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방법 및 기간
3) 문헌고찰
Ⅱ. 본론
Ⅲ. 결론
1) 연구 결과 및 소감
2) 참고문헌
1) 연구의 필요성
2) 방법 및 기간
3) 문헌고찰
Ⅱ. 본론
Ⅲ. 결론
1) 연구 결과 및 소감
2) 참고문헌
본문내용
족한 상태이다. 또 출생 후에도 호흡 곤란이나 괴사성 장염, 위장관 미숙 그리고 각종 소화효소 부족으로 영양 공급이 잘 되지 않아서 체중 증가에 어려움이 많다. 아기들은 출생 후 얼마동안 정상적으로 생리적 체중 감소가 있는데 미숙아 경우는 만삭아보다 더 심하며 상태가 나쁠수록 적절한 영양보충이 어렵기 때문에 체중 감소가 많다.
⑨ 출혈성 경향과 빈혈
미숙아는 간 기능이 미숙하고 감염 조절이 어려우며 잦은 시술과 처치로 출혈성 경향 이 높아진다. 또한 적절한 영양 공급(특히 비타민과 무기질)이 어렵고 아기의 치료를 위해서 혈액 검사를 자주하게 되므로 빈혈이 올 수 있다.
⑩ 미숙아 망막증
미숙아는 호흡곤란 증상 문에 불가피하게 고농도의 산소나 인공 호흡기 치료를 받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아기들 중에서 고농도의 산소가 발육 도중에 있는 망막의 혈관을 변화시켜서 시력에 손상을 주는 미숙아 망막증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산소 치료를 받았던 미숙아들은 생후 4-6주경에 안과 검사를 받아서 이상 유무를 확인하고 미숙아 망막증의 정도에 따라 추후 관찰 및 치료가 필요하다.
8. 예후
미숙아가 수유를 잘하고 지속적으로 체중증가(10~30g/kg)가 되고, 실온에서 체온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하며, 무호흡이나 서맥이 없어야 하고, 비경구로 투여되는 약물을 모두 끊고, 전반적인 상태가 좋으면 퇴원을 한다.
Ⅱ. 본론
1. 신생아 간호사정
(1) 산모와 관련된 정보
연령
22
임신횟수
없음
분만종류
자연분만
출산결과
미숙아
혈액형
0+
임신중 약물복용
무
과거병력
syphilis (2008. 05 detect)
과거 수술력
무
알레르기
무
(2) 신생아와 관련된 정보
출생시간
2013.04.28 13시
재태기간
34주 1일
성별
남
출생시 체중
1770g
출생시 신장
두위 38.5 키 41.5
출생시 두위/흉위
두위
태변착색
무
조기파수
무
Apgar 점수
1분 10점, 5분10점
(3)신체사정
부위
상태
활동 및 울음정도
매우 좋음
호흡기
정상
순환기
정상
피부
정상
머리
천문(열림)
얼굴
정상
제대
출혈(무)
비뇨생식기
정상
사지
정상
반사
모로반사, 쥐기반사, 빨기반사 (유)
기타 기형 및 외상
없음
(4) 검사결과
활력징후
정상치
T 36.5 ~ 37.5
P 100 ~ 180회/분
R 40 ~ 60 회/분
Date
Time
T
P
R
2013-05-16
12:00
36.5
128
40
18:00
36.6
146
44
2013-05-17
00:00
36.7
136
50
06:00
36.6
128
46
12:00
36.5
150
52
18:00
36.6
140
50
2013-05-18
00:00
36.5
132
46
06:00
36.6
140
48
12:00
36.6
128
50
18:00
36.5
160
50
2013-05-19
00:00
36.7
136
48
06:00
36.6
124
44
12:00
36.8
128
50
18:00
36.5
149
44
2013-05-20
00:00
36.5
138
46
06:00
37.0
134
48
12:00
18:00
검사결과
이상없음
2. 혈액검사
종류
정상치
검사결과
임상적 의의
4월 28일
5월 14일
WBC
4.0~10.0
7.0
4.5
↑:만성백혈병, 급성감염증, 간경화증
↓:재생불량성 빈혈, 과립구감소증, 악성빈혈
RBC
M:4.2~6.3
F:4.0~5.4
4.34
4.00
↑:진성다혈증. 탈수, shock, 심폐질환
↓:각종 빈혈, 수혈증
HGB
M:13~17
F:12~16
17.0
14.1
↑:적혈구증다증
↓:빈혈, 간경화, 만성 간염, 간암
PLT
130~ 450
126
326
↑: 만성백혈병, 진성다혈구증, 출혈, 골절
↓:급성백혈병, 재생불량성빈혈, 쇼크
MCV
M:80~95
F:81~100
신생아: 96~108
107.0
103.6
↑:비타민 B12결핍성 빈혈, 화학요법
↓:철 결핍성 빈혈, 지중해성 빈혈
MCH
M:27~33
F:26~32
MCHC
32~36
신생아(34%)
35.2
34.0
RDW
11.5~14.5
19.6
빈혈의 종류와 관련
MONO
19~48
15.0
↑:감염 시, Collagen disease
EOSI
0~5%
2.9
↑:과 면역알러지, Addison\'disease
↓:Adrenal의 증가
BASO
0~2%
0.9
↑:과립구성 혹은 호염기성구 백혈병, 골수
전이기(Myeloid metaphasia), 알러지 질환
alkaline phosphatase
35 ~ 129
276
Alkaline Phosphatase: 간세포 파괴시 상승. 타조직에도 존재. 담관폐색, 담즙울체, 임신시 상승.
Total Bilirubin
0.22 ~ 1.3
6.05
양성: 황달, 담낭폐쇄 잠재성질환
(5) 약물
MFOLSAN
약리기전
purine, pyrimidine의 합성에 관여하여 핵단백합성과 적혈구 형성의 유지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엽산 결핍성 빈혈에서 백혈구 및 혈소판 생성을 촉진시킨다.
효과/ 효능
엽산결핍증의 예방 및 치료: 거대적아구성 빅혈(유소아, 임부), 악성 빈혈의 보조요법(비타민 B12결핍으로 인한 빈혈 제외), 엽산요구량이 증가하는 각종질환(임부, 수유부, 유아소모성 질환), 약물 투여로 인한 엽산결핍증(항경련제, 경구피임제, 항말라리아제), 알코올 중독 및 간질환에 관련된 거대적혈구성 빈혈, 흡수부전증, 골수염증, 골수이상인 고령환자
용법/용량
엽산결핍증, 타약물 투여로 인한 결핍증 치료: 엽산으로서 성인 및 소아에게 1일 0.25 ~ 1mg 을 경구투여
엽산결핍증 예방 및 엽산의 요구량이 증대하는 각종 질환: 엽산으로서 성인 및 소아 1일 0.1 ~ 0.25mg 을 경구투여
부작용
위장장애, 홍반, 부종, 오심, 발진, 소양감, 권태, 구토, 체중감소, allergy증상
MTOCO - W
약리기전
Vitamin E
효과/효능
1. 비타민 E 결핍증
2. 말초순환기능장애(간헐성파행증, 동상등)의 보조요법
3. 내분비기능 장애(배란장애)의 보조요법 (외용) 제제첨가제로서 황산화제, 피부보호제
용법/용량
1일 100 ~ 1000 I.U. 를 경구 투여한다.
부작용
1. 때
⑨ 출혈성 경향과 빈혈
미숙아는 간 기능이 미숙하고 감염 조절이 어려우며 잦은 시술과 처치로 출혈성 경향 이 높아진다. 또한 적절한 영양 공급(특히 비타민과 무기질)이 어렵고 아기의 치료를 위해서 혈액 검사를 자주하게 되므로 빈혈이 올 수 있다.
⑩ 미숙아 망막증
미숙아는 호흡곤란 증상 문에 불가피하게 고농도의 산소나 인공 호흡기 치료를 받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아기들 중에서 고농도의 산소가 발육 도중에 있는 망막의 혈관을 변화시켜서 시력에 손상을 주는 미숙아 망막증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산소 치료를 받았던 미숙아들은 생후 4-6주경에 안과 검사를 받아서 이상 유무를 확인하고 미숙아 망막증의 정도에 따라 추후 관찰 및 치료가 필요하다.
8. 예후
미숙아가 수유를 잘하고 지속적으로 체중증가(10~30g/kg)가 되고, 실온에서 체온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하며, 무호흡이나 서맥이 없어야 하고, 비경구로 투여되는 약물을 모두 끊고, 전반적인 상태가 좋으면 퇴원을 한다.
Ⅱ. 본론
1. 신생아 간호사정
(1) 산모와 관련된 정보
연령
22
임신횟수
없음
분만종류
자연분만
출산결과
미숙아
혈액형
0+
임신중 약물복용
무
과거병력
syphilis (2008. 05 detect)
과거 수술력
무
알레르기
무
(2) 신생아와 관련된 정보
출생시간
2013.04.28 13시
재태기간
34주 1일
성별
남
출생시 체중
1770g
출생시 신장
두위 38.5 키 41.5
출생시 두위/흉위
두위
태변착색
무
조기파수
무
Apgar 점수
1분 10점, 5분10점
(3)신체사정
부위
상태
활동 및 울음정도
매우 좋음
호흡기
정상
순환기
정상
피부
정상
머리
천문(열림)
얼굴
정상
제대
출혈(무)
비뇨생식기
정상
사지
정상
반사
모로반사, 쥐기반사, 빨기반사 (유)
기타 기형 및 외상
없음
(4) 검사결과
활력징후
정상치
T 36.5 ~ 37.5
P 100 ~ 180회/분
R 40 ~ 60 회/분
Date
Time
T
P
R
2013-05-16
12:00
36.5
128
40
18:00
36.6
146
44
2013-05-17
00:00
36.7
136
50
06:00
36.6
128
46
12:00
36.5
150
52
18:00
36.6
140
50
2013-05-18
00:00
36.5
132
46
06:00
36.6
140
48
12:00
36.6
128
50
18:00
36.5
160
50
2013-05-19
00:00
36.7
136
48
06:00
36.6
124
44
12:00
36.8
128
50
18:00
36.5
149
44
2013-05-20
00:00
36.5
138
46
06:00
37.0
134
48
12:00
18:00
검사결과
이상없음
2. 혈액검사
종류
정상치
검사결과
임상적 의의
4월 28일
5월 14일
WBC
4.0~10.0
7.0
4.5
↑:만성백혈병, 급성감염증, 간경화증
↓:재생불량성 빈혈, 과립구감소증, 악성빈혈
RBC
M:4.2~6.3
F:4.0~5.4
4.34
4.00
↑:진성다혈증. 탈수, shock, 심폐질환
↓:각종 빈혈, 수혈증
HGB
M:13~17
F:12~16
17.0
14.1
↑:적혈구증다증
↓:빈혈, 간경화, 만성 간염, 간암
PLT
130~ 450
126
326
↑: 만성백혈병, 진성다혈구증, 출혈, 골절
↓:급성백혈병, 재생불량성빈혈, 쇼크
MCV
M:80~95
F:81~100
신생아: 96~108
107.0
103.6
↑:비타민 B12결핍성 빈혈, 화학요법
↓:철 결핍성 빈혈, 지중해성 빈혈
MCH
M:27~33
F:26~32
MCHC
32~36
신생아(34%)
35.2
34.0
RDW
11.5~14.5
19.6
빈혈의 종류와 관련
MONO
19~48
15.0
↑:감염 시, Collagen disease
EOSI
0~5%
2.9
↑:과 면역알러지, Addison\'disease
↓:Adrenal의 증가
BASO
0~2%
0.9
↑:과립구성 혹은 호염기성구 백혈병, 골수
전이기(Myeloid metaphasia), 알러지 질환
alkaline phosphatase
35 ~ 129
276
Alkaline Phosphatase: 간세포 파괴시 상승. 타조직에도 존재. 담관폐색, 담즙울체, 임신시 상승.
Total Bilirubin
0.22 ~ 1.3
6.05
양성: 황달, 담낭폐쇄 잠재성질환
(5) 약물
MFOLSAN
약리기전
purine, pyrimidine의 합성에 관여하여 핵단백합성과 적혈구 형성의 유지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엽산 결핍성 빈혈에서 백혈구 및 혈소판 생성을 촉진시킨다.
효과/ 효능
엽산결핍증의 예방 및 치료: 거대적아구성 빅혈(유소아, 임부), 악성 빈혈의 보조요법(비타민 B12결핍으로 인한 빈혈 제외), 엽산요구량이 증가하는 각종질환(임부, 수유부, 유아소모성 질환), 약물 투여로 인한 엽산결핍증(항경련제, 경구피임제, 항말라리아제), 알코올 중독 및 간질환에 관련된 거대적혈구성 빈혈, 흡수부전증, 골수염증, 골수이상인 고령환자
용법/용량
엽산결핍증, 타약물 투여로 인한 결핍증 치료: 엽산으로서 성인 및 소아에게 1일 0.25 ~ 1mg 을 경구투여
엽산결핍증 예방 및 엽산의 요구량이 증대하는 각종 질환: 엽산으로서 성인 및 소아 1일 0.1 ~ 0.25mg 을 경구투여
부작용
위장장애, 홍반, 부종, 오심, 발진, 소양감, 권태, 구토, 체중감소, allergy증상
MTOCO - W
약리기전
Vitamin E
효과/효능
1. 비타민 E 결핍증
2. 말초순환기능장애(간헐성파행증, 동상등)의 보조요법
3. 내분비기능 장애(배란장애)의 보조요법 (외용) 제제첨가제로서 황산화제, 피부보호제
용법/용량
1일 100 ~ 1000 I.U. 를 경구 투여한다.
부작용
1. 때
추천자료
Bowlby & Ainsworth의 애착이론과 자아개념
[아동복지]아동발달-보울비와 아인스워드의 애착이론
애착발달, 유형, 부모의 역할 - 애착이론, 낯선 상황 실험 절차, 애착 발달, 애착의 유형, 부...
사회관계영역과 관련된 이론 중 “애착이론”에 대해 조사하고 보육시설의 교사에게 어떤 시사...
[아동발달 A형]애착의 발달에 대하여 논하시오
[아동복지론] 유아기 부모와의 애착관계가 아동의 일생에 미치는 영향
애착이론 3가지(안정애착, 불안정애착, 혼돈애착)을 서술하고 이에 대한 정의와 예를 드시오
부모 혹은 자신을 돌보아 주었던 주 양육자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어린시절 자신의 애착유형을...
[아동발달 A형] 영아기의 애착 발달에 대하여 논하시오
영유아기의 정신건강 문제인 반응성 애착장애에 대해 서술
EBS 다큐프라임 <아기성장 보고서> “제3장 애착” 간단 내용정리 및 감상
보육기관에 다니는 교사와 영아가 애착을 높이기 위한 활동방법을 각 주제에 따라 2가지 이상...
(볼비) 보울비(John M. Bowlby)의 애착이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