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 주제선정이유 1
2 . 기업소개 2
- 파리바게트
- 뚜레쥬르
3 . 시장분석비교 4
- 매출액과 성장률 및 시장점유율
- BSTI순위
- 점포수 현황
4 . 마케팅전략 6
- 4P 분석
5 . 결론 12
- 시사점
- 발전방향
6 . 참고문헌 15
2 . 기업소개 2
- 파리바게트
- 뚜레쥬르
3 . 시장분석비교 4
- 매출액과 성장률 및 시장점유율
- BSTI순위
- 점포수 현황
4 . 마케팅전략 6
- 4P 분석
5 . 결론 12
- 시사점
- 발전방향
6 . 참고문헌 15
본문내용
제품 생산의 간소화는 고객들에게는 갓 구운 따끈하고 맛있는 빵을 제공한다는 것 이외에 개인제과점에 비해 4~5배 높은 생산성 및 56% 이상의 높은 마진율로 일거양득의 효과까지 제공하고 있다.
④ 프로모션(promotion)
‘프레쉬 다이어리’ 등 홈페이지 내 다양한 이벤트
고객과의 쌍방향 커뮤니티를 위해 뚜레쥬르 홈페이지에서 \'프레쉬 다이어리\' 코너를 운영하고 있다. 이 ‘프레쉬 다이어리’ 코너에서는 고객들의 다양한 아이디어를 서로 공유하기도 하고 뚜레쥬르 빵을 먹은 후의 소감을 적기도하며 뚜레쥬르 사진과 동영상 ucc를 올리며 뚜레쥬르 퀴즈테스트에도 참여할 수 있다. 또한 뚜레쥬르는 “love story이벤트, 시식기 이벤트, 뚜레쥬르 빵 퀴즈 이벤트, 러브홀릭 이벤트” 등의 많은 이벤트를 항상 하고 있다.
크리스마스 시즌 광고 등 다양한 광고
TV광고, 지면광고, 라디오광고 등을 하고 있으며 1999년 지미기편, 2000년 이미숙편, 2002년 김현주편, 2004~2005년 이현우편, 2006년에 두 편의 조인성편, 2007년에 네 편의 조인성&구혜선편 등등 해마다 지속적으로 TV광고를 했다. 특히 크리스마스 시즌에 시대 별 톱스타를 활용한 TV광고를 내보내고 있으며, 최근 2010년 크리스마스시즌에는 인기스타 원빈이 광고에 출현하여 많은 고객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5. 결론
(1) 시사점
뚜레쥬르와 경쟁사인 파리바게트를 비교해보면 뚜레쥬르가 점포에서 직접 빵을 굽고 있는 시스템이고, 파리바게트가 회사에서 만들어진 빵을 가져오는 시스템이기 때문에 뚜레쥬르가 맛과 신선도 면에서는 앞서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파리바게트와 뚜레쥬르의 시스템을 비교해보면 두 브랜드 모두 냉동생지를 이용하여 빵을 굽는다. 그러나 반제품과 완제품의 비율이 다르다. 매장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파리바게트는 일반적으로 반제품 비율이 70%선이다. 그에 반해 뚜레쥬르는 반제품 비율이 거의 90%선을 넘어선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뚜레쥬르 > 파리바게트 순으로 소비자들에게 빵이 맛있다고 평가된다. 대신 매장 입장에서는 단점이 있다. 반제품의 비율이 높으면 매장 내에서 굽는 빵의 비율이 높기 때문에 빵이 신선하다는 평가를 받는 장점이 있는 대신 매장에 빵의 종류가 줄어들게 된다. 그리고 반제품의 비율이 높으면 매장에 인건비가 상승하고 빵을 구울 주방이 더 넓어야 하기 때문에 입지에서 조금 불리하다. 그와 반대로 마진은 반제품 비율이 높은 브랜드가 높다. 본사 책정한 마진은 파리바게트 37%, 뚜레쥬르 46% 수준이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파리바게트에 비해 반제품의 비율이 높은 뚜레쥬르는 그만큼 매장 내에서 굽는 빵의 비율이 높기 때문에 빵이 더 신선하고 맛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뚜레쥬르는 매장 100%가 냉동생지로 빵을 굽는다. 그러기에 주방이라는 빵 만드는 장소가 없다면 점포허가 자체가 안 나는 까다로움이 있다. 뚜레쥬르의 가맹점 개설요건에서 파리바게트에는 없는 주방 5평이라는 조건을 두고 있는데 그 이유는 파리바게트는 매장에서 직접 굽는 매장이 몇 개 있지만 뚜레쥬르는 매장에서 직접 굽지 않는 점포는 없다는 뜻이다. 모든 뚜레쥬르 매장 앞에는 하루 세 번 빵 나오는 시간이 적힌 보드가 놓여있어 빵 종류에 따라 나오는 시간에 찾아가 갓 나온 따끈하고 신선한 빵을 맛 볼 수 있다. 하지만 뚜레쥬르는 고급화 전략을 사용하여 가격면에서 파리바게트에게 뒤지고 있으며, 특히 인지도 면에서 볼 때 매우 뒤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물론 뚜레쥬르가 베이커리 업계의 신성으로 크라운 베이커리를 누르고 2등으로 올라 선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베이커리 업계에서 몇 십 년 동안 1등으로 존속해온 파리바게트의 인지도는 빵을 잘 안 먹는 사람도 빵집 하면 파리 바게트를 연상 시킬 만큼 대단하다고 할 수 있다. 즉, 뚜레쥬르가 맛과 신선도 면에서는 파리 바게트를 압도하고 있으나 소비자 인지도 면에서 파리바게트에게 뒤처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렇게 제품 면에서 뛰어난 요소를 가지고 있는데도 파리바게트가 뚜레쥬르에 비해 월등한 위치를 차지하는 이유는 ‘마케팅’의 차이라고 밖에 할 수 없다. 단순히 빵을 맛있게 만드는 데서 멈춘 게 아니라 소비자들의 오감을 자극했던 것이다. 초기에 큰 화제를 불러일으켰던 광고가 대표적인 예다. 김희선과 꼬마 소녀가 파리바게트 매장 앞에서 빵이 나오기를 기다리고 있을 때 빵이 다 구워졌다는 신호인 종소리가 울린다. 바로 국내 베이커리 업계에서 처음 시도한 ‘베이크 오프 시스템(Bake off system) ’이 바로 이 광고에서 알리고자 했던 핵심이다. 이렇게 ‘신선한 빵’을 알리고자 하는 적극적인 광고 혹은 마케팅으로 파리바게트는 경쟁자 없는 부동의 1위 자리를 유지하는 것이다.
(2) 발전방향
1) 파리바게트
과학적 출점 전략
베이커리 전문점은 상권과 입지가 성공을 좌우한다. 따라서 지속적으로 과학적 출점 전략이 필요하다. 베이커리 포화시장에서 후퇴하는 기업으로 인해 시장의 공백이 형성되며 최근에는 중국미국으로 해외진출을 도모하는 등 새로운 기회이자 지속적 성장의 발판이 되고 있다. 때문에 최적 입지의 점포를 찾아내는 것이 성공의 관건이다.
다양한 프로모션 전략 추진
파리바게트는 여러 가지 프로모션전략이 잘 갖추어져 있다. 하지만 경쟁사의 지속적인 시장진입 및 확대 시도에 대비해 다양한 전략을 준비해야한다. 경쟁사와 비슷한 전략으로 대응하다보면, 결국 브랜드간 과다경쟁을 초래 수 있으며, 이는 매출액 대비 마진률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이러한 요인은 점주에게 민감한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좀 더 부가가치가 높은 케이크류와, 선물류, 아이스등 기타 상품에 대한 마케팅도 함께 보완할 필요가 있다.
체험 마케팅의 강화
체험 마케팅은 소비자들의 직접체험을 통해 제품을 홍보하는 마케팅 기법이다. 고객은 단순히 제품의 특징이나 제품이 주는 이익을 나열하는 마케팅 보다는 잊지 못할 체험을 통한 마케팅에서 더욱 큰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파리바게트에서도 다양한 체험 마케팅을 통해 고객에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젊은 층의 지속적 관심 촉진
최근 들어 샌드위치 전문점, 커피 전문점 등 스페셜티
④ 프로모션(promotion)
‘프레쉬 다이어리’ 등 홈페이지 내 다양한 이벤트
고객과의 쌍방향 커뮤니티를 위해 뚜레쥬르 홈페이지에서 \'프레쉬 다이어리\' 코너를 운영하고 있다. 이 ‘프레쉬 다이어리’ 코너에서는 고객들의 다양한 아이디어를 서로 공유하기도 하고 뚜레쥬르 빵을 먹은 후의 소감을 적기도하며 뚜레쥬르 사진과 동영상 ucc를 올리며 뚜레쥬르 퀴즈테스트에도 참여할 수 있다. 또한 뚜레쥬르는 “love story이벤트, 시식기 이벤트, 뚜레쥬르 빵 퀴즈 이벤트, 러브홀릭 이벤트” 등의 많은 이벤트를 항상 하고 있다.
크리스마스 시즌 광고 등 다양한 광고
TV광고, 지면광고, 라디오광고 등을 하고 있으며 1999년 지미기편, 2000년 이미숙편, 2002년 김현주편, 2004~2005년 이현우편, 2006년에 두 편의 조인성편, 2007년에 네 편의 조인성&구혜선편 등등 해마다 지속적으로 TV광고를 했다. 특히 크리스마스 시즌에 시대 별 톱스타를 활용한 TV광고를 내보내고 있으며, 최근 2010년 크리스마스시즌에는 인기스타 원빈이 광고에 출현하여 많은 고객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5. 결론
(1) 시사점
뚜레쥬르와 경쟁사인 파리바게트를 비교해보면 뚜레쥬르가 점포에서 직접 빵을 굽고 있는 시스템이고, 파리바게트가 회사에서 만들어진 빵을 가져오는 시스템이기 때문에 뚜레쥬르가 맛과 신선도 면에서는 앞서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파리바게트와 뚜레쥬르의 시스템을 비교해보면 두 브랜드 모두 냉동생지를 이용하여 빵을 굽는다. 그러나 반제품과 완제품의 비율이 다르다. 매장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파리바게트는 일반적으로 반제품 비율이 70%선이다. 그에 반해 뚜레쥬르는 반제품 비율이 거의 90%선을 넘어선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뚜레쥬르 > 파리바게트 순으로 소비자들에게 빵이 맛있다고 평가된다. 대신 매장 입장에서는 단점이 있다. 반제품의 비율이 높으면 매장 내에서 굽는 빵의 비율이 높기 때문에 빵이 신선하다는 평가를 받는 장점이 있는 대신 매장에 빵의 종류가 줄어들게 된다. 그리고 반제품의 비율이 높으면 매장에 인건비가 상승하고 빵을 구울 주방이 더 넓어야 하기 때문에 입지에서 조금 불리하다. 그와 반대로 마진은 반제품 비율이 높은 브랜드가 높다. 본사 책정한 마진은 파리바게트 37%, 뚜레쥬르 46% 수준이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파리바게트에 비해 반제품의 비율이 높은 뚜레쥬르는 그만큼 매장 내에서 굽는 빵의 비율이 높기 때문에 빵이 더 신선하고 맛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뚜레쥬르는 매장 100%가 냉동생지로 빵을 굽는다. 그러기에 주방이라는 빵 만드는 장소가 없다면 점포허가 자체가 안 나는 까다로움이 있다. 뚜레쥬르의 가맹점 개설요건에서 파리바게트에는 없는 주방 5평이라는 조건을 두고 있는데 그 이유는 파리바게트는 매장에서 직접 굽는 매장이 몇 개 있지만 뚜레쥬르는 매장에서 직접 굽지 않는 점포는 없다는 뜻이다. 모든 뚜레쥬르 매장 앞에는 하루 세 번 빵 나오는 시간이 적힌 보드가 놓여있어 빵 종류에 따라 나오는 시간에 찾아가 갓 나온 따끈하고 신선한 빵을 맛 볼 수 있다. 하지만 뚜레쥬르는 고급화 전략을 사용하여 가격면에서 파리바게트에게 뒤지고 있으며, 특히 인지도 면에서 볼 때 매우 뒤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물론 뚜레쥬르가 베이커리 업계의 신성으로 크라운 베이커리를 누르고 2등으로 올라 선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베이커리 업계에서 몇 십 년 동안 1등으로 존속해온 파리바게트의 인지도는 빵을 잘 안 먹는 사람도 빵집 하면 파리 바게트를 연상 시킬 만큼 대단하다고 할 수 있다. 즉, 뚜레쥬르가 맛과 신선도 면에서는 파리 바게트를 압도하고 있으나 소비자 인지도 면에서 파리바게트에게 뒤처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렇게 제품 면에서 뛰어난 요소를 가지고 있는데도 파리바게트가 뚜레쥬르에 비해 월등한 위치를 차지하는 이유는 ‘마케팅’의 차이라고 밖에 할 수 없다. 단순히 빵을 맛있게 만드는 데서 멈춘 게 아니라 소비자들의 오감을 자극했던 것이다. 초기에 큰 화제를 불러일으켰던 광고가 대표적인 예다. 김희선과 꼬마 소녀가 파리바게트 매장 앞에서 빵이 나오기를 기다리고 있을 때 빵이 다 구워졌다는 신호인 종소리가 울린다. 바로 국내 베이커리 업계에서 처음 시도한 ‘베이크 오프 시스템(Bake off system) ’이 바로 이 광고에서 알리고자 했던 핵심이다. 이렇게 ‘신선한 빵’을 알리고자 하는 적극적인 광고 혹은 마케팅으로 파리바게트는 경쟁자 없는 부동의 1위 자리를 유지하는 것이다.
(2) 발전방향
1) 파리바게트
과학적 출점 전략
베이커리 전문점은 상권과 입지가 성공을 좌우한다. 따라서 지속적으로 과학적 출점 전략이 필요하다. 베이커리 포화시장에서 후퇴하는 기업으로 인해 시장의 공백이 형성되며 최근에는 중국미국으로 해외진출을 도모하는 등 새로운 기회이자 지속적 성장의 발판이 되고 있다. 때문에 최적 입지의 점포를 찾아내는 것이 성공의 관건이다.
다양한 프로모션 전략 추진
파리바게트는 여러 가지 프로모션전략이 잘 갖추어져 있다. 하지만 경쟁사의 지속적인 시장진입 및 확대 시도에 대비해 다양한 전략을 준비해야한다. 경쟁사와 비슷한 전략으로 대응하다보면, 결국 브랜드간 과다경쟁을 초래 수 있으며, 이는 매출액 대비 마진률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이러한 요인은 점주에게 민감한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좀 더 부가가치가 높은 케이크류와, 선물류, 아이스등 기타 상품에 대한 마케팅도 함께 보완할 필요가 있다.
체험 마케팅의 강화
체험 마케팅은 소비자들의 직접체험을 통해 제품을 홍보하는 마케팅 기법이다. 고객은 단순히 제품의 특징이나 제품이 주는 이익을 나열하는 마케팅 보다는 잊지 못할 체험을 통한 마케팅에서 더욱 큰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파리바게트에서도 다양한 체험 마케팅을 통해 고객에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젊은 층의 지속적 관심 촉진
최근 들어 샌드위치 전문점, 커피 전문점 등 스페셜티
추천자료
미샤의 마케팅전략/서론및 선정이유/미샤소개/블루오션 경영/화장품산업분석/4대 마케팅전략/...
닌텐도(Nintendo)DS 마케팅전략분석 및 새로운 전략제안 (소니PSP와 비교분석)
코스트코(Costco) VS 이마트(E-Mart) 기업비교분석 및 마케팅전략 비교분석 및 약점개선위한 ...
스마트폰 마케팅전략분석<삼성옴니아2와 아이폰비교분석>
DHL VS 한진택배 마케팅전략 비교분석 및 SWOT, STP분석
SKT(SK텔레콤 SK Telecom) vs KT 기업 경쟁전략 비교분석과 마케팅전략 비교분석 PPT자료
티몬 vs 쿠팡 마케팅전략 비교분석과 소셜커머스 개념,특성분석및 쿠팡,티몬 기업분석과 향후...
JINAIR 진에어 기업분석및 진에어 마케팅전략 분석과 진에어 새로운 마케팅전략제안 (vs 제주...
맥도날드(McDonald`s) 마케팅전략분석과 산업 분석, 맥도날드 경쟁사(롯데리아,버거킹,크라제...
리츠칼튼호텔 vs 롯데호텔 호텔경영 마케팅전략 비교분석및 롯데호텔,리츠칼튼 새로운 전략제...
캐리비안베이 vs 오션월드 마케팅전략 비교분석 및 오션월드,캐리비안베이 브랜드분석및 SWOT...
이마트 (E-MART) 경영,마케팅전략분석과 이마트 향후 경영전략제안 (롯데마트,홈플러스와 비...
던킨도너츠 Dunkin` Donuts {기업 및 브랜드소개, 마케팅전략, 경쟁사 비교분석, 성공 및 차...
코카콜라 vs 펩시 마케팅전략 케이스연구- 코카콜라 vs 펩시콜라 기업분석과 SWOT비교분석 및...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