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북한사회의 현실(탈북의 주요원인)
탈북 이후의 시련
한국에서 탈북자들이 겪는 문제
해결방안
느낀 점(감상평)
북한사회의 현실(탈북의 주요원인)
탈북 이후의 시련
한국에서 탈북자들이 겪는 문제
해결방안
느낀 점(감상평)
본문내용
치 이야기로만 들어오던 미지의 세계를 접한 느낌이랄까. 이 책을 통하여 북한이라는 베일에 감춰진 세계의 현실과 북조선 삶의 섬세한 부분까지 간접적으로 체험하게 되었다.
북한사회의 현실(탈북의 주요원인)
책을 읽으며 제일 먼저 느낄 수 있었던 것은 북한사회의 현실이었다. 점심시간에 충심이가 나물죽을 싸왔는데 누구나 죽을 싸왔기 때문에 불평이나 부끄러움 따위는 없으며 먹을 것이 없어 집까지 파는 사람이 있는 현실 때문에 먹기 싫은 나물죽이라도 헤프게 다룬 것에 대해 죄책감을 느낀다는 내용, 남양에 가는 열차를 타는데 열차 안을 사람들이 꽉 채우고 타도 공간이 모자라 열차의 지붕위에라도 타고 이동을 하며 전기 공급에 따라 열차의 도착시간이 좌우되고 이동 중에도 열차가 몇 번씩이나 서버린다는 내용 등에서 북한사회의 생활환경이 매우 열악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우리나라의 편리한 생활에 익숙한 나에게 턱없이 부족한 열차 공간이나 열차를 운행하기에도 벅찬 전기 공급, 특히 먹을 게 없어서 굶어죽는다는 것은 상상할 수도 없는 일이었다. 이렇게 열악한 환경이 탈북문제의 주요 원인인 것 같다. 탈북의 원인에 대해 생각하다가 탈북자들에 대한 동영상을 보게 되었는데 탈북을 하는 이유의 80%가 \"굶어 죽기 싫어서\"였다. 열차의 공간부족이나 전기 부족과 같은 것을 불평하는 것은 이들에게 사치인 것이다. 기본적으로 살아가는데 필요한 식량조차 없어 풀을 뜯어먹으며 삶을 연명하는 현실에서 굶어죽으나 탈북하다 죽으나 마찬가지라는 생각으로 탈북을 한다는 것이었다. 책에서도 충심과 미향은 도문에 건너가 돈을 벌어오라는 유혹에 혹해서 비극적인 삶을 맞이하게 되는데 이러한 유혹에 넘어가는 것도 어려운 집안 형편에 도움이 되기 위해서였던 것이다. 결국 탈북을 하는 주요한 원인은 북한의 사상이나 체제, 생활의 불편함이라기보다는 먹을 것도 없이 굶어죽는 지극히 현실적인 문제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매우 비극적인 일이 아닐 수 없다.
탈북 이후의 시련
충심이가 한국으로 들어가기까지의 과정을 보며 탈북자가 한국으로 가기까지의 과정과 그 과정 속에서 겪게 되는 시련에 주목해보았다. 탈북자들은 대부분 배고픔 때문에 북한을 벗어나고자 한다. 그렇다면 이북에서의 배고픔을 견디지 못해 목숨을 걸고 탈북하는 사람들은 탈북에 성공한 후 배고픔에서 벗어나 조금 더 행복한 삶을 살 수 있을까? 책에서 충심이는 북한에서 벗어난 후 중국 땅에서 탈북자라 불리며 공안에
북한사회의 현실(탈북의 주요원인)
책을 읽으며 제일 먼저 느낄 수 있었던 것은 북한사회의 현실이었다. 점심시간에 충심이가 나물죽을 싸왔는데 누구나 죽을 싸왔기 때문에 불평이나 부끄러움 따위는 없으며 먹을 것이 없어 집까지 파는 사람이 있는 현실 때문에 먹기 싫은 나물죽이라도 헤프게 다룬 것에 대해 죄책감을 느낀다는 내용, 남양에 가는 열차를 타는데 열차 안을 사람들이 꽉 채우고 타도 공간이 모자라 열차의 지붕위에라도 타고 이동을 하며 전기 공급에 따라 열차의 도착시간이 좌우되고 이동 중에도 열차가 몇 번씩이나 서버린다는 내용 등에서 북한사회의 생활환경이 매우 열악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우리나라의 편리한 생활에 익숙한 나에게 턱없이 부족한 열차 공간이나 열차를 운행하기에도 벅찬 전기 공급, 특히 먹을 게 없어서 굶어죽는다는 것은 상상할 수도 없는 일이었다. 이렇게 열악한 환경이 탈북문제의 주요 원인인 것 같다. 탈북의 원인에 대해 생각하다가 탈북자들에 대한 동영상을 보게 되었는데 탈북을 하는 이유의 80%가 \"굶어 죽기 싫어서\"였다. 열차의 공간부족이나 전기 부족과 같은 것을 불평하는 것은 이들에게 사치인 것이다. 기본적으로 살아가는데 필요한 식량조차 없어 풀을 뜯어먹으며 삶을 연명하는 현실에서 굶어죽으나 탈북하다 죽으나 마찬가지라는 생각으로 탈북을 한다는 것이었다. 책에서도 충심과 미향은 도문에 건너가 돈을 벌어오라는 유혹에 혹해서 비극적인 삶을 맞이하게 되는데 이러한 유혹에 넘어가는 것도 어려운 집안 형편에 도움이 되기 위해서였던 것이다. 결국 탈북을 하는 주요한 원인은 북한의 사상이나 체제, 생활의 불편함이라기보다는 먹을 것도 없이 굶어죽는 지극히 현실적인 문제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매우 비극적인 일이 아닐 수 없다.
탈북 이후의 시련
충심이가 한국으로 들어가기까지의 과정을 보며 탈북자가 한국으로 가기까지의 과정과 그 과정 속에서 겪게 되는 시련에 주목해보았다. 탈북자들은 대부분 배고픔 때문에 북한을 벗어나고자 한다. 그렇다면 이북에서의 배고픔을 견디지 못해 목숨을 걸고 탈북하는 사람들은 탈북에 성공한 후 배고픔에서 벗어나 조금 더 행복한 삶을 살 수 있을까? 책에서 충심이는 북한에서 벗어난 후 중국 땅에서 탈북자라 불리며 공안에
추천자료
중국 내 탈북 난민 건강실태조사
탈북청소년 학습지원 프로그램
[가족법]남북 이혼 및 혼인 문제
탈북 여성들의 인권실태
북핵문제 해결방안에 대한 고찰
[프로그램개발과평가]탈북 청소년 사회 적응력 향상 프로그램
새터민의 현황과 새터민 지원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 북한이탈주민 : 새터민 현황, 문제점 ...
방문교육을 통한 탈북 청소년 학교 사회 적응 지원 프로그램
[사회복지] 북한 이탈주민의 개념, 실태, 문제점, 북한 이탈주민에 대한 복지현황, 한계점과 ...
북한 이탈주민의 개념, 실태, 문제점, 북한 이탈주민에 대한 복지현황, 한계점과 전망(★★★★★...
[국내법, 개별법, 국제법, 조약, ILO]국내법과 개별법, 국내법과 국제법, 국내법과 조약, 국...
[다문화가정] 다문화가정 현황, 문제점, 해외지원정책 사례, 우리나라 다문화가정 지원정책의...
북한이탈주민(새터민)가족의 개념, 현황, 문제점 및 복지서비스 (북한이탈주민가족의 개념,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