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기자료를 통해 본 조선시대 민속의 실상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기자료를 통해 본 조선시대 민속의 실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본론
Ⅰ. 오희문의 《쇄미록》에 나타난 민속의 실상
Ⅱ. 유희춘의 《미암일기》에 나타난 민속의 실상
Ⅲ. 이문건의 《묵재일기》에 나타난 민속의 실상
결론

본문내용

같은 맥락에서 질병을 치료하는데에 신앙의 힘을 빌린 것이다. 조선은 후기로 갈수록 신분제가 붕괴되고 탕평책의 폐단, 삼정의 문란 등으로 사회가 매우 불안했다. 그럴수록 힘겹게 살아가던 백성들은 불행한 상황에서 벗어나기 위해 의지할 것이 필요 했는데 민간신앙이 바로 그러한 역할을 한 것이다. 따라서 민속의 실상을 이해할 때 당시 사회상과 민중들의 심리를 고려하여 민간신앙에 대해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처럼 여러 일기자료는 생활사의 보고라는 점에서 역사적 가치가 상당하다. 《쇄미록》은 임란 중 오희문이 민간인의 관점에서 체험한 내용이 담겨있으며, 《미암일기》는 매우 방대한 자료로 질병이나 지방 풍속 등 자세하게 기록되어있다. 그러므로 일기는 역사의 1차 사료로 그 어느 자료보다 당대의 생생한 삶을 증언하고 있으며, 개인의 가치관을 당대인으로 일반화시켜 경제, 정치, 사회 상황을 추적한다. 이러한 역사 탐구 방식이 생활사를 포함한 미시적 역사 연구의 큰 특징이자 장점이라 생각한다.
참고문헌
이복규,『묵재일기에 나타난 조선전기의 민속』, 민속원, 1999.
김성희, 「『쇄미록』에 나타난 16세기 가장의 역할」, 한국가정관리학회, 2000.
전경목, 「日記에 나타나는 朝鮮時代 士大夫의 일상생활 : 吳希文의 「쇄미록」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1996.
신병주, 「조선중기 생활사의 보고(寶庫) 『쇄미록(鎖尾錄)』」, 남명학연구원, 2010.
이정수, 「『默齋日記』를 통해 본 지방 匠人들의 삶」, 부경역사연구소, 2006.
정창권, 「『미암일기』에 나타난 송덕봉의 일상생활과 창작활동」, 한국어문학회, 2002.

추천자료

  • 가격6,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3.06.11
  • 저작시기2010.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19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