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24절기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의 24절기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입춘
우수
경칩
춘분
청명
곡우
입하
소만
망종
하지
소서
대서
입추
처서
백로
추분
한로
상강

본문내용

아침에 \'복조리\'를 사서 벽에 걸어 두고, 신수로 \'토정비결\'을 보기도 한다. 첫쥐날[上子日]은 \'쥐불\'이라 하여 농촌의 밭이나 논두렁에 짚을 흩어 놓고 불을 놓아 잡초를 태워서 들판의 쥐와 논밭의 잡충을 제거하고, 입춘날에는 \'입춘 써붙이기\'라 하여 대문·난간·기둥에 봄을 축하하는 글귀를 써붙인다. 또 보름 전날 농가에서는 그 해의 오곡이 풍성하여 거두어들인 노적(露積)이 높이 쌓이라는 뜻에서 \'볏가릿대[禾竿]\'를 세운다. 자정(子正)이 지나 15일이 되면 각 마을에서는 마을 제단에서 동신제(洞神祭)를 지내고, 보름날 새벽에는 귀밝이술[耳明酒]이라 하여 술 한 잔씩을 마시며, \'부럼을 깬다. 동네 안의 악기(惡氣)를 진압하여 연중 무사하기를 비는 뜻으로 \'사자놀음\' \'지신밟기\', 풍년을 기원하는(祈豊) 놀이로서 \'줄다리기\' \'횃불싸움\' 등을 하며, 어촌에서는 그 해의 풍어를 비는 뜻에서 \'풍어놀이\'를 한다.
② 2월 행사:2월 초하룻날은 정월 보름 전날 세운 볏가릿대의 곡식을 풀어 솔떡을 해먹는다. 해안 지방에서는 초하루부터 20일까지 사이에 풍신제(風神祭)를 지내며 초엿샛날에는 좀생이와 달의 거리를 보아서 연중의 길흉을 점쳐보고, 상정일(上丁日)에는 유생들이 문묘에서 석전제(釋奠祭)를 행한다.
③ 3월 행사:3월 3일은 \'삼짇날\'이라고 하여 \'화전(花煎)놀이\'를 많이 하며, 한식에는 선조의 무덤에 가서 성묘를 한다. 또 한량(閑良)들은 활터에 가서 활쏘기를 하고, 그믐께는 \'전춘(餞春)\'이라 하여 음식을 장만해 산골짜기나 강가에 가서 하루를 즐긴다.
④ 4월 행사:4월 초파일은 석가모니가 탄생한 날로 \'부처님 오신 날\'이라 하여 불교신자들은 절에 가는데, 이 날 절에서는 큰 재를 올리고 각 전각에 등불을 켠다. 이달에는 시식으로서 찐떡·어채(魚菜)·고기만두 등을 해먹는다.
⑤ 5월 행사:5월 5일은 단오(端午)라 한다. 옛날에는 \'단오차례\'라고 하여 차례를 지냈고, 또 부녀자들은 창포 삶은 물에 머리와 얼굴을 씻고 창포뿌리를 깎아 비녀를 만들어 머리에 꽂고 그네뛰기를 하며, 남자들은 씨름을 즐겼다. 13일은 \'대 심는 날\'이라 하여, 이 날 대를 심으며, 이달에는 소녀들이 봉숭아꽃을 따서 손톱에 물을 들인다.
⑥ 6월 행사:6월 15일을 \'유두(流頭)날\'이라 하여, 음식을 장만해 산간 폭포에서 몸을 씻고 서늘하게 하루를 보낸다. 각 가정에서는 이날 유두면·수단·건단·상화떡 등 여러 가지 음식을 해먹는다. 복중에는 \'팥죽\'을 쑤어 먹고, 고사리와 묵은 나물을 넣어 \'개장\'을 끓여 먹고, \'계삼탕\'도 먹는다.
⑦ 7월 행사:7월 7일은 햇볕에 옷을 내어 말리고, 저녁에는 \'칠석\'이라 하여 처녀들은 견우·직녀 두 별을 보고 절하며 바느질이 늘기를 빈다. 15일은 \'백중\'이라 하여 절에서는 중들이 100가지 과일과 나물을 갖추어 부처에게 공양을 한다. 또 우란분회(盂蘭盆會)를 성대히 베푼다. 농민들은 이날을 \'호미씻이\'라 하여 음식을 장만해서 산기슭 들판에 나가 농악을 울리며 하루를 즐긴다.
⑧ 8월 행사:8월 상정일(上丁日)은 각 지방에서 유생들이 문묘에서 추기(秋期) 석전제를 지낸다. 15일은 \'한가위\' 또는 \'추석(秋夕)\'이라 하여 절사(節祀)를 지내고, 조상의 산소에 가서 성묘를 한다. 이 날은 송편·시루떡·토란단자·밤단자를 만들어 먹는다.
⑨ 9월 행사:9월 9일은 중양절이라 하여 각 가정에서는 철음식으로 화채를 만들어 먹고, 국화전도 부쳐 먹는다. 또 풍국놀이라 하여 음식 장만해 교외 산야에 가서 하루를 즐긴다.
⑩ 10월 행사:10월은 \'상달\'이라 한다. 초사흗날은 개천절로 예로부터 모두 이 날을 기념하여 왔다. 정부에서는 공휴일로 정하는 동시에 국경일로서 엄숙히 의식(儀式)을 거행한다. 이달에는 \'시제(時祭)\'라 하여 먼 선조의 무덤에 모여서 제사를 지낸다. 그리고 겨울철의 부식물인 \'김장\'을 한다.
⑪ 11월의 행사:11월을 동짓달이라고 한다. 동짓날은 팥죽을 쑤어 먹는데, 시식(時食)을 삼아 고사(告祀)도 하고, 또 악기를 제거한다 하여 죽물을 대문간, 대문 판자에 뿌린다.
⑫ 12월 행사:12월을 섣달이라고 한다. 연말이 가까워지면 세찬(歲饌)이라 하여, 마른 생선, 육포·곶감·사과·배 등을 친척 또는 친지들 사이에 주고받는다. 그리고 그믐에는 연중 거래 관계를 청산하며, 각 가정에서는 새해 준비로 분주하다. 또 이날 밤에는 \'해지킴[守歲]\'이라 하여 집 안팎에 불을 밝히고, 남녀가 다 새벽이 될 때까지 자지 않고 밤을 새운다.
  • 가격5,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06.11
  • 저작시기201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19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