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위원의 생애
시대적 배경
위원의 사상
- 위원의 실용주의
- 위원의 발전사관
- 선험론, 선지후행론 비판
- 위원의 평등사상
- 서구 문화의 수용
맺음말
시대적 배경
위원의 사상
- 위원의 실용주의
- 위원의 발전사관
- 선험론, 선지후행론 비판
- 위원의 평등사상
- 서구 문화의 수용
맺음말
본문내용
니었기 때문에 그의 개혁은 한계를 지닌다는 것이다.
맺음말
위원은 급격한 변동의 시기 중국에서 본격적으로 타자로서의 서양을 인식하고 그들을 수용하고 이용할 것을 주장한 첫 학자로서 커다란 의미를 가진다고 하겠다. 성리학에 집중되어 온 중국 사상계의 현실을 부정하고, 망해가는 중국의 현실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실용적이고 개혁적인 방안들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도 그의 사상과 노력은 큰 의의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비록 위원의 사상이 중국의 완전한 근대화로의 혁신을 담아낼 수 있을 정도로 근본적인 치유책은 되지 않지만, 이후 중국과 동아시아에 가져다 준 실효성이나 영향력에서 그의 사상은 매우 큰 의미를 가진다고 하겠다.
전통적인 중국 사상의 흐름 속에서 독특하게도 위원이 중국의 서구 수용과 근대화라는 측면에서 긍정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었던 것은 그가 가진 발전론적 역사관과 유연한 인식 덕분이라고 하겠다. 그는 중국의 시대상황 하에서 가장 필요한 것들을 고민하였고 그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당시 극단적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진보적인 사상들을 주장했으며, 오랑캐라고 여겨지던 서양의 기술과 사상을 받아들일 것을 주장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도 위원은 그 한계에도 불구하고 크게 평가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아쉬운 점은 위원의 서구 수용의 과정이 정상적인 문명의 대등한 교환과 융합이라는 차원에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전통적인 중국에 대한 근대적인 서구의 충격이라는 측면에서 이루어졌다는 점이다. 대등한 문화와 문화가 만나 긍정적인 융합을 이루기에는 시대적 상황이 너무도 제한적이고 급박했다는 점에서 위원의 사상이 가지는 가치와 함께 한계 또한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문제제기
동양의 근대성이란 것은 결국 서구의 충격과 도래에서 유래했다고 하겠다. 더욱이 ‘근대성’이란 개념은 너무도 서구적인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우리가 역사 속에서 끊임없이 근대성을 이야기하며, 또 그 기원을 전통적인 사상에서 찾으려 노력하는 것은 과연 어떤 의미가 있을까. 과연 서구가 충격을 가해오지 않았다면 동아시아는 ‘근대화’를 이룰 수 있었을까.
참고문헌
성혜영, 「위원의 경세사상과 경세책에 대한 일고」 서강대학교, 1983
侯外盧, 『중국근현대철학사』양재윤 역, 일월서각, 1991
이철승, 「근대 전환기 중국 사상계의 현실 인식과 사회변혁론: 위원의 철학 사상을 중심으로」 『동양사회사상』통권6호, 2002
맺음말
위원은 급격한 변동의 시기 중국에서 본격적으로 타자로서의 서양을 인식하고 그들을 수용하고 이용할 것을 주장한 첫 학자로서 커다란 의미를 가진다고 하겠다. 성리학에 집중되어 온 중국 사상계의 현실을 부정하고, 망해가는 중국의 현실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실용적이고 개혁적인 방안들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도 그의 사상과 노력은 큰 의의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비록 위원의 사상이 중국의 완전한 근대화로의 혁신을 담아낼 수 있을 정도로 근본적인 치유책은 되지 않지만, 이후 중국과 동아시아에 가져다 준 실효성이나 영향력에서 그의 사상은 매우 큰 의미를 가진다고 하겠다.
전통적인 중국 사상의 흐름 속에서 독특하게도 위원이 중국의 서구 수용과 근대화라는 측면에서 긍정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었던 것은 그가 가진 발전론적 역사관과 유연한 인식 덕분이라고 하겠다. 그는 중국의 시대상황 하에서 가장 필요한 것들을 고민하였고 그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당시 극단적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진보적인 사상들을 주장했으며, 오랑캐라고 여겨지던 서양의 기술과 사상을 받아들일 것을 주장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도 위원은 그 한계에도 불구하고 크게 평가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아쉬운 점은 위원의 서구 수용의 과정이 정상적인 문명의 대등한 교환과 융합이라는 차원에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전통적인 중국에 대한 근대적인 서구의 충격이라는 측면에서 이루어졌다는 점이다. 대등한 문화와 문화가 만나 긍정적인 융합을 이루기에는 시대적 상황이 너무도 제한적이고 급박했다는 점에서 위원의 사상이 가지는 가치와 함께 한계 또한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문제제기
동양의 근대성이란 것은 결국 서구의 충격과 도래에서 유래했다고 하겠다. 더욱이 ‘근대성’이란 개념은 너무도 서구적인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우리가 역사 속에서 끊임없이 근대성을 이야기하며, 또 그 기원을 전통적인 사상에서 찾으려 노력하는 것은 과연 어떤 의미가 있을까. 과연 서구가 충격을 가해오지 않았다면 동아시아는 ‘근대화’를 이룰 수 있었을까.
참고문헌
성혜영, 「위원의 경세사상과 경세책에 대한 일고」 서강대학교, 1983
侯外盧, 『중국근현대철학사』양재윤 역, 일월서각, 1991
이철승, 「근대 전환기 중국 사상계의 현실 인식과 사회변혁론: 위원의 철학 사상을 중심으로」 『동양사회사상』통권6호, 2002
추천자료
- 시대의 변화에 따른 공자의 사상
- 북한정권의 형성과정과 북한의 정치이념 - 주체사상
- 한국 고대 유교 사상의 특성
- 중국의 정치를 이끌어온 사회사상의 변화 과정에 대한 조사 연구
- 플라톤과 퀸틸리아누스의 교육 사상과 역사적 배경
- 고려시대 유교와 성리학 교육사상의 전개
- 주거의 의의, 주거와 풍수사상, 서양 주거, 한국과 일본 전통주거, 아파트 모델하우스 전통주...
- 인도, 중국, 한국의 선사상
- [기출표시]동양사상입문 1강,2강(성균관대학교 한성구 교수님)
- 공자가 추구하는 유학의 조화사상이 현재 글로벌 경제 및 각 기업에 어떻게 적용되어 있는지 ...
- [기출표시]동양사상입문 2강(성균관대학교 한성구 교수님)
- 성 어거스틴(아우구스티누스)의 사상, 성 어거스틴(아우구스티누스)의 창조론과 변증론, 성 ...
- 분단과 통일의 내부적 기원에 관한 연구 - 베트남과 한국을 중심으로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