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1. 인간의 구성요소
1) 본능(이드-id)
2) 자아(에고-ego)
3) 초자아(수퍼에고-superego)
2. 인간의 발달단계
1) 구강기(oral stage)
2) 항문기(anal stage)
3) 남근기(phallic stage)
4) 잠복기(latency stage)
5) 생식기(genital stage)
3. 안나 프로이트의 방어기제
1) 억압(repression)
2) 반동형성(reaction formation)
3) 퇴행(regression)
4) 격리(isolation)
5) 취소(undoing)
6) 투사(projection)
7) 투입(introjection)
8) 자기에로의 전향(turning against self)
9) 역전(reversal)
10) 승화
<결론>
참고문헌
1. 인간의 구성요소
1) 본능(이드-id)
2) 자아(에고-ego)
3) 초자아(수퍼에고-superego)
2. 인간의 발달단계
1) 구강기(oral stage)
2) 항문기(anal stage)
3) 남근기(phallic stage)
4) 잠복기(latency stage)
5) 생식기(genital stage)
3. 안나 프로이트의 방어기제
1) 억압(repression)
2) 반동형성(reaction formation)
3) 퇴행(regression)
4) 격리(isolation)
5) 취소(undoing)
6) 투사(projection)
7) 투입(introjection)
8) 자기에로의 전향(turning against self)
9) 역전(reversal)
10) 승화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화는 억압된 충동이나 욕구의 발산방향을 완전히 사회적으로 인정되는 가치 있는 목표로 옮겨지고 그것을 실현함으로써 그 충동이나 욕구를 만족시키는 행동기제를 말한다. 전위와 유사한 행동기제지만 대치된 욕구충족의 대상이 보다 높은 문화적 가치를 지녔을 때 그것을 승화라고 한다. 예로써 프로이드는 레오나르드 다빈치가 “마돈나”를 그리는데 관심을 가진 것은 그가 어릴 때 헤어진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을 표현한 일종의 승화기제에 의한 것으로 보았다.
<결론>
정신분석 이론은 프로이트(S. Freud)와 그의 추종자들에 의해 발전된 인간 심리에 관한 과학의 한 분야이다. 이 이론에 의해 제시된 그의 이론은 오늘날 거의 모든 사회인문과학 분야, 즉 심리학, 상담학 정신의학 등 모든 분야에서 통용되었다. 그리고 프로이트에 의해 제시되고 안나 프로이트(A. Freud)에 의해 정리된 방어기제에 대한 정의들은 오늘날 모든 제 분야에서 활발하게 통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참고문헌
1. 김상인. 「상담심리사전」. 서울: 생명의 샘가, 2000.
2. 김영모 외 2인. 「인간행동과 사화환경」. 서울: 고헌출판사, 2007.
3. 미국정신분학회 편. 「정신분석 용어사전」. 이재훈 외 역. 서울: 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02
4. 박선환 외 4인. 「정신건강론」. 서울: 양서원, 2008.
5. 손병덕 외 5인. 「인간행동과 사화환경」. 서울: 학지사, 2008.
6. 이인정 외 1인.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서울: 나남출판, 2010.
7. C. S 홀 & R. 오스본. 「프로이트 심리학 해설」. 설영환 역. 서울: 선영사, 1999.
<결론>
정신분석 이론은 프로이트(S. Freud)와 그의 추종자들에 의해 발전된 인간 심리에 관한 과학의 한 분야이다. 이 이론에 의해 제시된 그의 이론은 오늘날 거의 모든 사회인문과학 분야, 즉 심리학, 상담학 정신의학 등 모든 분야에서 통용되었다. 그리고 프로이트에 의해 제시되고 안나 프로이트(A. Freud)에 의해 정리된 방어기제에 대한 정의들은 오늘날 모든 제 분야에서 활발하게 통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참고문헌
1. 김상인. 「상담심리사전」. 서울: 생명의 샘가, 2000.
2. 김영모 외 2인. 「인간행동과 사화환경」. 서울: 고헌출판사, 2007.
3. 미국정신분학회 편. 「정신분석 용어사전」. 이재훈 외 역. 서울: 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02
4. 박선환 외 4인. 「정신건강론」. 서울: 양서원, 2008.
5. 손병덕 외 5인. 「인간행동과 사화환경」. 서울: 학지사, 2008.
6. 이인정 외 1인.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서울: 나남출판, 2010.
7. C. S 홀 & R. 오스본. 「프로이트 심리학 해설」. 설영환 역. 서울: 선영사, 1999.
키워드
추천자료
[프로이드][프로이트][정신분석이론][성격발달이론]프로이드(프로이트)의 성격발달이론 분석 ...
[프로이드][프로이트][프로이드이론][정신분석][정신분석이론][Freud][발달단계][성격구조]프...
프로이트의 생애와 정신분석 이론(프로이트 가족관계, 생애, 정신분석이론 의식, 전의식, 무...
[프로이트][정신분석이론]프로이트 정신분석이론에 대해 논함(기본 가정, 의식 구조, 성격 구...
[지그문트 프로이트와 안나 프로이트] 지그문트 프로이트와 안나 프로이트의 주요개념, 모형,...
[정신건강 1공통] 프로이드(프로이트/Sigmund Freud)의 정신분석이론과 방어기제에 대해 설명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 (주요개념, 자아방어기제, 인간의 심리성적 발달 단계, 평가)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 중 방어기제를 활용하여 자신이 주로 사용하는 방어기제를 4가지 서술.
[지그문트 프로이트와 안나 프로이트] 지그문트 프로이트와 안나 프로이트의 주요개념, 모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