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법과는 크게 다르다.
1) 직접거리측량
- 이 방법은 보통 공사용 측량에서와 같이 큰 정밀도를 필요로 하지 않는 일반적인 직접 거리 측량으로서 줄자 등을 주로 사용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을 말한다. 이 방법에 의하여 거리를 측정하려면 적어도 전수(leader)와 후수(follower)의 두 사람이 필요하며 따로 기록수 또는 반장이 있어서 야장을 기입하거나 지휘를 하면 더욱 편리하다.
① 평지에서의 측정
- 평지에 설정된 두 점간의 거리를 여러 개의 같은 구간으로 나누어 측정하고자 할 때는 두 점간을 연결하는 직선 위에서 측정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때의 최종 측정거리는 총 측정 횟수에 줄자의 길이를 곱하고 잔여 측정 거리를 합하여 구하여 진다.
이 작업에서 주의해야 할점은, 첫째, 줄자는 측선 위에 있어야 하며 수평으로 하여야 하고, 둘째, 줄자가 자체의 무게나 바람 때문에 중간에 처짐이 생기지 않도록 적당한 힘으로 당기면서 측정한다. 마지막으로 같은 거리를 적어도 두 번 이상 측정하는 것이 좋다.
② 경사지에서의 측정
- 경사지에서의 거리 측정은 측정할 구간을 계단형으로 구분하여 각 구간마다 줄자를 수평하게 하면서 측정하는 계단식 방법과 경사 거리를 측정하여 수평거리로 환산하는 방법 등이 있다.
ⅰ) 계단식 거리측정 방법
- 이 방법은 측정할 거리를 적절한 크기의 구간으로 나누어서 위 그림과 같이 줄자를 수평으로 하여 구간별로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에 의한 거리 측정은 줄자의 수평 정도와 줄자의 끝점을 땅에 표시할 때 생기는 오차에 따라 정확도가 결정된다. 따라서 그림에서와 같이 줄자의 끝점을 땅에 표시할 때 생기는 오차에 따라 정확도가 결정된다. 따라서 그림에서와 같이 줄자를 포올에 의지하여 수평으로 하고 측량 추를 사용하여 연직방향으로 줄자의 끝을 땅에 표시하면 오차를 크게 줄일 수 있다.
ⅱ) 경사거리를 측정하여 수평거리로 환산하는 방법
- 경사각 또는 두 점간의 표고 차를 알 수 있으며 경사면이 일정한 경우에는 경사면에 따라 경사 거리를 측정하여 이를 환산하면 수평 거리를 얻게 된다.
2) 간접거리측량
① 보측
- 보측은 직접 거리 측량아리 할 수 있으나 총 측정된 발자국에 한 발자국(보)의 길이를 곱하여 총 측정거리를 구하는 방법이므로 엄밀한 의미에서는 간접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보측은 답사와 같이 개략적인 사항을 알고자 할 때 또는 정밀도가 낮은 소축척의 지도를 만드는 측량에서 짧은 거리를 측정할 때 등 여러 방면에 이용된다. 특히 보측에 의한 거리측정은 정밀도가 낮은 반면에 별도의 측정 기구가 필요없이 어느 누구나 잘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측정단위는 보(pace)이뎌 1보는 보통 어느 한 발의 뒤꿈치(또는 앞 끝)로부터 다른 한 발의 뒤꿈치(또는 앞 끝) 까지의 거리롤 정의되며, 두 발의 1 보씩을 합하여 1복보(stride)라 한다. 1 보의 길이는 사람에 따라 다르나 우리나라 사람의 경우 보통 75cm이며 1 복보는 1.5m가 된다.
② 차륜측정계(odometer)에 의한 방법
- 차륜 거리측정기는 바퀴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차륜측정계를 회전하는 바퀴에 부착하여 바퀴의 총 회전수를 측정하고 이에 바퀴 하나의 둘레를 곱하여 총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차륜 거리 측정기는 위 그림과 같이 특별히 고안된 차륜에 부착된 경우도 있고 차량 또는 자전거 등에도 부착하여 장거리 측정에 사용되기도 한다. 이 방법은 특히 곡선의 거리 측량에 적절하며 1/200 정도의 정밀도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차륜 거리 측정기는 일반적으로 바퀴 하나의 둘레 길이를 척정단위로 하고 있지만 바퀴의 둘레를 측정 단위로 하지 않고 한 바퀴 회전할
1) 직접거리측량
- 이 방법은 보통 공사용 측량에서와 같이 큰 정밀도를 필요로 하지 않는 일반적인 직접 거리 측량으로서 줄자 등을 주로 사용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을 말한다. 이 방법에 의하여 거리를 측정하려면 적어도 전수(leader)와 후수(follower)의 두 사람이 필요하며 따로 기록수 또는 반장이 있어서 야장을 기입하거나 지휘를 하면 더욱 편리하다.
① 평지에서의 측정
- 평지에 설정된 두 점간의 거리를 여러 개의 같은 구간으로 나누어 측정하고자 할 때는 두 점간을 연결하는 직선 위에서 측정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때의 최종 측정거리는 총 측정 횟수에 줄자의 길이를 곱하고 잔여 측정 거리를 합하여 구하여 진다.
이 작업에서 주의해야 할점은, 첫째, 줄자는 측선 위에 있어야 하며 수평으로 하여야 하고, 둘째, 줄자가 자체의 무게나 바람 때문에 중간에 처짐이 생기지 않도록 적당한 힘으로 당기면서 측정한다. 마지막으로 같은 거리를 적어도 두 번 이상 측정하는 것이 좋다.
② 경사지에서의 측정
- 경사지에서의 거리 측정은 측정할 구간을 계단형으로 구분하여 각 구간마다 줄자를 수평하게 하면서 측정하는 계단식 방법과 경사 거리를 측정하여 수평거리로 환산하는 방법 등이 있다.
ⅰ) 계단식 거리측정 방법
- 이 방법은 측정할 거리를 적절한 크기의 구간으로 나누어서 위 그림과 같이 줄자를 수평으로 하여 구간별로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에 의한 거리 측정은 줄자의 수평 정도와 줄자의 끝점을 땅에 표시할 때 생기는 오차에 따라 정확도가 결정된다. 따라서 그림에서와 같이 줄자의 끝점을 땅에 표시할 때 생기는 오차에 따라 정확도가 결정된다. 따라서 그림에서와 같이 줄자를 포올에 의지하여 수평으로 하고 측량 추를 사용하여 연직방향으로 줄자의 끝을 땅에 표시하면 오차를 크게 줄일 수 있다.
ⅱ) 경사거리를 측정하여 수평거리로 환산하는 방법
- 경사각 또는 두 점간의 표고 차를 알 수 있으며 경사면이 일정한 경우에는 경사면에 따라 경사 거리를 측정하여 이를 환산하면 수평 거리를 얻게 된다.
2) 간접거리측량
① 보측
- 보측은 직접 거리 측량아리 할 수 있으나 총 측정된 발자국에 한 발자국(보)의 길이를 곱하여 총 측정거리를 구하는 방법이므로 엄밀한 의미에서는 간접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보측은 답사와 같이 개략적인 사항을 알고자 할 때 또는 정밀도가 낮은 소축척의 지도를 만드는 측량에서 짧은 거리를 측정할 때 등 여러 방면에 이용된다. 특히 보측에 의한 거리측정은 정밀도가 낮은 반면에 별도의 측정 기구가 필요없이 어느 누구나 잘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측정단위는 보(pace)이뎌 1보는 보통 어느 한 발의 뒤꿈치(또는 앞 끝)로부터 다른 한 발의 뒤꿈치(또는 앞 끝) 까지의 거리롤 정의되며, 두 발의 1 보씩을 합하여 1복보(stride)라 한다. 1 보의 길이는 사람에 따라 다르나 우리나라 사람의 경우 보통 75cm이며 1 복보는 1.5m가 된다.
② 차륜측정계(odometer)에 의한 방법
- 차륜 거리측정기는 바퀴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차륜측정계를 회전하는 바퀴에 부착하여 바퀴의 총 회전수를 측정하고 이에 바퀴 하나의 둘레를 곱하여 총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차륜 거리 측정기는 위 그림과 같이 특별히 고안된 차륜에 부착된 경우도 있고 차량 또는 자전거 등에도 부착하여 장거리 측정에 사용되기도 한다. 이 방법은 특히 곡선의 거리 측량에 적절하며 1/200 정도의 정밀도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차륜 거리 측정기는 일반적으로 바퀴 하나의 둘레 길이를 척정단위로 하고 있지만 바퀴의 둘레를 측정 단위로 하지 않고 한 바퀴 회전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