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목차
- 구성 -
1장. 한국의 회계사의 기원과 변천사---------------------(P1)
-1.조선시대의 기록문화와 회계---------------------------(P1)
-2.개화기의 회계와 사상--------------------------------(P6)
-3.일제식민기의 회계----------------------------------(P13)
2장.유럽의 회계사의 기원과 변천사---------------------(P15)
-1.루카파치올리의 회계사상-----------------------------(P15)
-2.여타회계사상의 선지자-------------------------------(P20)
-3.미술과 부기회계------------------------------------(P22)
3장.미국회계사의 기원과 변천사------------------------(P25)
-1.새로운 질서와 독립전쟁-------------------------------(P25)
-2.국가경제의 형성과 회계-------------------------------(P29)
-3.회사기업의 발전과 회계-------------------------------(P35)
-4.남북전쟁 후의 회계----------------------------------(P38)
-5.개혁운동과 공인회계사--------------------------------(P43)
4장.일본의 회계사의 기원과 변천사---------------------(P49)
-1.일본의 서양부기 도입---------------------------------(P49)
-2.일본회계제도의 형성----------------------------------(P51)
1장. 한국의 회계사의 기원과 변천사---------------------(P1)
-1.조선시대의 기록문화와 회계---------------------------(P1)
-2.개화기의 회계와 사상--------------------------------(P6)
-3.일제식민기의 회계----------------------------------(P13)
2장.유럽의 회계사의 기원과 변천사---------------------(P15)
-1.루카파치올리의 회계사상-----------------------------(P15)
-2.여타회계사상의 선지자-------------------------------(P20)
-3.미술과 부기회계------------------------------------(P22)
3장.미국회계사의 기원과 변천사------------------------(P25)
-1.새로운 질서와 독립전쟁-------------------------------(P25)
-2.국가경제의 형성과 회계-------------------------------(P29)
-3.회사기업의 발전과 회계-------------------------------(P35)
-4.남북전쟁 후의 회계----------------------------------(P38)
-5.개혁운동과 공인회계사--------------------------------(P43)
4장.일본의 회계사의 기원과 변천사---------------------(P49)
-1.일본의 서양부기 도입---------------------------------(P49)
-2.일본회계제도의 형성----------------------------------(P51)
본문내용
ohn Banks, 1629-1699)은 그의 직원들에게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여러분들의 회계장부를 치밀하게 작성하고, 모든 사람에게 정직하여라. … 여러분들이 해야 할 황금률을 기억하라. … 그러므로 당신에게 맡겨진 회계를 정확하게 하여라.
17세기 베니스인 모세티(Moschetti)는 다소 지나친 감은 있지만 부기의 목적은 ‘마음의 평화와 정신적 안정을 위한 것’이라고 말하였다.
위에서 인용한 인물과 동일한 시대에 살았던 대부분의 상인은 회계장부 기록을 상인 자신이 하였거나, 적어도 원장과 같은 중요 장부나 비밀 장부는 자신이 기록하였다.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Leon Battista Alberti)는 잘 알려진 경구(警句)인 ‘우수한 상인은 손에 항상 잉크가 묻어 있다’는 친척의 말을 항상 생각한다고 말하였고, 상인 지오반니 루셀라이(Giovanni Rucellai)도 17세기 후반 그의 일기에서 이와 같은 말을 하였다. 2세기 후 네덜란드로 도망간 프랑스의 프로테스탄트인 몽기놋(Monginot)는 ‘큰 사업가는 낮이나 밤이나 항상 장부를 기록하였다’고 말하였다.
많은 상인은 자신이 직접 이탈리아식의 복식부기시스템에 의해 장부를 기록하든지 아니면 회계담당자가 기록하도록 하였다. 런던의 상인 토마스 먼(Thomas Mun)은 1664년에 ‘완전한’ 상인은 무엇보다 ‘달필가이고, 우수한 산술가이고, 차변과 대변에 의해서 장부를 기록할 줄 아는 지식인이어야 한다’고 말하였다. 존 벤크스는 그 당시 런던의 몇몇 상인들과 마찬가지로 복식부기시스템에 의해 장부를 작성하였다.
경험이 많은 상인은 직접 장부를 작성하지 않을지라도 사무원이나 회계담당자를 감독하는 것이 그렇게 어려운 일이 아닌 것이다. 물론 어떤 상인이 회계에 대해 무지하고 무식하기 때문에 회계담당자가 부정을 범하고 오도(誤導)하는 경우도 분명히 있는 것이다. 부기서의 저자들은 이러한 위험은 사업을 재난으로 몰고 갈 수 있음을 암시하고 여러 가지 교훈적인 말을 남겼다.
미술과 부기회계
연구 동기
영국의 경제회계학자 야미(Basil S. Yamey)는 1989년 「미술과 회계(Art & Accounting)」라는 저서를 출간하였다. 누가 보아도 이 책의 이름은 생소하다. 미술과 회계가 어떤 관계가 있는가? 이 책을 읽기 전에는 그 내용을 짐작할 수 없을 것이다. 야미의 회계사에 대한 많은 연구 중에서도 「미술과 회계」는 아주 특이한 것이다. 여기에는 1300년부터 1800년까지의 유럽의 미술품 중에서 부기회계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는 126개의 작품을 소개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 93개는 흑백, 33개는 천연색이다. 이들 작품에는 네덜란드의 황금시대의 작품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야미는 회계와 미술의 관련성 연구를 통하여 복식부기와 자본주의사이의 또 다른 관련성을 찾을 수 있다는 생각에서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야미는 두찌오(Duccio)와 지오또(Giotto)의 시대에 이탈리아에서 발전한 복식부기가 경제성장에 영향을 주고, 이러한 경제적 풍요 위에서 미술가와 미술이 이탈리아와 다른 지역에서 발전하였는가에 대해 관심을 가졌다. 독일의 경제사회학자 좀바르트는 20세기 초 복식부기시스템이 서구 자본주의 발전에 주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주장하였다. 중세에 수학과 과학의 아이디어가 여러 가지 형태로 미술에 영향을 준 것과 같이 회계도 그와 유사한 영향을 주지 않았는가? 15세기 이탈리아 상인의 능력이 미술계의 혁신에 영향을 주고받은 것과 같이 이들 상인이 사용한 복식부기가 건축과 미술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을 것인가? 여기 대한 대답은 회의적인 것이라고 야미는 말하고 있다.
단식부기든 복식부기든 상업과 관계가 있는 것은 분명하고, 상업과 미술과도 관계가 있을 것이나, 이러한 관계가 부기와 미술이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는 논리로 해석하기는 곤란한 것이다. 부기, 상업 및 자본주의가 상호관련이 있다는 논리는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수차에 걸쳐 주장되어 왔고 어느 정도의 증거를 확인할 수 있다. 부기가 미술의 발전에 직접관련이 있다는 논리는 곤란하나 상호 영향이 있었음을 부정할 수는 없다. 그림 몇 점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니콜라스 메스(1634-93, 네덜란드)의 1656년 작품인 〔그림 3-1〕은 야미의 「미술과 회계」에 제일 앞에 나와 있다. 최근 전시회에서는 ‘The Account Keeper\'라고 되어 있으나 원래는 ’The Housekeeper\'로 되어 있었다. 그림 속의 부인은 책상 앞에서 왼손으로 머리를 받치고 졸리는 듯한 모습을 하고 있다. 그녀는 오른손으로 펜을 들고 두 개의 큰 회계장부 중 하나의 회계장부를 작성하고 있다. 그녀의 뒤편에는 세계지도가 걸려 있고, 그 옆에는 로마신화 속에 나오는 주피터의 아내 주노(Juno)의 흉상이 걸려 있다. 그리고 열쇠, 주전자, 두 개의 사발, 바구니 등이 그림 속에 나타나 있는 매력적인 그림이다.
〔그림 3-1〕니콜라스 메스, 경리인(주부) : 센트루이스 미술박물관 소장
출처 : 정기숙, 박해근, 이중희 . 회계사상과 회계기준의 발전
〔그림 3-2〕는 유명한 초상화가인 바소로무스 반 델 헬스트(Bartholomeus van der Helst, 1613-1700, 네덜란드)가 그린 다니엘 버나드 (Daniel Bernard)의 초상화이다. 버나드는 Dutch East India회사의 17명의 최고 경영자중의 한 사람이다. 이 그림은 그의 사무실인데 창문이 부분적으로 커튼에 의해 가려져 있고 창을 통하여 나무 꼭대기와 암스테르담에 있는 주델크크 탑이 보인다. 버나드는 값비싼 오렌지-갈색의 옷을 입고 스미라나 산 융단을 씌운 테이블에 앉아 있다. 그는 아마 원장이라고 짐작되는 큰 장부에 기장을 하고 있다. 양피지 표지의 두개의 장부가 영수증 뭉치 등과 같이 책상 앞에 놓여 있다. 그림 뒤편 선반 위에도 두 개의 장부가 얹혀져있다. 이들 모든 장부는 회계장부로 추측된다.
〔그림 3-2〕바소로무스 반 델 헬스트: 버나드의 초상화, 롯텔담의 보이멘스벤 베닌겐 박물관 소장출처 : 정기숙, 박해근, 이중희 . 회계사상과 회계기준의 발전
네델란드의 미술가인
여러분들의 회계장부를 치밀하게 작성하고, 모든 사람에게 정직하여라. … 여러분들이 해야 할 황금률을 기억하라. … 그러므로 당신에게 맡겨진 회계를 정확하게 하여라.
17세기 베니스인 모세티(Moschetti)는 다소 지나친 감은 있지만 부기의 목적은 ‘마음의 평화와 정신적 안정을 위한 것’이라고 말하였다.
위에서 인용한 인물과 동일한 시대에 살았던 대부분의 상인은 회계장부 기록을 상인 자신이 하였거나, 적어도 원장과 같은 중요 장부나 비밀 장부는 자신이 기록하였다.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Leon Battista Alberti)는 잘 알려진 경구(警句)인 ‘우수한 상인은 손에 항상 잉크가 묻어 있다’는 친척의 말을 항상 생각한다고 말하였고, 상인 지오반니 루셀라이(Giovanni Rucellai)도 17세기 후반 그의 일기에서 이와 같은 말을 하였다. 2세기 후 네덜란드로 도망간 프랑스의 프로테스탄트인 몽기놋(Monginot)는 ‘큰 사업가는 낮이나 밤이나 항상 장부를 기록하였다’고 말하였다.
많은 상인은 자신이 직접 이탈리아식의 복식부기시스템에 의해 장부를 기록하든지 아니면 회계담당자가 기록하도록 하였다. 런던의 상인 토마스 먼(Thomas Mun)은 1664년에 ‘완전한’ 상인은 무엇보다 ‘달필가이고, 우수한 산술가이고, 차변과 대변에 의해서 장부를 기록할 줄 아는 지식인이어야 한다’고 말하였다. 존 벤크스는 그 당시 런던의 몇몇 상인들과 마찬가지로 복식부기시스템에 의해 장부를 작성하였다.
경험이 많은 상인은 직접 장부를 작성하지 않을지라도 사무원이나 회계담당자를 감독하는 것이 그렇게 어려운 일이 아닌 것이다. 물론 어떤 상인이 회계에 대해 무지하고 무식하기 때문에 회계담당자가 부정을 범하고 오도(誤導)하는 경우도 분명히 있는 것이다. 부기서의 저자들은 이러한 위험은 사업을 재난으로 몰고 갈 수 있음을 암시하고 여러 가지 교훈적인 말을 남겼다.
미술과 부기회계
연구 동기
영국의 경제회계학자 야미(Basil S. Yamey)는 1989년 「미술과 회계(Art & Accounting)」라는 저서를 출간하였다. 누가 보아도 이 책의 이름은 생소하다. 미술과 회계가 어떤 관계가 있는가? 이 책을 읽기 전에는 그 내용을 짐작할 수 없을 것이다. 야미의 회계사에 대한 많은 연구 중에서도 「미술과 회계」는 아주 특이한 것이다. 여기에는 1300년부터 1800년까지의 유럽의 미술품 중에서 부기회계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는 126개의 작품을 소개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 93개는 흑백, 33개는 천연색이다. 이들 작품에는 네덜란드의 황금시대의 작품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야미는 회계와 미술의 관련성 연구를 통하여 복식부기와 자본주의사이의 또 다른 관련성을 찾을 수 있다는 생각에서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야미는 두찌오(Duccio)와 지오또(Giotto)의 시대에 이탈리아에서 발전한 복식부기가 경제성장에 영향을 주고, 이러한 경제적 풍요 위에서 미술가와 미술이 이탈리아와 다른 지역에서 발전하였는가에 대해 관심을 가졌다. 독일의 경제사회학자 좀바르트는 20세기 초 복식부기시스템이 서구 자본주의 발전에 주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주장하였다. 중세에 수학과 과학의 아이디어가 여러 가지 형태로 미술에 영향을 준 것과 같이 회계도 그와 유사한 영향을 주지 않았는가? 15세기 이탈리아 상인의 능력이 미술계의 혁신에 영향을 주고받은 것과 같이 이들 상인이 사용한 복식부기가 건축과 미술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을 것인가? 여기 대한 대답은 회의적인 것이라고 야미는 말하고 있다.
단식부기든 복식부기든 상업과 관계가 있는 것은 분명하고, 상업과 미술과도 관계가 있을 것이나, 이러한 관계가 부기와 미술이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는 논리로 해석하기는 곤란한 것이다. 부기, 상업 및 자본주의가 상호관련이 있다는 논리는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수차에 걸쳐 주장되어 왔고 어느 정도의 증거를 확인할 수 있다. 부기가 미술의 발전에 직접관련이 있다는 논리는 곤란하나 상호 영향이 있었음을 부정할 수는 없다. 그림 몇 점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니콜라스 메스(1634-93, 네덜란드)의 1656년 작품인 〔그림 3-1〕은 야미의 「미술과 회계」에 제일 앞에 나와 있다. 최근 전시회에서는 ‘The Account Keeper\'라고 되어 있으나 원래는 ’The Housekeeper\'로 되어 있었다. 그림 속의 부인은 책상 앞에서 왼손으로 머리를 받치고 졸리는 듯한 모습을 하고 있다. 그녀는 오른손으로 펜을 들고 두 개의 큰 회계장부 중 하나의 회계장부를 작성하고 있다. 그녀의 뒤편에는 세계지도가 걸려 있고, 그 옆에는 로마신화 속에 나오는 주피터의 아내 주노(Juno)의 흉상이 걸려 있다. 그리고 열쇠, 주전자, 두 개의 사발, 바구니 등이 그림 속에 나타나 있는 매력적인 그림이다.
〔그림 3-1〕니콜라스 메스, 경리인(주부) : 센트루이스 미술박물관 소장
출처 : 정기숙, 박해근, 이중희 . 회계사상과 회계기준의 발전
〔그림 3-2〕는 유명한 초상화가인 바소로무스 반 델 헬스트(Bartholomeus van der Helst, 1613-1700, 네덜란드)가 그린 다니엘 버나드 (Daniel Bernard)의 초상화이다. 버나드는 Dutch East India회사의 17명의 최고 경영자중의 한 사람이다. 이 그림은 그의 사무실인데 창문이 부분적으로 커튼에 의해 가려져 있고 창을 통하여 나무 꼭대기와 암스테르담에 있는 주델크크 탑이 보인다. 버나드는 값비싼 오렌지-갈색의 옷을 입고 스미라나 산 융단을 씌운 테이블에 앉아 있다. 그는 아마 원장이라고 짐작되는 큰 장부에 기장을 하고 있다. 양피지 표지의 두개의 장부가 영수증 뭉치 등과 같이 책상 앞에 놓여 있다. 그림 뒤편 선반 위에도 두 개의 장부가 얹혀져있다. 이들 모든 장부는 회계장부로 추측된다.
〔그림 3-2〕바소로무스 반 델 헬스트: 버나드의 초상화, 롯텔담의 보이멘스벤 베닌겐 박물관 소장출처 : 정기숙, 박해근, 이중희 . 회계사상과 회계기준의 발전
네델란드의 미술가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