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당시풍(唐時風)
2.三唐詩人의 등장과 배경
3.삼당시인
(1)백광훈
(2)최경창
(3)이달
2.三唐詩人의 등장과 배경
3.삼당시인
(1)백광훈
(2)최경창
(3)이달
본문내용
는 사람이 그들과 더불어 위 아래를 다투었는데, 시명으로써 한 때 명성을 날렸다. 李光 『芝峰集』, 『西潭集跋』
이처럼 당시의 주도적 역할을 한 이들이 바로 삼당시인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당시풍의 발흥에 대한 논의는 삼당시인을 기점으로 전개하지 않을 수 없다.
그렇다면, 조선조 16세기 소단(騷壇)에 송시풍과 비견할 만큼 왕성하게 창작되었던 당시풍의 발흥 동인은 어디에 있는가? 이에 대해 작금의 논의는 매우 다양하다. 방외인 문학이 도문일치관을 추구한 송시풍에 대한 반발로, 사림이 사화의 소용돌이 속에 실의한 심경을 토해내는 과정에서 생겨난 문학적인 운동으로, 성정을 주로 한 당시가 『杜時諺解』의 학시 과정, 명나라의 의고주의 영향으로 학당을 치중, 당시우위의 비평론, 호남 학시론, 악부시 또는 악부풍의 창작 성행등이 그것이다. 이를다시 정리하면, 첫째, 송시풍 즉 강서시파의 형식미 추구로 인한 시정신 왜곡에 대한 비판이다. 송시 특히 강서파의 시풍을 바탕으로 하는 훈구관료문인들의 시세계는 기괴한 용사, 희귀한 전고의 사용으로 지나친 수식·기교·화미함으로 인해 사림파에 비판받았고, 사림파는 내면주의적 경향에 근거한 투명한 정신세계의 지향에 따른 청정한 시세계를 이룩했지만, 그러나 그들 역시 심성수양을 내세워 다양한 인간정서의 특정한 부분만을 강조하여 삶의 풍부한 정서를 드러내지 못한 결함을 지니게 되어 인간의 풍부한 감정을 표현하는 새로운 시풍이 대두하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 둘째, 중국 엄우의 시론에 영향을 받아 시 본질에 대한 반성으로 출현한 명나라의 ‘학당’ 풍조 즉 전후 칠자에 의해 전개된 ‘時必盛唐’, ‘文必秦漢’의 복고사조의 유입이다, 셋째, 조선 성리학이 사회이념으로 완성되었던 시기에 성리학의 도덕주의 문학관의 이념 중시경향에 대한 반발로 정서를 중시하는 시를 짓게 되었던 경향이다. 넷째, 학당을 선도했던 이들이 거의 호남지방 출신이라는 점에서 볼 때, 호남의 문화적 분위기의 영향으로 분류된다.
문학은 문화의 한 현상이다. 문화의 변동은 사회적인 분위기에서부터 시작될 수 있다. 그러나 문화의 성취는 개인의 문제로부터 시작되고 그 시대가 그것을 수용하고 그들이 활동했던 공간이 전개할 수 있도록 허용해야만 가능하다 唐詩風 한시는 개인의 정서를 표현한다는 성정론에 바탕을 두고 창작되었다, 唐詩의 특성이 그러하듯이 당시풍 한시의 발흥에 대한 관점도 삼당시인의 개인에서 사회적 공간으로의 확장을 통해야
이처럼 당시의 주도적 역할을 한 이들이 바로 삼당시인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당시풍의 발흥에 대한 논의는 삼당시인을 기점으로 전개하지 않을 수 없다.
그렇다면, 조선조 16세기 소단(騷壇)에 송시풍과 비견할 만큼 왕성하게 창작되었던 당시풍의 발흥 동인은 어디에 있는가? 이에 대해 작금의 논의는 매우 다양하다. 방외인 문학이 도문일치관을 추구한 송시풍에 대한 반발로, 사림이 사화의 소용돌이 속에 실의한 심경을 토해내는 과정에서 생겨난 문학적인 운동으로, 성정을 주로 한 당시가 『杜時諺解』의 학시 과정, 명나라의 의고주의 영향으로 학당을 치중, 당시우위의 비평론, 호남 학시론, 악부시 또는 악부풍의 창작 성행등이 그것이다. 이를다시 정리하면, 첫째, 송시풍 즉 강서시파의 형식미 추구로 인한 시정신 왜곡에 대한 비판이다. 송시 특히 강서파의 시풍을 바탕으로 하는 훈구관료문인들의 시세계는 기괴한 용사, 희귀한 전고의 사용으로 지나친 수식·기교·화미함으로 인해 사림파에 비판받았고, 사림파는 내면주의적 경향에 근거한 투명한 정신세계의 지향에 따른 청정한 시세계를 이룩했지만, 그러나 그들 역시 심성수양을 내세워 다양한 인간정서의 특정한 부분만을 강조하여 삶의 풍부한 정서를 드러내지 못한 결함을 지니게 되어 인간의 풍부한 감정을 표현하는 새로운 시풍이 대두하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 둘째, 중국 엄우의 시론에 영향을 받아 시 본질에 대한 반성으로 출현한 명나라의 ‘학당’ 풍조 즉 전후 칠자에 의해 전개된 ‘時必盛唐’, ‘文必秦漢’의 복고사조의 유입이다, 셋째, 조선 성리학이 사회이념으로 완성되었던 시기에 성리학의 도덕주의 문학관의 이념 중시경향에 대한 반발로 정서를 중시하는 시를 짓게 되었던 경향이다. 넷째, 학당을 선도했던 이들이 거의 호남지방 출신이라는 점에서 볼 때, 호남의 문화적 분위기의 영향으로 분류된다.
문학은 문화의 한 현상이다. 문화의 변동은 사회적인 분위기에서부터 시작될 수 있다. 그러나 문화의 성취는 개인의 문제로부터 시작되고 그 시대가 그것을 수용하고 그들이 활동했던 공간이 전개할 수 있도록 허용해야만 가능하다 唐詩風 한시는 개인의 정서를 표현한다는 성정론에 바탕을 두고 창작되었다, 唐詩의 특성이 그러하듯이 당시풍 한시의 발흥에 대한 관점도 삼당시인의 개인에서 사회적 공간으로의 확장을 통해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