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1.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문헌고철
Ⅱ본론
1.기초자료(간호사정을 위한 지침)
2.간호진단과 간호문제 목록
3.간호계획 기록지
4.진행기록지
5.퇴원요약지
Ⅲ결론
1.결론
2.참고문헌
1.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문헌고철
Ⅱ본론
1.기초자료(간호사정을 위한 지침)
2.간호진단과 간호문제 목록
3.간호계획 기록지
4.진행기록지
5.퇴원요약지
Ⅲ결론
1.결론
2.참고문헌
본문내용
Protein
-
6.3
6.4
6.0~8.0g/dl
Albumin
-
3.8
4.2
3.3~5.2g/dl
Globulin
-
2.5
2.2
2~3.5g/dl
A/G ratio
-
1.5
1.9
1.3~2.2
cholesterol
-
116
163
110~240mg/dL
Bilirubin
-
0.2
-
0.2~1.5mg/dL
AST
-
50△
26
0~40U/L
ALT
-
46△
19
0~40U/L
ALP
-
142△
176△
42~98U/L
Glucose
-
194△
108
70~110mg/dL
BUN
-
11.3
4.1▼
10-26U/L
creatinine
-
0.19▼
0.16▼
0.7-1.4mg/dl
BUN&cr
-
59.5△
25.6△
13.3~20
Estimate GFR
-
100
100
60~150ml/min
Uric acid
-
1.1▼
-
2.4~6mg/dL
Ca
-
9.7
-
8.4~10.2mg/dL
CRP
-
0.52△
0.03
0~0.3mg/dL
뇨검사
내용
09.11.17
09.12.30
정상치
Color
amber
amber
amber
Turbidity
clear
clear
clear
S.G
1.025
1.024
1.005-1.030
pH
6.5
5
4.5-8
Albumin
75+
negative
- TR
Glucose
1000++++
negative
negative
Ketone
negtive
negative
negative
Occult blood
150+++
negative
negative
Urobilinogen
normal
normal
normal
Nitrite
negative
negative
negative
(2009.10.15)
① 환아의 검사결과
SMN 1 gene homozygous deletion : detected
=> spinal muscular atrophy
② 환아의 부*모, 언니의 검사 결과
SMN1/SMN2 gene deletion : detected(heterozygous)
NAIP gene homozygous deletion : Not detected
기타 검사
혈액응고 검사 : 정상 (2009.11.17)
Chest AP, Pelvis & HP AP : 정상 (2009.11.17)
도플러 검사 : 정상 (2009.11.17)
*치료 : 근본적이고 효과적인 치료방법은 없으며 침범 부위에 따른 증상완화에 초점을 두고
치료와 간호를 실시한다.
*합병증 및 예후 : 합병증으로는 제한성 폐질환, 영양결핍, 골격계의 변형등이 있으며 예후
좋지 않은 편이다.
2. 간호진단과 문제목록
일련번호
발생일
간호진단/문제
해결일
서 명
#1.
10.1.5
연하장애와 관련된 비효율적 수유
10.1.11
#2.
10.1.6
기관*기관지의 분비물과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청결
10.1.12
#3.
10.1.7
PEG*T-cannula 부위의 부적절한 관리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10.1.13
3. 간호계획 기록지
간호진단/간호문제
(일렬번호)
간호목표/
기대되는 결과
간호중재
이론적 근거
#1
[단기목표]
5일이내 체중이
0.5kg 이상 증가한다.
[장기목표]
2주 후 대상자는
정상적으로 수유한
다.
①10.1.5 3pm30
*의식상태 : alert
*연하기능 : 연하장애
있음.
*체중
-12.29일 8.5kg
-1.5일 8.0kg
(0.5kg감소)
②PEG 통해 수유하는 것을 관찰 하였다.(10.1.5. 6pm)
-오전 10시 30분에 구강간호를 시행한 것을 기록을 통해 확인하였다. (10.1.5.7pm)
③환자가 4시간 간격으로 120cc우유를 먹고 있는 것을 기록을 통해 확인하였다(10.1.5.7pm)
-feeding전*후/약물
투여 전*후 물을 주는 것을 관찰하였다.
(10.1.5. 6pm)
④잔류량이 100cc이상인 경우 feeding을 하지 않고 30분 뒤 다시 잔류량을 확인해 보도록 설명하였다.(10.1.5 4pm)
-연하장애가 있을 경우
위관영양을 실시하면 기도흡인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
-적절한 칼로리를 유지하고 수분을 공급하는 것은
신체에 적절한 에너지를 공급하고 체액균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하다.
#2
[단기목표]
대상자는 5일 이내
산소포화도가 95%이상으로 증가한다.
[장기목표]
지속적인 치료를 통해 2주 후 기도 내 분비물의 양이 1/2로 감소한다.
①산소포화도/호흡음 측
정 결과 94%/그르렁거림(+) <10.1.6. 3pm30>
②suction을 시행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10.1.6. 4pm>
③진해거담제를 투여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10.1.6. 6pm>
*ambroxol 30mg/PO*
④가습기를 적용하고 있는 모습을 확인하였다.
<10.1.6. 3pm30>
⑤흉부물리요법에 대해
교육한 것을 기록을 통해 확인하였다. <10.1.6. 5pm>
(교육내용은 퇴원요약지에 있음)
-기도*기관지에 분비물이 차있게 되면 호흡이 용이하지 못하개 되어 산소포화도가 감소할 수 있다.
-호흡음을 측정하면 기도내 분비물의 여부를 알 수 있다.
-가습기는 분비물을 묽게 하여 배출을 용이하도록 해준다.
#3
[단기목표]
대상자는 5일이내에
발적된 부위가 1/2 로 감소한다.
[장기목표]
2주 후 대상자는
WBC수치를 5000
mm³ 이상으로 유지한다.
①10.1.7.7pm 혈액검사 상 WBC수치 기록을 확인하였다.
*09.11.17 =8180mm³
*09.12.2 =6750mm³
*09.12.29 =4950mm³
(점점 감소하고 있는 양상 보임)
②PEG, T-cannula 부위의 감염증상 및 징후를 사정한 결과 =발적되어있는 모습 확인
<10.1.7.3pm30>
③매일 오전 10시 30분경PEG,T-cannla 부위를
dressing 하는 것을 기록을 통해 확인하였다.
<10.1.7.7pm>
④감염예방법에 대하여
교육하였다.
<10.1.7.4pm>
(교육내용은 퇴원요약지에 있음)
-감염이 되었을 경우
WBC수치가 상승한다.
-감염증상 및 징후를 사정하는 것은 감염유무를 판단할수 있도록 도와준다.
-감염되지
-
6.3
6.4
6.0~8.0g/dl
Albumin
-
3.8
4.2
3.3~5.2g/dl
Globulin
-
2.5
2.2
2~3.5g/dl
A/G ratio
-
1.5
1.9
1.3~2.2
cholesterol
-
116
163
110~240mg/dL
Bilirubin
-
0.2
-
0.2~1.5mg/dL
AST
-
50△
26
0~40U/L
ALT
-
46△
19
0~40U/L
ALP
-
142△
176△
42~98U/L
Glucose
-
194△
108
70~110mg/dL
BUN
-
11.3
4.1▼
10-26U/L
creatinine
-
0.19▼
0.16▼
0.7-1.4mg/dl
BUN&cr
-
59.5△
25.6△
13.3~20
Estimate GFR
-
100
100
60~150ml/min
Uric acid
-
1.1▼
-
2.4~6mg/dL
Ca
-
9.7
-
8.4~10.2mg/dL
CRP
-
0.52△
0.03
0~0.3mg/dL
뇨검사
내용
09.11.17
09.12.30
정상치
Color
amber
amber
amber
Turbidity
clear
clear
clear
S.G
1.025
1.024
1.005-1.030
pH
6.5
5
4.5-8
Albumin
75+
negative
- TR
Glucose
1000++++
negative
negative
Ketone
negtive
negative
negative
Occult blood
150+++
negative
negative
Urobilinogen
normal
normal
normal
Nitrite
negative
negative
negative
(2009.10.15)
① 환아의 검사결과
SMN 1 gene homozygous deletion : detected
=> spinal muscular atrophy
② 환아의 부*모, 언니의 검사 결과
SMN1/SMN2 gene deletion : detected(heterozygous)
NAIP gene homozygous deletion : Not detected
기타 검사
혈액응고 검사 : 정상 (2009.11.17)
Chest AP, Pelvis & HP AP : 정상 (2009.11.17)
도플러 검사 : 정상 (2009.11.17)
*치료 : 근본적이고 효과적인 치료방법은 없으며 침범 부위에 따른 증상완화에 초점을 두고
치료와 간호를 실시한다.
*합병증 및 예후 : 합병증으로는 제한성 폐질환, 영양결핍, 골격계의 변형등이 있으며 예후
좋지 않은 편이다.
2. 간호진단과 문제목록
일련번호
발생일
간호진단/문제
해결일
서 명
#1.
10.1.5
연하장애와 관련된 비효율적 수유
10.1.11
#2.
10.1.6
기관*기관지의 분비물과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청결
10.1.12
#3.
10.1.7
PEG*T-cannula 부위의 부적절한 관리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10.1.13
3. 간호계획 기록지
간호진단/간호문제
(일렬번호)
간호목표/
기대되는 결과
간호중재
이론적 근거
#1
[단기목표]
5일이내 체중이
0.5kg 이상 증가한다.
[장기목표]
2주 후 대상자는
정상적으로 수유한
다.
①10.1.5 3pm30
*의식상태 : alert
*연하기능 : 연하장애
있음.
*체중
-12.29일 8.5kg
-1.5일 8.0kg
(0.5kg감소)
②PEG 통해 수유하는 것을 관찰 하였다.(10.1.5. 6pm)
-오전 10시 30분에 구강간호를 시행한 것을 기록을 통해 확인하였다. (10.1.5.7pm)
③환자가 4시간 간격으로 120cc우유를 먹고 있는 것을 기록을 통해 확인하였다(10.1.5.7pm)
-feeding전*후/약물
투여 전*후 물을 주는 것을 관찰하였다.
(10.1.5. 6pm)
④잔류량이 100cc이상인 경우 feeding을 하지 않고 30분 뒤 다시 잔류량을 확인해 보도록 설명하였다.(10.1.5 4pm)
-연하장애가 있을 경우
위관영양을 실시하면 기도흡인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
-적절한 칼로리를 유지하고 수분을 공급하는 것은
신체에 적절한 에너지를 공급하고 체액균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하다.
#2
[단기목표]
대상자는 5일 이내
산소포화도가 95%이상으로 증가한다.
[장기목표]
지속적인 치료를 통해 2주 후 기도 내 분비물의 양이 1/2로 감소한다.
①산소포화도/호흡음 측
정 결과 94%/그르렁거림(+) <10.1.6. 3pm30>
②suction을 시행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10.1.6. 4pm>
③진해거담제를 투여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10.1.6. 6pm>
*ambroxol 30mg/PO*
④가습기를 적용하고 있는 모습을 확인하였다.
<10.1.6. 3pm30>
⑤흉부물리요법에 대해
교육한 것을 기록을 통해 확인하였다. <10.1.6. 5pm>
(교육내용은 퇴원요약지에 있음)
-기도*기관지에 분비물이 차있게 되면 호흡이 용이하지 못하개 되어 산소포화도가 감소할 수 있다.
-호흡음을 측정하면 기도내 분비물의 여부를 알 수 있다.
-가습기는 분비물을 묽게 하여 배출을 용이하도록 해준다.
#3
[단기목표]
대상자는 5일이내에
발적된 부위가 1/2 로 감소한다.
[장기목표]
2주 후 대상자는
WBC수치를 5000
mm³ 이상으로 유지한다.
①10.1.7.7pm 혈액검사 상 WBC수치 기록을 확인하였다.
*09.11.17 =8180mm³
*09.12.2 =6750mm³
*09.12.29 =4950mm³
(점점 감소하고 있는 양상 보임)
②PEG, T-cannula 부위의 감염증상 및 징후를 사정한 결과 =발적되어있는 모습 확인
<10.1.7.3pm30>
③매일 오전 10시 30분경PEG,T-cannla 부위를
dressing 하는 것을 기록을 통해 확인하였다.
<10.1.7.7pm>
④감염예방법에 대하여
교육하였다.
<10.1.7.4pm>
(교육내용은 퇴원요약지에 있음)
-감염이 되었을 경우
WBC수치가 상승한다.
-감염증상 및 징후를 사정하는 것은 감염유무를 판단할수 있도록 도와준다.
-감염되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