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의 공간 (리얼리즘과 모더니즘, 탁류에 나타난 공간성, 날개에 나타난 공간상)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소설의 공간 (리얼리즘과 모더니즘, 탁류에 나타난 공간성, 날개에 나타난 공간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리얼리즘과 모더니즘
2. 『탁류』에 나타난 공간성
3. 『날개』에 나타난 공간성
Ⅲ. 결 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기능을 ‘문’으로서의 기능으로 전환시킴으로써 비롯된다. ‘장지’는 어둠과 구속, 빛과 자유의 대립적 의미망을 가로지르고 있는, 주인공의 현실 공간과 지향 공간 사이의 상징적 경계이다.
아내의 방은 ‘나’의 방 앞에 있는 밝은 방으로 표현된다. 내 방은 볕도 들지 않고 가구도 없는 냉랭한 공간인 반면에 그에게 아내의 방은 볕이 잘 들어오고 옷가지도 많은 볼거리가 많은 공간으로 인식된다. 아내방은 밝은 색채를 띠고 있어 내면에 자리 잡은 열정, 욕망, 그리고 인간이 갖는 의지력과 희망을 나타낸다. 반면 나의 방은 어두운 무채색의 공간으로 우울과 허무, 소외된 인간 감정을 상징한다. 이 두 색채는 서로 대립하며 또한 서로 요구하는 대립쌍을 이룬다.
3.2 거리
주인공에게 그의 방이 일상의 공간이라면 외출이 발생하는 거리는 비일상의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그의 일상은 무기력하고 게으르며 쉽게 피로를 느끼는, 정적이고 폐쇄적인 삶의 형태를 담고 있다. 반면에 그의 비일상을 표상하는 거리는 동적이고 개방적인 공간이다. 방에서의 삶이 ‘눕다’로 요약되는 수평성에서 출발하고 있는데 반해, 거리는 보행의 수직성을 전제로 한 공간이 된다.
주인공은 거리를 통해 산, 티룸, 경성역에도 간다. 거리를 통해 확대된 공간으로 더 나아가기도 하고, 폐쇄적 자아의 공간인 방으로 돌아오기도 한다. 그가 거리로 나선다는 것은 현실 공간으로부터의 탈출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으며, 결국 현실과의 보다 적극적인 접촉과 갈등이 수반된다. 그는 총 다섯 번의 외출을 감행하는데 그 외출이 지속될수록 현실인 내방과 아내의 방을 벗어나고 싶어하고, 나를 억압했던 아내라는 존재와 갈등을 보이기도 한다. 그런데 그는 개방의 공간을 마냥 좋아하지만은 않는다.
첫 번째와 두 번째 외출을 보면 그는 하릴없이 거리를 돌아다니고, 세 번째 외출에서는 사람들을 관찰하면서 서글픈 감정을 느낀다. 즉 거리는 방이라는 감금과 폐쇄의 공간으로부터 벗어난 지향적 공간이면서, 동시에 그 지향의 구체적 목적지를 상실함으로써 갈 곳도 방법도 알 수 없는 또 다른 의미의 감금의 공간이 된다. 동전의 앞뒷면처럼 이면성을 갖는 공간이다. 거리는 그를 밖으로 연결시키고 수직적이며 주체적 존재로서의 생명력을 환기시키는 공간이면서 부정적 현실로부터 탈피하는 공간이다. 동시에 항상 너무 복잡하였고 사람은 너무 들끓었던 거리는 주인공의 의식에 혼란을 주는 미로와 같은 공간이 되고 마는 것이다.
3.3.미스꼬시 옥상
나는 어디로 어디로 들입다 쏘다녔는지 하나도 모른다. 다만 몇시간 후에 내가 미tm꼬시 옥상에 있는 것을 깨달았을 때는 거의 대낮이었다.
나는 거기 아무 데나 주저앉아서 내 자라 온 스물 여섯 해를 회고하여 보았다. 몽롱한 기억 속에서는 이렇다는 아무 제목도 불거져 나오지 않았다.
나는 또 내 자신에게 물어 보았다. 너는 인생에 무슨 욕심이 있느냐고, 그러나 있다고도 없다고 도 그런 대답은 하기가 싫었다. 나는 거의 나 자신의 존재를 인식하기조차도 어려웠다.
이 ‘미스꼬시 옥상’은 또 하나의 천상과 지상을 연결해 주는 신성공간이 되는 것이다. 수평적인 장소와 거리는 피곤과 굶주림, 배신과 갈등의 공간이었다. 그러나 햇빛이 쏟아지는 오월 대낮의 옥상은 그가 지닌 신성성으로 하여 ‘나’의 동굴적인 생활로부터, 유아적 생활로부터 연유한 회의와 피곤을 모두 보상해주려 한다. ‘나’는 마침내 지난 26년간의 생애를 회고하고 아내에게 연민과 용서를 보내려 한다. 그러나 ‘아내’에 대한 용서는 아내가 현재 살고 있는 거짓의 삶에서 벗어나야 한다.
Ⅲ. 결 론
이상과 같이, 1930년대 소설의 경향, 『탁류』와 『날개』의 서사구조 속에 보이는 공간이 어떻게 작품내에 반영되었는지 살펴보았다. 리얼리즘 소설의 대표작으로서『탁류』에서는 실제로 존재했던 공간들을 그대로 차용함으로써 사실 재현성을 높여주고 있다. 식민지시대를 대표하는 모든 것들이 응축된 군산이라는 공간에서 발생하는 인물들의 행위를 통해 1930년대의 사회상을 풍자와 냉소로 엮어냈다. 반면 모더니즘 소설의 대표작인 『날개』속 방이라는 공간은 주인공의 의식을 더욱 고립시킨다. 주인공은 잠에서 깨어나려는 노력 없이 자의식을 잠식시킨다. 열린 공간인 거리를 돌아다니면서 자의식을 회복하려 하지만 끝내는 갈등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하는 주인공의 모습을 통해 방향 잃은 지식인의 모습을 효과적으로 형상화 했다.
모더니즘 소설에 오면 작품에 설정된 공간구조가 현실생활 부적응 내지 소외에서 오는 패쇄공간, 내면적 고뇌와 방황의 공간으로 이해되는 등 다양한 의미를 갖는다. 1930년대 모더니즘 소설의 대표작으로서 『날개』는 특이한 공간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모더니즘의 소설은 기본적으로 도시공간을 설정하고 있으며 이 도시공간은 생태학적인 측면에서 그려지기도 한다. 때로는 방황과 갈등의 공간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날개』에서 보았듯이 모더니즘의 소설의 공간구조는 단순히 평면적이거나 단선적인 공간이 아니라 입체적이고 복합적인 의식의 공간화로 나타난다. 다시 말해 막연하고 포괄적인 삶의 현장으로서 공간이 아니라 내면화된 공간으로서 상징적으로 표출된다.
일제의 억압으로 인해 피폐하게 변한 민족의 모습을 하층민의 삶의 공간을 사실적으로 드러내어 보여준 탁류와, 내면화된 공간으로부터의 탈출을 통해 자아를 찾는 날개에서 공간은 다른 의미를 갖는다. 그러나 주인공의 행동과 사고를 지배하는 세계라는 점에서 원론적으로는 같은 의미이며, 문학에서 공간의 요소를 연구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게 한다.
참고문헌
이대규, 『\'탁류\'의 도시공간 연구』, 한국소설학회, 1999
김혜니 편, 『꼭 읽어야 할 소설 119』, 타임기획, 1994
우한용 해설 및 주석, 『탁류』, 서울대학교출판부, 1997
한수영, 『소설과 일상성』, 소명출판, 2000
방민호, 『채만식과 조선적 근대문학의 구상』, 소명출판, 2003
정홍섭, 『채만식 문학과 풍자의 정신』, 역락, 2004
김주현, 『이상 소설 연구』, 소명출판, 1999
이상문학회, 『이상 소설 작품론』(이상리뷰 제6호), 역락, 2007
유태영, 『한국 현대소설의 해석』, 새문사, 2003
  • 가격1,8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3.05.22
  • 저작시기2013.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84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