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카콜라음료,코카콜라기업분석,펩시콜라경쟁,콜라의역사,글로벌현지화마케팅전략사례,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사례분석,swot,stp,4p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코카콜라음료,코카콜라기업분석,펩시콜라경쟁,콜라의역사,글로벌현지화마케팅전략사례,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사례분석,swot,stp,4p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기업소개 ………………………………………………………… 2
1) 코카콜라음료(주) ………………………………………………… 2
2) 펩시코(PepsiCo) ………………………………………………… 4

2. 경쟁관계분석 …………………………………………………… 6
1) 콜라 경쟁 ……………………………………………………… 6
2) 콜라 外 경쟁 ……………………………………………………10

3. 기업 전략 분석 …………………………………………………13
1) SWOT분석 …………………………………………………… 13
2) STP 분석 ……………………………………………………… 19
3) 4P 분석 ………………………………………………………… 21
4) 마케팅 비교 분석 ……………………………………………… 28
4. 경쟁 전략 제시 …………………………………………………36
1) 코카콜라 경쟁 전략 ………………………………………………37
2) PepsiCo 경쟁 전략 ………………………………………………43

참고문헌……………………………………………………………… 51

본문내용

를 미국인들의 뿌리이며 지켜야 할 문화적 가치로 생각하게 되었다. 뉴코크의 실패로 회사의 전망이 불투명했던 것을 원조 코카콜라를 되돌림으로써 오히려 펩시콜라와 경쟁이래 최대의 격차를 벌이며 판매 1위 자리를 굳혔다. 또한 코카콜라 1주년인 1986년에는 최고 판매기록을 갈아 치우게 되었다.
펩시콜라는 뉴코크 출시 이후 원조 코카콜라와 비슷한 톡 쏘는 콜라인 새로운 콜라를 출시할 계획인 “슈프림 프로젝트”를 구상 중에 있었으나 원조 코카콜라의 부활로 물거품이 되었다.
이후 언론에서는 \'100년 콜라전쟁\'에서 코카콜라가 승리했다고 보도하였으며, 펩시는 다시금 떨어지는 자신의 점유율을 바라만 볼 수 밖에 없었다. 이 승리는 코카콜라는 단 한번도 콜라시장에서 1위 자리를 내주지 않으며 콜라시장의 1위를 공고히 지키게 되었다.
제 2의 콜라 전쟁 ‘제로 전쟁’
펩시와 코카콜라는 2007년 일본 제로전쟁으로 불리는 탄산음료를 둘러싼 싸움을 크게 벌였다. 펩시는 비만의 주범으로 지목받고 있는 탄산음료에 대한 인식 개선을 위해 제로칼로리 콜라 개발에 열을 올리게 되었다. 기존 다이어트 펩시와 코카콜라의 다이어트 코크가 있었지만 두 제품 모두 맛이 없다는 이유로 시장에서 철저히 외면 받고 있었고, 명목만 유지하고 있었다. 이럴 때 펩시는 일본에서 펩시콜라 유통을 맡고 있는 산토리사와 제휴하여 ‘펩시 Nex\'를 개발하기에 이른다.
이제껏 펩시 콜라가 기존 미국펩시 본사의 원액으로 타 국가에 판매해 왔으나,
펩시 Nex는 일본에서 처음으로 본사에서 개발하지 않고 산토리사와의 합작에 의해 개발된 제품이다.
코카콜라에도 Coca-Cola light라는 다이어트 콜라가 기존에 존재하고 있었으나
맛이 싱거워 사람들이 좋아하지 않았다.
산토리사는 \' 맛있는 제로칼로리 콜라\'를 만들 수 없을까에 착안하여 펩시Nex를 만들었다. 일본에서는 대사증후군(만성적 대사장애로 당뇨,고혈압,고지혈,비만등이 동시에 나타나는 질환)이 사회적 관심을 끌면서 건강분야 시장의 성장이 기대를 모으고 있었으며, 이에 따라 저칼로리 콜라를 요구하게 되었다. 펩시Nex의 광고는 \'맛이 좋다\'에 집중하여 홍보하였고 일본의 다이어트 콜라 시장에 큰 바람을 불어왔다.
이에 위기감을 느낀 코카콜라 사에서도 Coca-Cola zero 를 내세워 새롭게 다이어트 콜라 전쟁을 벌이고 있다.
2등기업이 1등기업을 따라갈 때에는 대부분 1등기업의 강점을 모방하여 자사만의 스타일로 발전시키는 데에 있다. 펩시 Nex역시 코카콜라의 light제품을 강화 시켰으며, 코카콜라도 이에 뒤지지않고 2등기업의 펩시넥스를 모방 강화하여 Coca-Cola zero 를 생산하여 경쟁하고 있다.
다이어트 콜라 시장에서 뒤 진 코카콜라는 일본에서는 아무로 나미에 , 한국에서는 2PM을 광고 모델로 기용하 면서 그들의 멋진 몸은 규칙 적인 운동과 제로 칼로리 콜 라 덕분이라는 이미지를 심 어주어 뒤처진 일본 및 한국 시장에서의 마케팅으로 큰 효과를 볼 것이며 펩시와의 다시한번 콜라 경쟁이 치열 할 것으로 전망된다.
2) 콜라 외의 경쟁
콜라 외에 비타민워터나 각종 차, 두유 등 코카콜라와 펩시코는 여러 가지 음료 시장에서도 경쟁관계를 가지고 있다. 단순하게 비탄산제품들이 비탄산제품들끼리의 시장에서만 경쟁하는 것이 아니라, 본원적 편익 수준의 경쟁으로 확대하여 볼 때, 비탄산음료로 각 경쟁사의 주력 상품인 콜라와도 경쟁하고 있다. 실제로도 탄산음료가 건강에 안 좋다는 인식이 탄산음료 구매자들을 비탄산음료 구매로 돌아서게 만드는 최근의 트렌드를 감안하면, 비탄산음료들도 경쟁사의 모든 음료제품과 경쟁관계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미국 내에서는 소아비만이 심각한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으며 그 원인으로 패스트 푸드와 탄산음료가 꼽히고 있다. 이에 소아비만에 관심이 많은 영부인 미셸 오바마의 지원으로 탄산음료의 교내 판매금지가 일부 주에서 시행되고 있으며, 미국 전역에 적용되는 법 제정을 추진 중이다. 미국 정부는 식음료 기업들에게 건강식품을 만들라고 압박을 가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사회적 분위기는 탄산음료 회사의 이미지나 수익 모두에 큰 영향을 끼칠 것이다.
2004년까지 미국 내 탄산음료 소비량은 연간 5,570만톤까지 확대되었고, 전체 음료시장 중 탄산음료의 비중도 28.7%까지 늘어났으나, 2005년 이후 마이너스 성장에 돌입하였다. 그래서 펩시는 더이상 탄산음료 시장에서 싸우지 않기로 했다. 이후 건강음료와 스낵에 집중할 수 있는 전략을 수립했다. 스포츠 음료와 주스업체를 인수, 게토레이와 트로피카나 같은 음료를 출시하여 시장에 승부수를 던졌다. 동시에 다양한 브랜드의 스낵을 출시했다. 또 웰빙제품이라는 이미지를 전달하기 위해 트랜스 지방이 없는 제품을 최초로 생산하였으며 건강에 좋은 원료로 제품을 만들어 이를 적극적으로 홍보하였다. 웰빙 바람을 타고 음료시장에서 탄산음료의 비중은 지속적으로 줄어들었으며 펩시 제품의 판매는 호조를 이어갔다. 2004년에 펩시는 코카콜라의 매출액을 앞질렀고, 2005년 말에는 드디어 코카콜라의 시가총액을 따돌렸다 2009년 펩시는 연 10억 달러 이상 판매되는 브랜드를 18개나 보유했으며 23개를 보유한 P&G에 이어 세계 2위의 브랜드 보유 기업이 되었다.
코카콜라는 펩시의 이런 혁신적인 전략을 뒤늦게 간파했지만 , 대응할 방법이 없었다. \'코카콜라\' 브랜드가 너무나도 강력해 소비자들의 머리속에는 \'콜라= 탄산음료\' 로만 기억되었기 때문이다 코카콜라는 건강음료나 과자와 연결될 수 없는 한정된 브랜드로 입지가 좁아졌다.
비탄산음료 시장이나 과자시장으로 사업을 확장하려고 해도 일등 브랜드의 영광이 오히려 장애가 되었다. 펩시는 이부분을 미리 노려 콜라시장을 내주고 건강음료 시장과 식품시장을 선점, 확보한 것이다.
펩시는 탄산음료 뿐 아니라 소비자들 사이에서 꿈틀거리고 있던 건강음료에 대한 수요를 먼저 읽고 대처한 결과 2인자의 설움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코카콜라도 뒤 늦게 펩시의 비탄산음료 시장에서의 위협과 미래 탄산음료의 장래를 파악하여 비타민워터, 주스, 두유 등 여러 가지 제품군을 마련함으로서 펩시와의 음료시장 경쟁에 바짝 뒤

추천자료

  • 가격4,000
  • 페이지수33페이지
  • 등록일2014.04.17
  • 저작시기2014.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139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