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경 밖에서 차단을 의미하는 1차적 방법으로는 부족하며 2차적으로 소비국에서 소비를 줄이는 방법을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마리아의 마지막 결정은 미국에서 초음파검사를 할 때 보여줬던 영화에서 처음으로 환한 웃음을 지었을 때 추측할 수 있는데 그것은 아기를 위한 것으로 고향으로 돌아가고픈 마음도 있을 테지만 자신에게 유일한 희망인 아기에게 또다시 콜롬비아라는 교육환경은 자기와 비슷한 처지를 양산할지도 모르며 빈곤을 벗어날 새로운 기회를 맞이할 것이란 예감이 들었기 때문일 것이다. 그리고 루시의 언니가 콜롬비아에서 넘어와 힘듦을 이겨내고 미국에서 살게 된 이야기를 풀어놓는 장면은 마치 고향에서 꿈을 가지고 미국으로 건너와 살고 있는 중남미국가 여성들의 입장을 대신 표명하여 영화속에서 상징화한 것이 아닐까 싶다.
추천자료
인공지능과 영화
메이천 박사저작선집요약
윤대성 ‘출발’에 나타난 인물들의 꿈과 비극 - 이루어지지 않는 꿈의 비극
독일인의 사랑을 읽고....
교육사 및 교육철학
책[다빈치코드 깨기]를 읽고... '다빈치코드'에 대한 반박
‘복제된 인간 시리(Siri)’의 관점에서 바라본 인간복제의 정당화에 관한 담론-블루 프린터를 ...
성 상품화 문제점 및 사례분석
[사회과학] 뮤지컬영화
구약(구약성경)의 어원, 구약(구약성경)의 예수 그리스도 , 그리스도법의 본질, 구약신학의 ...
[개신교][가톨릭][천주교]개신교의 특징, 개신교의 구원론, 개신교의 성경반포와 신앙공동체,...
예수그리스도(예수, 그리스도)의 의미와 배경, 예수그리스도(예수, 그리스도) 부활과 부활증...
중세 시대의 영성
서양 미술사 - 고대부터 현대까지의 비너스의 변화과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