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Ⅰ. 오희문의 《쇄미록》에 나타난 민속의 실상
Ⅱ. 유희춘의 《미암일기》에 나타난 민속의 실상
Ⅲ. 이문건의 《묵재일기》에 나타난 민속의 실상
결론
본론
Ⅰ. 오희문의 《쇄미록》에 나타난 민속의 실상
Ⅱ. 유희춘의 《미암일기》에 나타난 민속의 실상
Ⅲ. 이문건의 《묵재일기》에 나타난 민속의 실상
결론
본문내용
같은 맥락에서 질병을 치료하는데에 신앙의 힘을 빌린 것이다. 조선은 후기로 갈수록 신분제가 붕괴되고 탕평책의 폐단, 삼정의 문란 등으로 사회가 매우 불안했다. 그럴수록 힘겹게 살아가던 백성들은 불행한 상황에서 벗어나기 위해 의지할 것이 필요 했는데 민간신앙이 바로 그러한 역할을 한 것이다. 따라서 민속의 실상을 이해할 때 당시 사회상과 민중들의 심리를 고려하여 민간신앙에 대해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처럼 여러 일기자료는 생활사의 보고라는 점에서 역사적 가치가 상당하다. 《쇄미록》은 임란 중 오희문이 민간인의 관점에서 체험한 내용이 담겨있으며, 《미암일기》는 매우 방대한 자료로 질병이나 지방 풍속 등 자세하게 기록되어있다. 그러므로 일기는 역사의 1차 사료로 그 어느 자료보다 당대의 생생한 삶을 증언하고 있으며, 개인의 가치관을 당대인으로 일반화시켜 경제, 정치, 사회 상황을 추적한다. 이러한 역사 탐구 방식이 생활사를 포함한 미시적 역사 연구의 큰 특징이자 장점이라 생각한다.
참고문헌
이복규,『묵재일기에 나타난 조선전기의 민속』, 민속원, 1999.
김성희, 「『쇄미록』에 나타난 16세기 가장의 역할」, 한국가정관리학회, 2000.
전경목, 「日記에 나타나는 朝鮮時代 士大夫의 일상생활 : 吳希文의 「쇄미록」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1996.
신병주, 「조선중기 생활사의 보고(寶庫) 『쇄미록(鎖尾錄)』」, 남명학연구원, 2010.
이정수, 「『默齋日記』를 통해 본 지방 匠人들의 삶」, 부경역사연구소, 2006.
정창권, 「『미암일기』에 나타난 송덕봉의 일상생활과 창작활동」, 한국어문학회, 2002.
이처럼 여러 일기자료는 생활사의 보고라는 점에서 역사적 가치가 상당하다. 《쇄미록》은 임란 중 오희문이 민간인의 관점에서 체험한 내용이 담겨있으며, 《미암일기》는 매우 방대한 자료로 질병이나 지방 풍속 등 자세하게 기록되어있다. 그러므로 일기는 역사의 1차 사료로 그 어느 자료보다 당대의 생생한 삶을 증언하고 있으며, 개인의 가치관을 당대인으로 일반화시켜 경제, 정치, 사회 상황을 추적한다. 이러한 역사 탐구 방식이 생활사를 포함한 미시적 역사 연구의 큰 특징이자 장점이라 생각한다.
참고문헌
이복규,『묵재일기에 나타난 조선전기의 민속』, 민속원, 1999.
김성희, 「『쇄미록』에 나타난 16세기 가장의 역할」, 한국가정관리학회, 2000.
전경목, 「日記에 나타나는 朝鮮時代 士大夫의 일상생활 : 吳希文의 「쇄미록」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1996.
신병주, 「조선중기 생활사의 보고(寶庫) 『쇄미록(鎖尾錄)』」, 남명학연구원, 2010.
이정수, 「『默齋日記』를 통해 본 지방 匠人들의 삶」, 부경역사연구소, 2006.
정창권, 「『미암일기』에 나타난 송덕봉의 일상생활과 창작활동」, 한국어문학회, 2002.
추천자료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한국화
조선시대 교육의 특징과 조선시대 교육의 문제점 및 고찰 및 현대교육에의 시사점
[한국교육사][삼국교육][고구려교육][백제교육][신라교육][조선교육][실학교육]한국교육사 삼...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농민항쟁, 조선사림정치
고구려시대 시조 여수장우중문시, 신라시대 시조 화왕계, 신라시대 시조 제가야산독서당, 고...
한국 조선시대 조경 - 특징과 궁궐 (조선시대 정원의 특징 및 사상적 배경 & 궁궐 정원 (...
[한국의 관광입지와 관광산업] 우리나라의 관광입지조건과 관광산업 (삼국시대 관광, 고려시...
화장(化粧/Make Up)의 기원, 서양 화장, 한국 화장(상고시대,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건축역사] 조선시대 집(주택) 역사 - 조선시대 주택의 정의 및 배경, 양반주택(상류주택)과 ...
[사회복지법제론] 우리나라(한국)의 사회복지법의 역사와 흐름 -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
[조선시대 재정] 조선시대의 재무행정 - 세제, 재무기관, 재정의 문란
조선시대 인사행정 - 조선시대의 인사행정제도 {인사기관, 과거제도, 품계 및 임용제도, 보수...
[조선시대행정조직체계] 조선시대의 행정조직(行政組織) (중앙행정조직과 지방행정조직)
[교육敎育학개론] 한국교육(역사적 흐름을 중심으로) - 원시시대 교육, 삼국시대 교육, 고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