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제 20장 근골격 질환
1. 골(뼈) 질환
근 골격계는 운동계라고도 할 수 있으며 골(뼈), 관절, 근육 등으로 구성된다. 근골격 질환은 다른 장기 병변과 비교해 외관상의 형태와 운동의 이상이 나타남으로 비교적 질병을 파악하기 쉽다. 스포츠와 그에 따른 외상이나, 특정 운동에 수반하여 일어나기 쉬운 장애가 있다. 또, 고령화 사회가 진행되어 가고 있으므로 퇴행성 관절염, 골다공증을 비롯한 노인성 병변이 문제가 되고 있다.
1) 정상구조
골은 그 형상의 차이에 의해 상완골, 대퇴골 등의 장골, 수족골 등의 단골 그리고 골반골(장골)과 같은 편평골로 나누어 진다. 골 조직은 콜라겐과 무코단백 특히 오스테오넥틴과 오스테오칼신 등으로 이루어지는 단백 기질의 바탕위에 칼슘과 인을 포함하는 히드록시아파타이트가 침착하여 단단한 조직을 만들고 있다. 한번 생긴 뼈는 그 형태가 변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다른 조직과 마찬가지로 흡수와 재건을 반복하여 끊임없이 변화되고 있다. 뼈의 gjud성에는 골모세포, 뼈의 파괴 및 흡수에는 파골세포가 관여하고 있다.
2) 대사 장애
(1) 골희박화
뼈는 체중 부하와 외부로부터 운동자극을 받아 강화되지만, 그 자극이 가해지지 않으면 폐용성 골희박화, EH는 골감소증이라고 한다. 즉, 골기질내의 칼슘이 빠져나가는 상태가 일어난다. 이들의 원인에는 골기질 결핍에 의한 골다공증, 칼슘 침착이 부족한 골연화증 그리고 부갑상선기능항진에 의한 낭성 섬유골염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2) 골다공증
뼈의 기질과 인이나 칼슘을 함유하는 염의 비율이 정상의 비율을 유지한 채 전체 골량이 감소해가는 상태를 골다공증이라고 한다. 대부분은 50세 이후의 고령자 특히 폐경 후의 여성에게 볼 수 있는 것으로, 여성호르몬의 결핍도 원인의 하나라고 생각되고 있다. 몸의 무게를 지탱하는 뼈는 척추의 체부와 대퇴골의 경부이기 때문에 척추가 압박을 받아 변형하고, 등과 허리가 구부러지는 척추후굴증이 되어 노인 특유의 체형이 된다. 또는 대퇴골 경부에 골다공증이 오면 노인에서 대퇴골 골절이 잘 일어난다. 골다공증에서는 골량이 감소하여 치밀도가 허술하게 되고, 척추체는 높이가 줄어들고, 중앙은 함몰된다.
(3) 구루병과 골연화증
비타민 D는 음식물을 통하여 흡수되거나 햇빛의 작용에 의해서 체내에서 합성되어 간에 25-OH-비타민 D로 저장된다. 비타민 D의 결핍이 있으면, 혈중의 칼
1. 골(뼈) 질환
근 골격계는 운동계라고도 할 수 있으며 골(뼈), 관절, 근육 등으로 구성된다. 근골격 질환은 다른 장기 병변과 비교해 외관상의 형태와 운동의 이상이 나타남으로 비교적 질병을 파악하기 쉽다. 스포츠와 그에 따른 외상이나, 특정 운동에 수반하여 일어나기 쉬운 장애가 있다. 또, 고령화 사회가 진행되어 가고 있으므로 퇴행성 관절염, 골다공증을 비롯한 노인성 병변이 문제가 되고 있다.
1) 정상구조
골은 그 형상의 차이에 의해 상완골, 대퇴골 등의 장골, 수족골 등의 단골 그리고 골반골(장골)과 같은 편평골로 나누어 진다. 골 조직은 콜라겐과 무코단백 특히 오스테오넥틴과 오스테오칼신 등으로 이루어지는 단백 기질의 바탕위에 칼슘과 인을 포함하는 히드록시아파타이트가 침착하여 단단한 조직을 만들고 있다. 한번 생긴 뼈는 그 형태가 변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다른 조직과 마찬가지로 흡수와 재건을 반복하여 끊임없이 변화되고 있다. 뼈의 gjud성에는 골모세포, 뼈의 파괴 및 흡수에는 파골세포가 관여하고 있다.
2) 대사 장애
(1) 골희박화
뼈는 체중 부하와 외부로부터 운동자극을 받아 강화되지만, 그 자극이 가해지지 않으면 폐용성 골희박화, EH는 골감소증이라고 한다. 즉, 골기질내의 칼슘이 빠져나가는 상태가 일어난다. 이들의 원인에는 골기질 결핍에 의한 골다공증, 칼슘 침착이 부족한 골연화증 그리고 부갑상선기능항진에 의한 낭성 섬유골염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2) 골다공증
뼈의 기질과 인이나 칼슘을 함유하는 염의 비율이 정상의 비율을 유지한 채 전체 골량이 감소해가는 상태를 골다공증이라고 한다. 대부분은 50세 이후의 고령자 특히 폐경 후의 여성에게 볼 수 있는 것으로, 여성호르몬의 결핍도 원인의 하나라고 생각되고 있다. 몸의 무게를 지탱하는 뼈는 척추의 체부와 대퇴골의 경부이기 때문에 척추가 압박을 받아 변형하고, 등과 허리가 구부러지는 척추후굴증이 되어 노인 특유의 체형이 된다. 또는 대퇴골 경부에 골다공증이 오면 노인에서 대퇴골 골절이 잘 일어난다. 골다공증에서는 골량이 감소하여 치밀도가 허술하게 되고, 척추체는 높이가 줄어들고, 중앙은 함몰된다.
(3) 구루병과 골연화증
비타민 D는 음식물을 통하여 흡수되거나 햇빛의 작용에 의해서 체내에서 합성되어 간에 25-OH-비타민 D로 저장된다. 비타민 D의 결핍이 있으면, 혈중의 칼
추천자료
심장질환
심혈관계질환
심혈관계질환
만성질환 노인 보건교육 계획안
정신질환 - PTSD, 아스퍼거 증후군
중증질환
말초동맥질환
정신질환과 귀신들림
[소화기, 소화기계, 소화기관, 소화기 질환]소화기(소화기계, 소화기관)의 구조와 기능, 소화...
[심장][심장 개요][심장 정의][심장 위치][심장 구조][심장 기능][혈액순환][심장 질환][장애...
[구강, 구강보건사업, 구강악습관, 구강병예방, 구강위생, 구강보건, 구강보건교육, 구강간호...
간호학특론4C) 건강신념모형을 적용한 의료이용행위분석에 대해 논하시오. 급성질환자와 만성...
[허혈성 심질환] 협심증 및 심근경색의 원인과 증상 및 치료방법(식사요법-식이요법, 약물요...
정신질환자를 위한 음악치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