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외과] SDH(경막하 출혈, subdural hemorrhage)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경외과] SDH(경막하 출혈, subdural hemorrhage)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원인
2. 빈도
3. 증상
4. 진단
5. 치료
6. 간호
7. 예후
8. 참고문헌

본문내용

통하여 혈액이 나오지 않거나 심한 출혈로 세척액이 깨끗해지지 않으면 개두술이나 보다 큰 구멍이 필요하다.
적응증 - Burr hole은 또한 뇌척수액을 외부로 배액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데 이 경우에는 의심되는 환부를 2.5cm정도 절개한다.
6. 간호
(1) 적절한 뇌관류를 유지한다.
- 침상머리 상승체위유지, 목의 과도신전 예방
- 삼투성 이뇨제: 뇌부종 완화
- 염증완화를 위한 corticosteroid 투여 후 혈액과 소변 검사를 시행한다.
- 수분섭취를 제한: ICP 상승 방지 위함
- 정맥수액 천천히 주입: 수분과다, 뇌부종 예방
(2) 호흡을 유지한다.
- 기관 내 삽관 및 인공호흡기 적용: 동맥혈 산소량 유지와 과도호흡 유지시킨다.
- 진정제, 진통제 투여 시 의식저하와 호흡기 억압 발생 가능하므로 주의한다.
- 분비물 흡입하기 전 과다환기: 저산소증, 뇌압상승 방지
(3)영양상태를 유지한다.
- 뇌손상 환자는 위산 과다 분비되어 위장관 궤양 및 출혈위험 있으므로 위산생성의 자극을 억제하는 약물을 투여한다.
(4)인지기능을 증진시킨다.
(5)손상을 방지한다.
- 사지 억제 최소화(흥분, 긴장으로 인하여 icp상승 가능)
- *사지 ROM운동: 경축으로 인한 기형 예방
7. 예후
(1) 급성 SDH: 나쁘다. 사망률이 50% 이상이나 나이가 어리고 수술 당시 의식이 있거나 수술을 빨리 한 경우에는 비교적 예후가 좋다.
(2) 만성 SDH: 수술 후 간질 발작이 10% 정도 있다. 75% 가 치유되어 정상생활이 가능하다.
8. 참고문헌
- 군자출판사: 신경계 중환자간호
- 성인간호학: 수문사
  • 가격2,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3.04.30
  • 저작시기2009.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21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