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치료)가족치료의 개념, 사정, 모델, 사회복지 실천에서의 가족치료 적용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가족치료)가족치료의 개념, 사정, 모델, 사회복지 실천에서의 가족치료 적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가족치료의 주요 개념들
1.1 일반체계이론      1.2 사이버네틱스     1.3 가족항상성
1.4 가족생활주기      1.5 가족의 경계      1.6 의사소통

2. 가족치료의 사정
2.1 가족사정의 정의         2.2 가족사정시 파악사항 
2.3. 가족 내 역동에 대한 사정    2.4 가족사정의 방법

3. 가족치료의 모델
3.1 가족치료의 주요 모델
 1) 구조적 가족치료
 (1) 이론적 배경 (2) 주요 개념 (3) 진단 (4) 치료 과정 (5) 치료 방법
 2) 경험적 가족치료
 (1) 기본 전제 (2) 주요 개념 (3) 문제의 초점 (4) 치료 목표
 (5) 치료 과정(변화 단계)  (6) 치료 기법  (7) 치료이론에 대한 평가
 3) 전략적 가족치료
 (1) 이론과 개념들 (2) 치료목표 (3) 치료기법 (4) 치료이론에 대한 평가
 4) 해결중심 가족치
 (1) 주요 개념 (2) 해결중심의 치료목표 (3) 치료기법 (4) 치료 단계 (5) 치료자의 역할
 5) 정신분석학적 가족치료
 (1) 이론과 개념들 (2) 치료목표 (3) 치료기법 (4) 치료이론에 대한 평가
 6) Bowen 가족치료
 (1) 이론배경과 주요개념 (2) 가족치료 목표 (3) 진단 (4) 치료기술
 (5) 치료자의 역할 (6) 요약
 7) 행동주의 가족치료
 (1) 이론과 개념들 (2) 치료 목표 (3) 치료 기법  (4) 치료이론에 대한 평가
 8) 의사소통 가족치료(Communication Family Therapy)
 (1) 주요 원리   (2) 주요 개념 (3) 문제의 초점 (4) 치료 목표
 (5) 치료 기법   (6) 치료의 네 단계 절차
3.2 사회복지 실천에서의 가족치료 적용
 
<참고문헌>

본문내용

벗어나 객관적으로 감정을 정리할 수 있는 여유를 제공한다. 가족 조각에서의 우스꽝스러운 자세라든가, 치료자의 능숙하게 표현된 유머가 편안한 분위기를 만든다.
⑥ 접촉(touch)
사티어는 가족 구성원과 초기 단계에 악수를 한다든가 하는 접촉을 사용한다. 격려하기 위한 가벼운 어깨 두드림, 상담실로 안내하기 위한 손잡음 등 지나치지 않은 접촉은 가족성원들의 저항을 감소시키는 비언어적 지지가 된다.
⑦ ‘나의 표현(\'I\' statement)
구성원 각자 자신의 기분, 느낌, 소망이 초점이 되는 이야기를 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함으로써 자기를 표현하고 이해시키는 방법을 알게 한다. 그 상황은 혼란스럽다로 말하는 것이 아니라 내가 혼란스럽다 로 말하게 한다.
⑧ 치료도구로서의 밧줄(rope as therapeutic tools)
가족 구성원 수만큼의 밧줄을 준비하여 각자의 허리에 묶어 서로간의 관계를 상징하도록 밧줄을 묶어 보라고 시킨다. 구성원들은 밧줄의 묶임과 엉킴 상태를 보고 경직된 관계 및 연결 상태를 인식하고, 엉킴을 풀기 위한 방법을 말함으로써 가족관계를 개선시키는 방법을 알게 된다.
⑨ 관계의 해부(anatomy of relationship)
가족 조각과 역할놀이를 통해 가족관계에서 계약된 것들에 대해 언급한다. 예를 들어, 만약 부인이 남편에게 의지하기 위해 결혼을 했으면 그녀는 남편 뒤에 서서 그의 목을 안고 기대는 자세를 취한다. 두 사람 모두 그들의 느낌을 말로 표현하게 한다. 그 후 부인은 더 강하게 남편의 목을 안고 그에게 기댄다. 다시 그들의 느낌을 표현하도록 한다. 다음에는 역할을 바꾸어 해본다. 이 기법은 사티어가 부부로 하여금 최근의 관계를 어떻게 보고 앞으로 관계가 어떻게 될지를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한 것이다.
⑩ 가족 재구축(family reconstruction)
가족성원 중 한 사람이 재구축의 중심인물이 되어 가족의 역상에서 중요한 사건들을 설명하세 하거나, 3대에 걸친 가족들의 이름과 그들의 성격을 56개의 형용사로 묘사하여 가족도를 만든다. 또한 가족관계를 수레바퀴로 나타나게 하는데, 중심인물을 수레바퀴의 축으로 가운데 두고 그가 성장하면서 맺었던 관계를 수레바퀴 살의 두께로 관계의 중요성을 나타내는 원을 그리게 한다. 이들 가족사나 가족관계 등 어떤 장면을 가족이 연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족관계의 왜곡이 어디에서 연유하는지를 찾게 한다. 사티어는 가족의 의사소통 유형, 항상성, 자기존중, 가족규칙 등을 중요시하였으며 치료방법으로 가족조각, 비유, 역할극, 재구성, 가족도표 등을 많이 사용하였다.
(7) 치료이론에 대한 평가
① 경험주의적 접근법의 주요한 기여는 무엇보다도 가족 구성원 개개인과 가족의 전반적 발달을 통한 성장을 강조한 행동주의 기법으로 조각, 의사소통 입장, 가족의 재구축, 은유 및 시간과 공간의 혁신적 활용, 또한 감정과 일차적 과정을 강조한 점이다. 이런 기법들을 가족원의 가정이 개방적으로 표현될 수 있고 충동을 더 잘 통합하게 하는 방법이므로, 부부간의 불평들을 감소시키고 적응성을 증가시키는 데 효과적임이 입증되어 왔다.
② 경험주의적 가족치료의 가장 좋은 점은 사람들이 그들 자신의 잠재적 생명력을 발견하도록 돕는 것이다. 더 나아가 이러한 개인적인 발견이 가족 내에서 이루어 질 때 진실로 가족관계는 생기 있게 될 수 있다.
3) 전략적 가족치료(Strategic Family Therapy)
주요인물 : MRI Group, Jay Haley, Cloe Madanes, Palazzoli, Boscolo, Cecchin, Erickson
전략적 가족치료의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한 사람은 헤일리(Haley)이며 마다네스(Madanes) 그리고 MRI의 와츠래비크Watzlawick 와 위클랜드, 휘쉬 등이 유명하다.
전략적 치료는 원래 헤일리(Haley, 1973)가 에릭슨(Erickson)의 관점과 개입방법을전략적 치료(strategic therapy)\"라고 명명한 데서 비롯되며, 에릭슨의 전략적 접근을 사용하여 제시된 문제를 해결하는 특성을 갖는 치료모델을 통칭하는 말이다.전략적 가족치료의 독특성은 가족 간의 문제 해결을 위해 새로운 전략을 고안하는 것이며, 다른 이론보다 상당히 단순하고 실용적이다.
전략적 가족치료는 여러 가지 형태가 있지만, 기본적으로 치료자가 가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략을 고안하는 데 주안점을 둔다. 전략적 가족치료자는 인간의 문제 행동이 왜 일어 났는지에는 관심이 없으며, 단지 행동의 변화에만 관심을 가진다. 즉, 문제행동을 변화시키는 해결방법을 기술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목표를 설정할 때는 반드시 가족의 호소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포함한다.
치료자는 문제해결을 위해 새롭고 기발한(novel)전략을 고안해야 하며, 치료의 목적은 가족문제의 원인이 되는 특정한 행동을 변화시키는 것에 초점을 두게 된다.
(1) 이론과 개념들
① 전략적 가족치료자들은 가족문제에 대한 가족성원들의 이해(understanding)나 통찰력을 변화시키기보다는 문제를 지속시키는 행동을 변화(change)시키는 것에 더 많은 관심을 갖고 있으므로 치료자의 작업은 가족의 특정 행동의 연쇄과정을 잘 관찰하고 그 행동을 변화기킨다.
② 전략적 치료 모델에서는 개인의 문제는 곧 가족이 겪는 어려움의 발현이라고 믿으며, 가족간의 의사소통 유형에 의해 그 증상이 나타난다고 보았다. 동시에 어떤 가족체계의 역기능이 문제행동으로 반영되어 나타나므로, 이러한 가족체계를 수정함으로써 치료가 가장 잘 된다고 믿는다. 그렇다고 전략적 치료자들은 체계 그 자체에 대한 기초적인 정밀조사가 필요한 것은 아니며, 단기적으로 개입하여 직접적으로 문제를 유지시키는 행동과 관련된 체계의 단면들에만 개입하도록 한다.
③ 전략적 치료자들은 문제의 원인보다는 무엇이 그 문제를 직접적으로 야기시키는가에 관심을 갖는다. 문제는 시작된 경위와의 상관없이 대개 클라이언트의 최근 행동과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에서 촉발되므로, 전략적 치료자들은 이러한 문제를 지속시키는 행동들을 발견하고 수정하려고 한다. 문제를 지속시키는 행동이 변화될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33페이지
  • 등록일2013.05.06
  • 저작시기2013.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37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