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목차
[1] 보조기학과 의지학 (Orthotics and Prosthetics)
[2] 보조기학(Orthotics)의 입문
[3] 하지 보조기
[3] - 1. 단하지 보조기
[3] - 2. KAF orthosis(LLB)
[3] - 3. 슬관절 보조기 (KO - Knee orthosis)
[3] - 4. 구두 : 하지 보조기의 가장 기본
[3] - 5. 구두의 수정(shoe modification)
[3] - 6. 발에 발생하는 병변과 구두의 수정
[3] - 7. 하지 보조기의 점검 및 평가
[3] - 8. 하지 보조기의 제작
[3] - 9. 소아의 특수한 질병에 사용되는 보조기
[3] - 10. 하지에 대한 플라스틱 보조기
[4] 상지 보조기(Upper limb orthosis)
[4] - 1. 견갑대 및 견관절에 대한 보조기
[4] - 2. elbow orthosis
[4] - 3. 수근관절과 손에 대한 보조기
[4] - 4. 손에 대한 플라스틱 보조기
[5] 척추 보조기(Spinal orthosis)
[5] - 1. 유연성 척추 보조기 (Flexible spinal orthosis)
[5] - 2. 경직성 척추 보조기
[6] 기립, 보행, 이동을 위한 보조장비
Ⅱ.의지학
[1] 절단
[2] 상지 의지
[3] 하지의지
[2] 보조기학(Orthotics)의 입문
[3] 하지 보조기
[3] - 1. 단하지 보조기
[3] - 2. KAF orthosis(LLB)
[3] - 3. 슬관절 보조기 (KO - Knee orthosis)
[3] - 4. 구두 : 하지 보조기의 가장 기본
[3] - 5. 구두의 수정(shoe modification)
[3] - 6. 발에 발생하는 병변과 구두의 수정
[3] - 7. 하지 보조기의 점검 및 평가
[3] - 8. 하지 보조기의 제작
[3] - 9. 소아의 특수한 질병에 사용되는 보조기
[3] - 10. 하지에 대한 플라스틱 보조기
[4] 상지 보조기(Upper limb orthosis)
[4] - 1. 견갑대 및 견관절에 대한 보조기
[4] - 2. elbow orthosis
[4] - 3. 수근관절과 손에 대한 보조기
[4] - 4. 손에 대한 플라스틱 보조기
[5] 척추 보조기(Spinal orthosis)
[5] - 1. 유연성 척추 보조기 (Flexible spinal orthosis)
[5] - 2. 경직성 척추 보조기
[6] 기립, 보행, 이동을 위한 보조장비
Ⅱ.의지학
[1] 절단
[2] 상지 의지
[3] 하지의지
본문내용
-구조가 복잡하고 내구성이 떨어진다.
(3) 캘리퍼 (caliper)
-구두를 쉽게 교환할 수 있다.
-무겁고 캘리퍼가 빠지기 쉽다.
-인체의 족관절과 일치하지 않는다.
(4)Shoe insert (metal arch plate)
-발의 아취를 잘 받쳐주어야 할 때도 이것을 사용한다.
-양 발의 크기가 같은데 이것을 신어야 할 때에는 오히려 한쪽 구두를 크게 맞추어야하는 단점이 있다.
3. 보조기의 족관절 (mechanical ankle joint)
1) 가동 족관절 (free motion ankle joint)
-외반과 내반은 할 수 없으며 단지 배측굴곡(dorsiflexion)과 족저굴곡(plantar flexion)만 허용한다.
-족관절의 배측굴곡근(dorsiflrxor)이나 족저굴곡근(plantar flexor)이 약할 때 또는 균형을 이루지 못할때 이 관절을 사용해서는 안된다.
2) 제한 족관절 (limited motion ankle joint)
(1)Anterior stop(dorsiflexion stop)
-족저굴곡근(plantar flexor)이 약할 때나 경골신경 마비 (tibial nerve palsy)로 calcaneus gait 를 할때 적용한다.
(2)Posterior stop(plantar flexion stop)
-배측굴곡근(dorsiflrxor)아 약할 때 또는 비골신경(peroneal nerve)의 마비로 하족수( foot drop)이 되었을 때 사용된다.
(3)Double stop(limited ankle stop)
-5~10도정도 허용하는 관절이다.
-배측굴곡근(dorsiflrxor)이나 족저굴곡근(plantar flexor)이 모두 약하거나 마비 되었을때 사용한다.
3)운동보조 족관절(assist motion ankle joint)
(1)Klenzak joint
-스프링의 작용으로 족관절의 배측굴곡(dorsiflexion)을 도와주는 관절이다.
-비골신경(peroneal nerve)의 마비로 하족수( foot drop)가 되었을 때 posterior stop 보 다 사용하기 좋다.
-상위 운동신경원(upper motor neuron) 장애를 가진 환자에게는 사용하지 않는다.
(2)Wire spring dorsiflexion assist
-보조기의 족관절이 없어 역학적으로 적합하지 않다.
-가격이 저렴하고 조작이 간편하다.
(3)Double action ankle assist
- 배측굴곡(dorsiflexion)과 족저굴곡(plantar flexion)의 작용을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4)Dorsiflexion foot brace
-족관절의 배측굴곡을 도와주기 위해서 고안된 장치이다.
(5)Plastic below knee orthosis
-약간의 배측굴곡을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4.엎라이트(upright)
1)One posterior upright
-어린아이는 엎라이트를 겹치게 만들어 성장하는 데 따라 늘려눌 수 있도록 만들어 주면 좋다.
2)One lateral upright
-발이 내측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며 vlagus deformity를 교정하기 위한 엎라이트이다.
3)One medial upright
-발이 외측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며 varus deformity를 eywjd하기 위한 엎라이트이다.
5.밴드와 커프(band and cuff)
-내측 엎라이트 외측 엎라이트는 넓이가 약 2.5~4cm되는 반원형의 금속판으로 된 밴드에 의하여 후면에 수평으로 연결되어 있다.
6.스트? (strap)
1)Valgus strap
-발의 내측에 부착되어 있으며 flexible valgus deformity를 교정하기 위한 것이다.
-체중부하를 외측으로 쏠리게 한다.
2)Varus strap
-구두에 외측에 부착되어 있고 flexible varus deformity를 교정하기 위해 사용한다.
-체중부하를 내측으로 쏠리게 한다.
-2 장하지 보조기 (knee-ankle-foot orthosis(KAFO),long leg brace)
1.엎라이트(upright)
-외측 엎라이트는 대전자(greater trochanter)의 바로 밑에 오게해야 하며 내측 엎라이트는 회음부(perineum)에서 약 1.3cm되는 곳까지 오게해야 한다.
2.밴드와 커프
-성인의 보조기에서는 다리의 길이에 따라 대퇴와 하퇴의 한 개 또는 두 개의 밴드가 필요 하게 되는 데 보통 대퇴에는 두 개, 하퇴에는 한 개의 밴드가 필요하다.
3.보조기의 슬관절
1)가동 슬관절(free knee joint)
-굴곡(flexion)과 신전(extension)의 운동을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는 관절이다.
-전반슬(back knee or genu recurvatum)을 고정할 때 쓰인다.
2)슬관절 자물쇠(lock knee joint)
(1)링럭 (ring lock)
-Retention button 은 슬관절을 잠글 필요가 없을때 엎라이트에서 흘러내려오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장치이다.
-편마비 환자(hemiplegia)는 링이 손에 쉽게 닿도록 내측 엎라이트에 달아준다.
(2)스프링손잡이달린 링럭 (ring lock with spring loaded pull rod)
-손잡이를 위로 잡아 당기면 보조기의 슬관절이 쉽게 열리게 되어 있다.
-허리를 굽히지 않고도 자물쇠를 열수 있는 장점이 있다.
(3)플런자럭(plunger lock or klenzak spring knee lock)
-스플링 손잡이가 달린 링럭과 비슷하여 기계적인 복잡성 때문에 문제가 많다.
(4)캠럭(cam lock)
-C자 형태의 반월형 캠럭은 무릎을 쭉 피게 되면 자동적으로 잠기며 손으로 눌러서 풀거나 책상이나 걸상 모서리에 금속밴드를 누르면 자동적으로 열려지게 되어있다.
(5)휀럭(fan lock)
-서 있을 때 슬관절의 위치에 따라 각도를 고정하며 링럭을 채운다.
(6)다이알럭(dial lock)
-슬관절의 어느 한쪽 운동을 제한 시키며 반대쪽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할 때 사용한 다.
(7)다축관절(poiycentric knee joint)
-두개의 축으로 움직이는 관절이다.
(8) 옵
(3) 캘리퍼 (caliper)
-구두를 쉽게 교환할 수 있다.
-무겁고 캘리퍼가 빠지기 쉽다.
-인체의 족관절과 일치하지 않는다.
(4)Shoe insert (metal arch plate)
-발의 아취를 잘 받쳐주어야 할 때도 이것을 사용한다.
-양 발의 크기가 같은데 이것을 신어야 할 때에는 오히려 한쪽 구두를 크게 맞추어야하는 단점이 있다.
3. 보조기의 족관절 (mechanical ankle joint)
1) 가동 족관절 (free motion ankle joint)
-외반과 내반은 할 수 없으며 단지 배측굴곡(dorsiflexion)과 족저굴곡(plantar flexion)만 허용한다.
-족관절의 배측굴곡근(dorsiflrxor)이나 족저굴곡근(plantar flexor)이 약할 때 또는 균형을 이루지 못할때 이 관절을 사용해서는 안된다.
2) 제한 족관절 (limited motion ankle joint)
(1)Anterior stop(dorsiflexion stop)
-족저굴곡근(plantar flexor)이 약할 때나 경골신경 마비 (tibial nerve palsy)로 calcaneus gait 를 할때 적용한다.
(2)Posterior stop(plantar flexion stop)
-배측굴곡근(dorsiflrxor)아 약할 때 또는 비골신경(peroneal nerve)의 마비로 하족수( foot drop)이 되었을 때 사용된다.
(3)Double stop(limited ankle stop)
-5~10도정도 허용하는 관절이다.
-배측굴곡근(dorsiflrxor)이나 족저굴곡근(plantar flexor)이 모두 약하거나 마비 되었을때 사용한다.
3)운동보조 족관절(assist motion ankle joint)
(1)Klenzak joint
-스프링의 작용으로 족관절의 배측굴곡(dorsiflexion)을 도와주는 관절이다.
-비골신경(peroneal nerve)의 마비로 하족수( foot drop)가 되었을 때 posterior stop 보 다 사용하기 좋다.
-상위 운동신경원(upper motor neuron) 장애를 가진 환자에게는 사용하지 않는다.
(2)Wire spring dorsiflexion assist
-보조기의 족관절이 없어 역학적으로 적합하지 않다.
-가격이 저렴하고 조작이 간편하다.
(3)Double action ankle assist
- 배측굴곡(dorsiflexion)과 족저굴곡(plantar flexion)의 작용을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4)Dorsiflexion foot brace
-족관절의 배측굴곡을 도와주기 위해서 고안된 장치이다.
(5)Plastic below knee orthosis
-약간의 배측굴곡을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4.엎라이트(upright)
1)One posterior upright
-어린아이는 엎라이트를 겹치게 만들어 성장하는 데 따라 늘려눌 수 있도록 만들어 주면 좋다.
2)One lateral upright
-발이 내측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며 vlagus deformity를 교정하기 위한 엎라이트이다.
3)One medial upright
-발이 외측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며 varus deformity를 eywjd하기 위한 엎라이트이다.
5.밴드와 커프(band and cuff)
-내측 엎라이트 외측 엎라이트는 넓이가 약 2.5~4cm되는 반원형의 금속판으로 된 밴드에 의하여 후면에 수평으로 연결되어 있다.
6.스트? (strap)
1)Valgus strap
-발의 내측에 부착되어 있으며 flexible valgus deformity를 교정하기 위한 것이다.
-체중부하를 외측으로 쏠리게 한다.
2)Varus strap
-구두에 외측에 부착되어 있고 flexible varus deformity를 교정하기 위해 사용한다.
-체중부하를 내측으로 쏠리게 한다.
-2 장하지 보조기 (knee-ankle-foot orthosis(KAFO),long leg brace)
1.엎라이트(upright)
-외측 엎라이트는 대전자(greater trochanter)의 바로 밑에 오게해야 하며 내측 엎라이트는 회음부(perineum)에서 약 1.3cm되는 곳까지 오게해야 한다.
2.밴드와 커프
-성인의 보조기에서는 다리의 길이에 따라 대퇴와 하퇴의 한 개 또는 두 개의 밴드가 필요 하게 되는 데 보통 대퇴에는 두 개, 하퇴에는 한 개의 밴드가 필요하다.
3.보조기의 슬관절
1)가동 슬관절(free knee joint)
-굴곡(flexion)과 신전(extension)의 운동을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는 관절이다.
-전반슬(back knee or genu recurvatum)을 고정할 때 쓰인다.
2)슬관절 자물쇠(lock knee joint)
(1)링럭 (ring lock)
-Retention button 은 슬관절을 잠글 필요가 없을때 엎라이트에서 흘러내려오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장치이다.
-편마비 환자(hemiplegia)는 링이 손에 쉽게 닿도록 내측 엎라이트에 달아준다.
(2)스프링손잡이달린 링럭 (ring lock with spring loaded pull rod)
-손잡이를 위로 잡아 당기면 보조기의 슬관절이 쉽게 열리게 되어 있다.
-허리를 굽히지 않고도 자물쇠를 열수 있는 장점이 있다.
(3)플런자럭(plunger lock or klenzak spring knee lock)
-스플링 손잡이가 달린 링럭과 비슷하여 기계적인 복잡성 때문에 문제가 많다.
(4)캠럭(cam lock)
-C자 형태의 반월형 캠럭은 무릎을 쭉 피게 되면 자동적으로 잠기며 손으로 눌러서 풀거나 책상이나 걸상 모서리에 금속밴드를 누르면 자동적으로 열려지게 되어있다.
(5)휀럭(fan lock)
-서 있을 때 슬관절의 위치에 따라 각도를 고정하며 링럭을 채운다.
(6)다이알럭(dial lock)
-슬관절의 어느 한쪽 운동을 제한 시키며 반대쪽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할 때 사용한 다.
(7)다축관절(poiycentric knee joint)
-두개의 축으로 움직이는 관절이다.
(8) 옵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