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목차
서 론 - 표준화란?
현지화란?
본 론 - 성공사례
실패사례
결 론 - 표준화와 현지화
소감 및 느낀점
현지화란?
본 론 - 성공사례
실패사례
결 론 - 표준화와 현지화
소감 및 느낀점
본문내용
의 사례에서도 볼수 있듯이 유통경로를 내부화 하는 경우에 비해 투자규모를 대폭 줄일 수 있다.
3)4P 전략
product
price
promotion
place
현지화된 제품
-카레맛 제품
당분강화된 제품
디자인
-노란색바탕의
코끼리그림 삽입
야채가격의 1.5배~2배
의 중저가
씨리얼을 이용할 수 있는 음식을 소개하면서 영양을 강조
합작 투자한 현지기업
인 패리스사의 기존 유통망이용
여기서 촉진전략 중 광고전략에 대해 약간 설명을 할 필요가 있다. 우리가 새롭게 내세운 전략은바로 간접마케팅전략이다. 그리고 이러한 간접 마케팅 전략을 요약한 것이 바로 STAR프로그램을 들수 있는데 이는 96년 한국 켈로그에서 본격 도입해 켈로그 본사가 세계 마케팅 표준으로 채택한 기발한 프로그램이다.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단순화(Simplify)시켜 소비자인식을 전환(TakeAction), 자연스럽게 소비를 늘리고(Accelerate Consumption), 장기적으로 켈로그 브랜드에 대한 이미지를 구축(Realize Short Term Volume And Build Long Term Equity)하자는 내용이 요체가 된다. 보통 5개월의 단기간을 주기로 한 주제 아래 학술회의 광고 교육 등을 집중적으로 실시하는 이 프로그램의 주 광고내용도 제품보다는 ‘아침식사를 거르지 말자’, ‘머리에 영양까지’, ‘튼튼하고 날씬하게’ 등 영양을 주제로 한 슬로건 위주의 카테고리 광고가 주류를 이룬다.
그리고 켈로그 영양마케팅의 또 다른 한 축은 ‘영양교육’. 소비의 80%를 차지하는 어린이층을 위해 주로 초등학교와 유치원생을 대상으로 강의식 교육이나 비디오방영 등을 실시한다. 한국에서는아침식사의 중요성이나 몸에 꼭 필요한 영양소에 대한 교육을 주 내용으로 국내 5백여 초등학교에배포된 비디오자료는 교육방송(EBS)과 공동으로 만화식으로 제작돼 아이들에 인기를 끌고 있다. 물론 여기에도 켈로그 제품에 대한 언급은 한마디도 없다. 이런 교육 자료는 켈로그 본사로 보내지며해외마케팅을 책임지고 있는 ‘글로벌켈로그’팀이 자료를 취합해 각국 켈로그지사에 참고자료로 보내주고 있다.
인도진출 실패에 따른 방안
지금까지 우리는 본론에서 켈로그가 기존에 인도시장에 진출하여 실패한 사례를 살펴보고 이를 분석하여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였다. 인도시장은 BRICs(2000년대를 전후해 빠른 경제성장을 거듭하고 있는 브라질·러시아·인도·중국 등 신흥경제 4국을 일컫는 경제용어)의 I(India)의 하나로 빠른 경제성장과 많은 인구를 보유하고 있는 국가들을 일컫는다. 사실 인도는 약 10억이 넘는 인구와 함께 2억 5천만이라는 잠재적 소비자가 있는 미개척 시장이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많은 외국기업들에게 있어서 인도 진출은 사업 확장을 위해 선택이 아닌 필수요소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는 추세인데 인도 진출을 시도하는 기업 중 상당수가 거대하고 복잡한 인도만의 시장특성을 사전에 정확하게 파악하는 소홀히 해 진출에 실패하게 되는 경우도 종종 찾아볼 수 있다. 켈로그 역시 이러한 측면에서 실패요인을 찾을 수 있었다. 우리가 켈로그로부터 다음과 같은 교훈을 얻을 수 있었다.
1. 진출하고자하는 시장의 문화를 학습하라.
2. 자사제품을 지역 특색에 맞게 현지화함으로써 더 큰 시장기회를 얻을 수 있다.
3. 소비자들의 문화를 거스르지 말자.
켈로그는 인도인들의 아침식사 습관을 조금씩 변화시키고는 있지만 켈로그의 성장과 발전에 있어서 가격 요인은 앞으로도 가장 큰 장애물로 작용할 것이라고 한다. 인도 시장에서의 고전은 유독 켈로그만의 전유물은 아니다. 많은 글로벌 선도 브랜드들이 시장을 정확하게 평가하지 못한 결과로 실패를 경험해야 했다. 우리나라의 많은 기업들도 해외로 진출하고 있는 상황에서 앞에서 본 바와 같이 해외시장에 진출을 결정하기에 앞서 그 시장의 사전학습을 철저히 하여야만 켈로그처럼 쓴맛을 보지 않을 것이다.
실패사례 ②
롯데리아 중국시장 마케팅 실패
롯데리아(Lotteria)는 주식회사 롯데리아(LOTTERIA Co.,Ltd.)가 경영하고 있는 햄버거 중심의 패스트푸드 체인 음식점이다. 일본을 시작으로 대한민국, 대만, 베트남에 지점을 두고 있다.
롯데리아의 점포 수는 국가별로 한국 790군데, 대만 6군데, 베트남 16군데(2006년 1월 기준), 일본 469군데(2007년 9월 기준)이다.
회사 연혁
1979.10.25 주식회사 롯데리아 법인체 설립 (초대 대표이사:신준호) 1979.10.25 국내 최초 패스트푸드점 소공점 오픈(1호점) 1989.12.28 본사 이전 (서울특별시 용산구 갈월동 98-6) 1990. 5. 1 품질관리실 설치 운영 1992. 3.28 국내 최초 100호점 개점 (대학로점) 1993. 9. 1 중국 북경진출 합작사 설립 1993.10.28 중국 합작 조인 1994.11.25 중국 북경 롯데리아 1호점 개점 (북경 전문점) 1997. 5.31 중국 하얼빈 진출 (하얼빈 추림점 개점) 1997. 9. 7 중국 하얼빈 중앙점 개점 2000. 4. 500호점 개점(호남터미널점) 커피사업진출 \'JAVA COFFEE\' 2000. 9. 1 신제품 새우라이스버거 출시 2000.10. 2 ISO9001 인증 획득
2000.12 600호점 개점. 매출 5000억 돌파 롯데리아의 중국시장 진출
사회주의 정치체제에 시장경제를 과감히 도입한 중국은 연평균 8~9%의 경제성장을 계속해 왔다. 경제규모는 이미 우리나라를 앞서고 있고, 8%정도의 경제성장을 지속한다고 가정할 경우 2020년에는 미국을 앞지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시장의 이러한 가능성 만을 보고 섣불리 투자했다가 실패하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충분한 분석과 이해를 바탕으로 한 마케팅을 소홀히 했기 때문이다.
입맛 맞추기-마케팅등서 참패…속속 철수
전문가 \"대중적 아이템으로 승부해야 성공\"
중국 외식시장의 장벽은 너무 높은가.` 국내 외식업체들이 일찌감치 중국 시장으로 눈을 돌려 잇달아 매장을 개설하고 본격 영업에 나섰으나 번번히 실패, 중국에서 속속
3)4P 전략
product
price
promotion
place
현지화된 제품
-카레맛 제품
당분강화된 제품
디자인
-노란색바탕의
코끼리그림 삽입
야채가격의 1.5배~2배
의 중저가
씨리얼을 이용할 수 있는 음식을 소개하면서 영양을 강조
합작 투자한 현지기업
인 패리스사의 기존 유통망이용
여기서 촉진전략 중 광고전략에 대해 약간 설명을 할 필요가 있다. 우리가 새롭게 내세운 전략은바로 간접마케팅전략이다. 그리고 이러한 간접 마케팅 전략을 요약한 것이 바로 STAR프로그램을 들수 있는데 이는 96년 한국 켈로그에서 본격 도입해 켈로그 본사가 세계 마케팅 표준으로 채택한 기발한 프로그램이다.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단순화(Simplify)시켜 소비자인식을 전환(TakeAction), 자연스럽게 소비를 늘리고(Accelerate Consumption), 장기적으로 켈로그 브랜드에 대한 이미지를 구축(Realize Short Term Volume And Build Long Term Equity)하자는 내용이 요체가 된다. 보통 5개월의 단기간을 주기로 한 주제 아래 학술회의 광고 교육 등을 집중적으로 실시하는 이 프로그램의 주 광고내용도 제품보다는 ‘아침식사를 거르지 말자’, ‘머리에 영양까지’, ‘튼튼하고 날씬하게’ 등 영양을 주제로 한 슬로건 위주의 카테고리 광고가 주류를 이룬다.
그리고 켈로그 영양마케팅의 또 다른 한 축은 ‘영양교육’. 소비의 80%를 차지하는 어린이층을 위해 주로 초등학교와 유치원생을 대상으로 강의식 교육이나 비디오방영 등을 실시한다. 한국에서는아침식사의 중요성이나 몸에 꼭 필요한 영양소에 대한 교육을 주 내용으로 국내 5백여 초등학교에배포된 비디오자료는 교육방송(EBS)과 공동으로 만화식으로 제작돼 아이들에 인기를 끌고 있다. 물론 여기에도 켈로그 제품에 대한 언급은 한마디도 없다. 이런 교육 자료는 켈로그 본사로 보내지며해외마케팅을 책임지고 있는 ‘글로벌켈로그’팀이 자료를 취합해 각국 켈로그지사에 참고자료로 보내주고 있다.
인도진출 실패에 따른 방안
지금까지 우리는 본론에서 켈로그가 기존에 인도시장에 진출하여 실패한 사례를 살펴보고 이를 분석하여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였다. 인도시장은 BRICs(2000년대를 전후해 빠른 경제성장을 거듭하고 있는 브라질·러시아·인도·중국 등 신흥경제 4국을 일컫는 경제용어)의 I(India)의 하나로 빠른 경제성장과 많은 인구를 보유하고 있는 국가들을 일컫는다. 사실 인도는 약 10억이 넘는 인구와 함께 2억 5천만이라는 잠재적 소비자가 있는 미개척 시장이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많은 외국기업들에게 있어서 인도 진출은 사업 확장을 위해 선택이 아닌 필수요소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는 추세인데 인도 진출을 시도하는 기업 중 상당수가 거대하고 복잡한 인도만의 시장특성을 사전에 정확하게 파악하는 소홀히 해 진출에 실패하게 되는 경우도 종종 찾아볼 수 있다. 켈로그 역시 이러한 측면에서 실패요인을 찾을 수 있었다. 우리가 켈로그로부터 다음과 같은 교훈을 얻을 수 있었다.
1. 진출하고자하는 시장의 문화를 학습하라.
2. 자사제품을 지역 특색에 맞게 현지화함으로써 더 큰 시장기회를 얻을 수 있다.
3. 소비자들의 문화를 거스르지 말자.
켈로그는 인도인들의 아침식사 습관을 조금씩 변화시키고는 있지만 켈로그의 성장과 발전에 있어서 가격 요인은 앞으로도 가장 큰 장애물로 작용할 것이라고 한다. 인도 시장에서의 고전은 유독 켈로그만의 전유물은 아니다. 많은 글로벌 선도 브랜드들이 시장을 정확하게 평가하지 못한 결과로 실패를 경험해야 했다. 우리나라의 많은 기업들도 해외로 진출하고 있는 상황에서 앞에서 본 바와 같이 해외시장에 진출을 결정하기에 앞서 그 시장의 사전학습을 철저히 하여야만 켈로그처럼 쓴맛을 보지 않을 것이다.
실패사례 ②
롯데리아 중국시장 마케팅 실패
롯데리아(Lotteria)는 주식회사 롯데리아(LOTTERIA Co.,Ltd.)가 경영하고 있는 햄버거 중심의 패스트푸드 체인 음식점이다. 일본을 시작으로 대한민국, 대만, 베트남에 지점을 두고 있다.
롯데리아의 점포 수는 국가별로 한국 790군데, 대만 6군데, 베트남 16군데(2006년 1월 기준), 일본 469군데(2007년 9월 기준)이다.
회사 연혁
1979.10.25 주식회사 롯데리아 법인체 설립 (초대 대표이사:신준호) 1979.10.25 국내 최초 패스트푸드점 소공점 오픈(1호점) 1989.12.28 본사 이전 (서울특별시 용산구 갈월동 98-6) 1990. 5. 1 품질관리실 설치 운영 1992. 3.28 국내 최초 100호점 개점 (대학로점) 1993. 9. 1 중국 북경진출 합작사 설립 1993.10.28 중국 합작 조인 1994.11.25 중국 북경 롯데리아 1호점 개점 (북경 전문점) 1997. 5.31 중국 하얼빈 진출 (하얼빈 추림점 개점) 1997. 9. 7 중국 하얼빈 중앙점 개점 2000. 4. 500호점 개점(호남터미널점) 커피사업진출 \'JAVA COFFEE\' 2000. 9. 1 신제품 새우라이스버거 출시 2000.10. 2 ISO9001 인증 획득
2000.12 600호점 개점. 매출 5000억 돌파 롯데리아의 중국시장 진출
사회주의 정치체제에 시장경제를 과감히 도입한 중국은 연평균 8~9%의 경제성장을 계속해 왔다. 경제규모는 이미 우리나라를 앞서고 있고, 8%정도의 경제성장을 지속한다고 가정할 경우 2020년에는 미국을 앞지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시장의 이러한 가능성 만을 보고 섣불리 투자했다가 실패하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충분한 분석과 이해를 바탕으로 한 마케팅을 소홀히 했기 때문이다.
입맛 맞추기-마케팅등서 참패…속속 철수
전문가 \"대중적 아이템으로 승부해야 성공\"
중국 외식시장의 장벽은 너무 높은가.` 국내 외식업체들이 일찌감치 중국 시장으로 눈을 돌려 잇달아 매장을 개설하고 본격 영업에 나섰으나 번번히 실패, 중국에서 속속
키워드
추천자료
성공과 실패 사례로 본 프리미엄 브랜드 관리 전략
프랜차이징 성공 전략 사례(세븐일레븐, 맥도날드, 스냅 온, 경영, 마케팅, 유통, 구조, 체계...
프랜차이징 국내, 국외 사례, 장단점, 놀부, 뚜레쥬르, 맥도날드(장점, 단점, 경영, 전략, 마...
삼성전자와 소니의 경영 전략 비교, 성공, 실패, 사례, 분석, 전망
[롯데리아] 기업 경영 마케팅 사례 전략분석 및 성공, 실패 요인 과 해외 진출, 경쟁사 분석
삼성의 세계화 전략 및 현지화 전략, 성공사례
SM타운의 세계화-현지화 전략 성공인가 실패인가
서구다국적 기업의 한국시장에서 현지화전략,맥도날드현지화전략,구글현지화전략,네슬레현지...
[경영학개론] 미래의 기업 경영환경 변화에 대한 분석 및 예측방법과 대응전략에 대하여 기술...
코카콜라음료,코카콜라기업분석,펩시콜라경쟁,콜라의역사,글로벌현지화마케팅전략사례,브랜드...
싸이월드 [Cyworld] 비즈니스 모델(과거성공, 현재 실패), 비즈니스 모델 제안 및 향후 목표 ...
WALMART 월마트 기업분석과 글로벌 성공요인& 월마트 글로벌 경영전략과 SCM도입과 빅데...
글로벌 전략 현지화 전략,스타벅스현지화전략사례,BBQ 글로벌전략 현지화전략,서비스마케팅,...
기업의 경영정보시스템구축 사례를 하나 선정하여 전략수립방안을 살펴보고, 구축사례가 성공...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