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홍시가 [부모님에게 바치는 노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홍시가 [부모님에게 바치는 노래]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장르에 대한 전반적 특성
 2) 작품의 보편적 의미
 3) 작품에 대한 나의 감상
 4) 작품 다시 쓰기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5자(字) 내외로 구성된 정형시라고 할 수 있다. 시조는 3행으로 1연을 이루며, 각 행은 4보격(四步格)으로 되어 있고, 이 4보격은 다시 두 개의 숨묶음으로 나누어져 그 중간에 사이쉼을 넣게 되어 있다. 그리고 각 음보는 3 또는 4개의 음절로 구성되는 것이 보통이다. 이제 그 기본형을 도시(圖示)하면 다음과 같다.
초장 3 4 4 4
중장 3 4 4 4
종장 3 5 4 3
그러나 이 기본형은 어디까지나 하나의 가상적인 기준형에 지나지 않는 것이고, 절대 불변하는 고정적인 제약을 받는 것은 아니다. 우리말 자체의 성질에서 오는 신축성이 어느 정도 허용되는 규준이다. 먼저 음수율을 살펴보면 3 4 또는 4 4조가 기본운율로 되어 있다. 이 기본운율에 1음절 또는 2음절 정도를 더 보태거나 빼는 것은 무방하다. 그러나 종장은 음수율의 규제를 받아 제1구는 3음절로 고정되며, 제2구는 반드시 5음절 이상이어야 한다. 이 같은 종장의 제약은 시조 형태의 정형(整型)과 아울러 평면성을 탈피하는 시적 생동감을 깃들게 한다. 다음 구수율(句數律)을 살펴보면 이광수(李光洙) 이은상(李殷相)은 12구체로 파악한 일이 있고, 이병기(李秉崎)는 초장과 중장을 각각 2구로 보고 종장의 특이성을 살리기 위하여 종장만을 4구로 보아 8구체를 주장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안확(安廓) 조윤제(趙潤濟) 등은 6구체를 주장해왔으며, 오늘에 와서는 6구체로 보는 것이 정설로 인정되고 있다. 6구체로 볼 경우의 구수(句數)는 제각기 두구절씩 짝이 되어 하나의 행(行), 즉 한 장(章)을 이루고 있다. 이상과 같은 음수율과 구수율을 지닌 기준형에 해당하는 모든 시조를 단형시조(短型詩調) 또는 평시조(平詩調)라고 부르는데, 그 보기는 다음과 같다.
이시렴 브디 갈 아니가든 못쏜냐
無端이 슬튼야 의 말을 드럿는야
그려도 하 애도애라 가는 을 닐러라
《해동가요》
그리고 종장 제1구를 제외한 어느 구절이나 하나만 길어진 것을 중형시조(中型詩調) 또는 엇시조라 부르고, 두 구절 이상이 길어진 것을 장형시조(長型詩調) 또는 사설시조(辭說詩調)라고 부른다. 사설시조는 대개 중장이 길어지는 경우가 많은데, 엇시조와 사설시조의 보기를 차례로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압못세 든 고기들아 뉘라셔 너를 모라다가
넉커늘 든다
北海 沼를 어듸 두고 이못세 와 든다
들고도 못나 情은 네오오 다르랴
《화원악보(花源樂譜)》
개를 여라믄이나 기르되 요 개 치 얄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05.02
  • 저작시기201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25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