이 정숙한 여자가 될 때까지 든든한 후견자가 되어 주었던 일에 대한 언급(8-12절)에 이어 마지막으로 모든 갈등과 반목의 시간을 뒤로한 남편과 아내의 마지막 교창을 기록한다. 또한 본문은 본서의 종결 부분으로 매우 짧은 형태로 제시되었지만 완전한 신뢰속에서 성숙한 사랑을 이룬 남편과 아내의 정겨운 음성을 생생하게 전달한다. 먼저 남편은 아내의 음성을 들음으로써 자신을 향한 그녀의 사랑을 확인하고 기쁨을 얻기 원한다(13절). 이러한 남편의 요청에 아내는 결혼전에 남편에 대해 묘사했던 바(2:9) ‘나의 사랑하는 자야 너는 빨리 달리라 향기로운 산 들에서 노루와도 같고 어린 사슴과도 같아여라’(14절)를 반복해서 노래함으로 남편에 대한 자신의 사랑이 변함없이 지속되고 있음을 분명하게 보여준다. 이와 같은 남편과 아내의 마지막 교창을 통해 남편이신 그리스도와 그의 아내인 교회의 교제 가운데 풍성히 넘쳐나는 기쁨을 묘사한다. 한명수 편저, 682.
8:6 투기(ha;n_qi, 킨아)라는 말의 보다 적절한 번역은 ‘뜨거운 사랑’이며(Keil and Delitzsch) 또한 ‘그 기세가 여호와의 불 같다’는 말은 마치 하나님께서 일으킨 불처럼 신랑 신부 두 사람의 사랑이 결코 소멸되거나 약하여지지 않는다는 의미를 강조하기 위한 상징적 표현이다.
8:13 동무들(rbej, 하베림) : 이웃사람, 가족 그리고 신부의 친구들 등 신부와 가까운 다양한 대상을 가리키는 포괄적인 호칭으로 볼 수 있다. 한명수 편저, 593-6.
Ⅲ. 결론
할렐루야~이상으로, 22번째 성경인 아가서는 인간의 사랑과 결혼을 통하여, 하나님이 우리들에게 허락하신 선물. 즉, 원래 한 몸이었던, 우리 사람들의 근본을 깨닫게 됨으로써, 나뉘었던 몸이 둘이 짝하여 연합하고, 다시 한 몸이 되는 하나님의 섭리를 깨닫게 해 주심을 알게 한다.
창세기에서의 네피림의 등장. 이것은 세상이 성을 순수하고 거룩하게 여기지 아니하고, 정상적인 방법을 벗어나고, 완악하고, 왜곡시키며, 악용한 데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요즘 시대에도 대단히 많은 결혼들이 사랑과 책임과 헌신의 부족으로 파기되어지고 있기 때문에, 오히려 성경 속에 하나님께서 건전하고 순수한 사랑을 승인하는 아가서가 포함되는 것은 유익한 일이 되는 것이다.
궁극적으로, 아가서의 해석에 있어서 모형적(예표적) 원리를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그 이유는 아가서의 내용인 솔로몬과 술람미 여인의 결혼이 그리스도와 교회의 영적 연합의 모형이기 때문이다. 예수 그리스도 자신이 친히 교회의 신랑인 사실을 말씀하신 바 있다(마 9:15, 25:1).
그가 이 말씀을 하실 때에 설혹 아가서를 염두에 두시지 않았다 하더라도 부부의 제도 자체가 그리스도와 교회의 영적 연합에 대한 비유라고, 성경이 밝히 증거한다.
사도 바울은 말하기를, “내가 너희를 정결한 처녀로 한 남편인 그리스도께 드리려고 중매함이로다”라고 하였고(고후 11:2), 또 “이러므로 사람이 부모를 떠나 그 아내와 합하여 그 둘이 한 육체가 될지니 이 비밀이 크도다. 내가 그리스도와 교회에 대하여 말하노라”고 하였다(엡 5:31-32). 계 19:7에는 교회를 가리켜 그리스도(“어린 양”)의 “아내”라고 하였다.
구약성경에는 숨어 있듯이 기록되어 있지만, 신약을 모르고는 이해가 될 수 없는 예수 그리스도와 교회와의 관계. 그 크고도 비밀한 하나님의 섭리를 다시한번 아가서에서 느끼게 해 주시고, 깊은 감사와 감동을 주신 하나님께 영광을 돌립니다.
한 학기 동안 수고해 주시고 큰 가르침 주신 이은애 교수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리고, 주일사역에 육신의 지친 몸으로 수업에 참여하여 함께 배움과 나눔으로 도움주신 목회반 원우 여러분의 우정에도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우리 모두 등불에 기름준비한 지혜로운 다섯 처녀처럼 신랑되신 예수님의 다시 오심을 기다리며, 늘 깨어 준비하고 있는 저와 여러분이 되기를 소망합니다. 아멘.
Ⅳ. 참고문헌
강병도 편.「호크마 종합주석」제16권「전도서아가」서울: 기독지혜사, 1993.
전봉준.「Power 라이프 성경」, 서울: 기독지혜사, 2001.
제자원편.「그랜드종합주석」제9권 서울: 성서 교재 간행사, 1994.
제자원편.「옥스퍼드 원어성경대전」제54권「전도서아가」서울: 제자원, 2006.
크로스종합주석 제9권.「시편아가잠언전도서」서울: 시내, 1994.
트리니티 말씀대전 제15권.「전도서아가」서울: 목양서원, 1994.
한명수 편저.「리더스 바이블리포트」제8권「전도서아가」서울: 제자원, 2002.
도날드 글렌, 잭 디어.「두란노 BKC강해주석시리즈」제12권「전도서아가」전계상, 홍지훈 역. 서울: 두란노 서원, 2006.
Redford, R.A, Caffin, B.C. The pulpit commentary, 이명희역.「풀핏 성경주석 아가」서울: 보문출판사, 1981.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