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고구려시대 시조 여수장우중문시 작품분석
1. 작품 정리
1) 연대
2) 작자
3) 형식
4) 표현
5) 성격
6) 주제
7) 의의
8) 출전
2. 감상
Ⅱ. 신라시대 시조 화왕계 작품분석
1. 어휘 풀이
1) 화왕(花王)
2) 휘장(揮帳)
3) 백두옹(白頭翁)
4) 창망(滄茫)한
5) 고량(膏粱)
6) 사마(絲摩)
7) 관괴(菅蒯)
2. 작품 정리
1) 연대
2) 작자
3) 형식
4) 성격
5) 제재
6) 주제
7) 의의
8) 출전
3. 감상
Ⅲ. 신라시대 시조 제가야산독서당 작품분석
1. 작품 정리
1) 연대
2) 작자
3) 형식
4) 압운
5) 주제
6) 출전
2. 감상
3. 시어 풀이
1) 疊石
2) 重巒
3) 人語
4) 是非聲
5) 盡籠山
Ⅳ. 고려시대 시조 사리화 작품분석
1. 작품 정리
1) 연대
2) 작자
3) 갈래
4) 주제
5) 출전
2. 감상
Ⅴ. 고려시대 시조 하여가 작품분석
1. 지은이
2. 낱말풀이
3. 주제
4. 참고
Ⅵ. 조선시대 시조 어부사시사 작품분석
Ⅶ. 조선시대 시조 고산구곡가 작품분석
1. 전문 풀이
2. 해설
3. 감상
4. 각 연의 제재
5. 각 연의 주제
6. 핵심 정리
1) 작자
2) 출전
3) 종류
4) 성격
5) 제재
6) 주제
Ⅷ. 조선시대 시조 양곡소세원 작품분석
1. 전문 풀이
2. 해설
3. 감상
4. 핵심 정리
1) 작자
2) 출전
3) 종류
4) 성격
5) 제재
6) 주제
Ⅸ. 현대 시조 별 작품분석
참고문헌
1. 작품 정리
1) 연대
2) 작자
3) 형식
4) 표현
5) 성격
6) 주제
7) 의의
8) 출전
2. 감상
Ⅱ. 신라시대 시조 화왕계 작품분석
1. 어휘 풀이
1) 화왕(花王)
2) 휘장(揮帳)
3) 백두옹(白頭翁)
4) 창망(滄茫)한
5) 고량(膏粱)
6) 사마(絲摩)
7) 관괴(菅蒯)
2. 작품 정리
1) 연대
2) 작자
3) 형식
4) 성격
5) 제재
6) 주제
7) 의의
8) 출전
3. 감상
Ⅲ. 신라시대 시조 제가야산독서당 작품분석
1. 작품 정리
1) 연대
2) 작자
3) 형식
4) 압운
5) 주제
6) 출전
2. 감상
3. 시어 풀이
1) 疊石
2) 重巒
3) 人語
4) 是非聲
5) 盡籠山
Ⅳ. 고려시대 시조 사리화 작품분석
1. 작품 정리
1) 연대
2) 작자
3) 갈래
4) 주제
5) 출전
2. 감상
Ⅴ. 고려시대 시조 하여가 작품분석
1. 지은이
2. 낱말풀이
3. 주제
4. 참고
Ⅵ. 조선시대 시조 어부사시사 작품분석
Ⅶ. 조선시대 시조 고산구곡가 작품분석
1. 전문 풀이
2. 해설
3. 감상
4. 각 연의 제재
5. 각 연의 주제
6. 핵심 정리
1) 작자
2) 출전
3) 종류
4) 성격
5) 제재
6) 주제
Ⅷ. 조선시대 시조 양곡소세원 작품분석
1. 전문 풀이
2. 해설
3. 감상
4. 핵심 정리
1) 작자
2) 출전
3) 종류
4) 성격
5) 제재
6) 주제
Ⅸ. 현대 시조 별 작품분석
참고문헌
본문내용
에 옥 같은 이와 신선하고 탐스러운 감색 나들이 옷을 입고 아장거리는 무희처럼 얌전하게 화왕에게 아뢰었다.
“이 몸은 백설의 모래 사장을 밟고, 거울같이 맑은 바다를 바라보며 자라났습니다. 봄비가 내릴 때는 목욕하여 몸의 먼지를 씻었고, 상쾌하고 맑은 바람 속에 유유자적하면서 지냈습니다. 이름은 장미라 합니다. 임금님의 높으신 덕을 듣고, 꽃다운 침소에 그윽한 향기를 더 하여 모시고자 찾아왔습니다. 임금님께서 이 몸을 받아 주실는지요?”
이 때 베옷을 입고, 허리에는 가죽띠를 두르고, 손에는 지팡이, 머리는 흰 백발을 한 장부 하나가 둔중한 걸음으로 나와 공손히 허리를 굽히며 말했다.
“이 몸은 서울 밖 한길 옆에 사는 백두옹(白頭翁)입니다. 아래로는 창망한 들판을 내려다보고, 위로는 우뚝 솟은 산 경치에 의지하고 있습니다. 가만히 보옵건대, 좌우에서 보살피는 신하는 고량(膏粱)과 향기로운 차와 술로 수라상을 받들어 임금님의 식성을 흡족하게 하고, 정신을 맑게 해 드리고 있사옵니다. 또 고리짝에 저장해 둔 양약으로 임금님의 기운을 돕고, 금석의 극약으로써 임금님의 몸에 있는 독을 제거해 줄 것입니다. 그래서 이르기를 ‘비록 사마(絲摩)가 있어도 군자된 자는 관괴(菅)라고 해서 버리는 일이 없고, 부족에 대 비하지 않음이 없다.’고 하였습니다. 임금님께서도 이러한 뜻을 가지고 계신지 모르겠습니다.”
한 신하가 화왕께 아뢰었다.
“두 사람이 왔는데, 임금님께서는 누구를 취하고 누구를 버리겠습니까?”
화왕께서는 이렇게 대답하였다.
“장부의 말도 도리가 있기는 하나, 그러나 가인을 얻기 어려우니 이를 어찌할꼬?”
그러자 장부가 앞으로 나와 말하였다.
“제가 온 것은 임금님의 총명이 모든 사리를 잘 판단한다고 들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지금 뵈오니 그렇지 않으십니다. 무릇 임금된 자로서 간사하고 아첨하는 자를 가까이 하지않고, 정직한 자를 멀리 하지 않는 이는 드뭅니다. 그래서 맹자(孟子)는 불우한 가운데 일생을 마쳤고, 풍당(馮唐)은 낭관(郎官)으로 파묻혀 머리가 백발이 되었습니다. 예로부터 이러하오니 저인들 어찌하겠습니까?”
화왕은 마침내 다음의 말을 되풀이하였다.
“내가 잘못했다. 잘못했다.”
1. 어휘 풀이
1) 화왕(花王)
꽃 중의 왕, 모란을 이름
2) 휘장(揮帳)
여러 폭의 피륙을 이어 만든 둘러치는 장막
3) 백두옹(白頭翁)
머리가 흰 노인, 할미꽃을 이름
4) 창망(滄茫)한
넓고 멀어서 아득한
5) 고량(膏粱)
기름지고 살진 고기와 좋은 곡식으로 만든 음식
6) 사마(絲摩)
명주실과 삼실
7) 관괴(菅)
사초과에 속하는 풀로, 관은 도롱이와 삿갓을, 괴는 돗자리를 짜는 원료
2. 작품 정리
1) 연대
신라 신문왕(681-693)
2) 작자
설총
3) 형식
창작 설화
4) 성격
풍자적, 우언적(寓言的)
5) 제재
꽃
6) 주제
임금을 풍간(諷諫)함, 임금에 대한 경계
7) 의의
우리나라 최초의 창작 설화 가전(暇傳)의 원류가 되며, 의인체 설화의 효시가 됨
8) 출전
삼국사기
3. 감상
이 작품은 우리나라 최초의 창작 설화로, 꽃을 의인화해서 정치를 풍자한 우언적(迂言的)인 단편 산문이다.
온갖 꽃을 능가하는 화왕(모란)이 나타나자 장미꽃이 아름답게 치장을 하고 등장하여 아양을 떤다. 한편 백두옹(할미꽃)은 검소한 차림으로 나타나 신하되기를 청한다. 화왕은 장미와 백두옹 중에서 누구를 취할까 망설인다. 결국 의리를 존중하고 직신(直臣)을 취하는 뜻에서 장미를 버리고 백두옹을 취한다.
‘도입-전개-위기-절정-결말’의 소설적 구성을 보인 이 작품은 후대의 가전체 소설에 영향을 주었다.
Ⅲ. 신라시대 시조 제가야산독서당 작품분석
狂噴疊石吼重巒 미친 물 바위 치며 산을 울리어,
人語難分咫尺間 지척에서 하는 말도 분간 못 하네.
常恐是非聲到耳 행여나 세상 시비 귀에 들릴까,
故敎流水盡籠山 흐르는 물을 시켜 산을 감쌌네.
1. 작품 정리
1) 연대
신라 헌강왕
2) 작자
최치원
3) 형식
칠언 절구(七言絶句)
4) 압운
만(巒), 간(間), 산(山)
5) 주제
자연 속에 살면서 세속과 멀어지고자 함
6) 출전
동문선
2. 감상
이 시는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홍류동 바위에 원문이 석각(石刻)되어 있다.
1행은 웅장한 물소리를 통하여 자신을 속세와 단절시키고자 하였고, 2행에서는 시끄러운 시비 소리가 난무하는 어지러운 속세를 벗어나고자 하는 작가의 심리를 느낄 수 있다. 3행은 작가의 내면 세계가 직접 표현되었고, 4행은 은거하고 싶어하는 심정을 표현하였다.
3. 시어 풀이
1) 疊石
첩첩이 쌓인 바위
2) 重巒
겹겹으로 둘러싼 산
3) 人語
사람들의 말소리
4) 是非聲
옳으니 그르니 말다툼하는 소리
5) 盡籠山
온산을 둘러싸다
Ⅳ. 고려시대 시조 사리화 작품분석
黃雀何方來去飛 참새야 어디서 오가며 우느냐,
一年農事不曾知 일 년 농사는 아랑곳하지 않고,
鰥翁獨自耕耘了 늙은 홀아비 홀로 갈고 맸는데,
耗盡田中禾黍爲 밭의 벼며 기장을 다 없애다니.
1. 작품 정리
1) 연대
고려 말
2) 작자
이제현(李齊賢)
3) 갈래
한시(七言絶句)
4) 주제
가혹한 수탈로 인한 농민의 피폐한 삶
5) 출전
익재난고(益齋亂藁)
2. 감상
이 노래는 작자가 당시 민요를 소악부(小樂府) 11 편으로 옮겼는데, ‘사리화’는 그 중 네 번째 시이다.
이 시에서 ‘참새’는 평민을 수탈하는 탐관오리를 상징하고, ‘늙은 홀아비’는 수탈 당하는 힘없고 가난한 농민을 상징한다. 관리들의 가혹한 수탈에 대항하지 못하고 참새에 비유하여 노래할 수밖에 없었던 백성들의 서글픈 처지가 잘 나타나 있다.
Ⅴ. 고려시대 시조 하여가 작품분석
이런들 어떠하리 저런들 어떠하리
만수산 드렁칡이 얽어진들 어떠하리
우리도 이같이 얽어져 백년까지 누리리라
1. 지은이
이방원(1367-1422) 이씨조선 제3대 임금.
부왕인 태조 이성계를 도와 이씨 조선 건국에 공이 큼
2. 낱말풀이
만수산 : 개성서편에 있는 산
3. 주제
고려 왕조를 버리고 조선왕조를 섬겨 달라는 회유의 노래
4. 참고
태종 이방원은 고려의 충신 정몽주의 마음을 떠보기 위하여 부른 노래로 [하여가]라고 함
Ⅵ. 조선시대 시조 어부사시사 작품분석
압에 안 것고
“이 몸은 백설의 모래 사장을 밟고, 거울같이 맑은 바다를 바라보며 자라났습니다. 봄비가 내릴 때는 목욕하여 몸의 먼지를 씻었고, 상쾌하고 맑은 바람 속에 유유자적하면서 지냈습니다. 이름은 장미라 합니다. 임금님의 높으신 덕을 듣고, 꽃다운 침소에 그윽한 향기를 더 하여 모시고자 찾아왔습니다. 임금님께서 이 몸을 받아 주실는지요?”
이 때 베옷을 입고, 허리에는 가죽띠를 두르고, 손에는 지팡이, 머리는 흰 백발을 한 장부 하나가 둔중한 걸음으로 나와 공손히 허리를 굽히며 말했다.
“이 몸은 서울 밖 한길 옆에 사는 백두옹(白頭翁)입니다. 아래로는 창망한 들판을 내려다보고, 위로는 우뚝 솟은 산 경치에 의지하고 있습니다. 가만히 보옵건대, 좌우에서 보살피는 신하는 고량(膏粱)과 향기로운 차와 술로 수라상을 받들어 임금님의 식성을 흡족하게 하고, 정신을 맑게 해 드리고 있사옵니다. 또 고리짝에 저장해 둔 양약으로 임금님의 기운을 돕고, 금석의 극약으로써 임금님의 몸에 있는 독을 제거해 줄 것입니다. 그래서 이르기를 ‘비록 사마(絲摩)가 있어도 군자된 자는 관괴(菅)라고 해서 버리는 일이 없고, 부족에 대 비하지 않음이 없다.’고 하였습니다. 임금님께서도 이러한 뜻을 가지고 계신지 모르겠습니다.”
한 신하가 화왕께 아뢰었다.
“두 사람이 왔는데, 임금님께서는 누구를 취하고 누구를 버리겠습니까?”
화왕께서는 이렇게 대답하였다.
“장부의 말도 도리가 있기는 하나, 그러나 가인을 얻기 어려우니 이를 어찌할꼬?”
그러자 장부가 앞으로 나와 말하였다.
“제가 온 것은 임금님의 총명이 모든 사리를 잘 판단한다고 들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지금 뵈오니 그렇지 않으십니다. 무릇 임금된 자로서 간사하고 아첨하는 자를 가까이 하지않고, 정직한 자를 멀리 하지 않는 이는 드뭅니다. 그래서 맹자(孟子)는 불우한 가운데 일생을 마쳤고, 풍당(馮唐)은 낭관(郎官)으로 파묻혀 머리가 백발이 되었습니다. 예로부터 이러하오니 저인들 어찌하겠습니까?”
화왕은 마침내 다음의 말을 되풀이하였다.
“내가 잘못했다. 잘못했다.”
1. 어휘 풀이
1) 화왕(花王)
꽃 중의 왕, 모란을 이름
2) 휘장(揮帳)
여러 폭의 피륙을 이어 만든 둘러치는 장막
3) 백두옹(白頭翁)
머리가 흰 노인, 할미꽃을 이름
4) 창망(滄茫)한
넓고 멀어서 아득한
5) 고량(膏粱)
기름지고 살진 고기와 좋은 곡식으로 만든 음식
6) 사마(絲摩)
명주실과 삼실
7) 관괴(菅)
사초과에 속하는 풀로, 관은 도롱이와 삿갓을, 괴는 돗자리를 짜는 원료
2. 작품 정리
1) 연대
신라 신문왕(681-693)
2) 작자
설총
3) 형식
창작 설화
4) 성격
풍자적, 우언적(寓言的)
5) 제재
꽃
6) 주제
임금을 풍간(諷諫)함, 임금에 대한 경계
7) 의의
우리나라 최초의 창작 설화 가전(暇傳)의 원류가 되며, 의인체 설화의 효시가 됨
8) 출전
삼국사기
3. 감상
이 작품은 우리나라 최초의 창작 설화로, 꽃을 의인화해서 정치를 풍자한 우언적(迂言的)인 단편 산문이다.
온갖 꽃을 능가하는 화왕(모란)이 나타나자 장미꽃이 아름답게 치장을 하고 등장하여 아양을 떤다. 한편 백두옹(할미꽃)은 검소한 차림으로 나타나 신하되기를 청한다. 화왕은 장미와 백두옹 중에서 누구를 취할까 망설인다. 결국 의리를 존중하고 직신(直臣)을 취하는 뜻에서 장미를 버리고 백두옹을 취한다.
‘도입-전개-위기-절정-결말’의 소설적 구성을 보인 이 작품은 후대의 가전체 소설에 영향을 주었다.
Ⅲ. 신라시대 시조 제가야산독서당 작품분석
狂噴疊石吼重巒 미친 물 바위 치며 산을 울리어,
人語難分咫尺間 지척에서 하는 말도 분간 못 하네.
常恐是非聲到耳 행여나 세상 시비 귀에 들릴까,
故敎流水盡籠山 흐르는 물을 시켜 산을 감쌌네.
1. 작품 정리
1) 연대
신라 헌강왕
2) 작자
최치원
3) 형식
칠언 절구(七言絶句)
4) 압운
만(巒), 간(間), 산(山)
5) 주제
자연 속에 살면서 세속과 멀어지고자 함
6) 출전
동문선
2. 감상
이 시는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홍류동 바위에 원문이 석각(石刻)되어 있다.
1행은 웅장한 물소리를 통하여 자신을 속세와 단절시키고자 하였고, 2행에서는 시끄러운 시비 소리가 난무하는 어지러운 속세를 벗어나고자 하는 작가의 심리를 느낄 수 있다. 3행은 작가의 내면 세계가 직접 표현되었고, 4행은 은거하고 싶어하는 심정을 표현하였다.
3. 시어 풀이
1) 疊石
첩첩이 쌓인 바위
2) 重巒
겹겹으로 둘러싼 산
3) 人語
사람들의 말소리
4) 是非聲
옳으니 그르니 말다툼하는 소리
5) 盡籠山
온산을 둘러싸다
Ⅳ. 고려시대 시조 사리화 작품분석
黃雀何方來去飛 참새야 어디서 오가며 우느냐,
一年農事不曾知 일 년 농사는 아랑곳하지 않고,
鰥翁獨自耕耘了 늙은 홀아비 홀로 갈고 맸는데,
耗盡田中禾黍爲 밭의 벼며 기장을 다 없애다니.
1. 작품 정리
1) 연대
고려 말
2) 작자
이제현(李齊賢)
3) 갈래
한시(七言絶句)
4) 주제
가혹한 수탈로 인한 농민의 피폐한 삶
5) 출전
익재난고(益齋亂藁)
2. 감상
이 노래는 작자가 당시 민요를 소악부(小樂府) 11 편으로 옮겼는데, ‘사리화’는 그 중 네 번째 시이다.
이 시에서 ‘참새’는 평민을 수탈하는 탐관오리를 상징하고, ‘늙은 홀아비’는 수탈 당하는 힘없고 가난한 농민을 상징한다. 관리들의 가혹한 수탈에 대항하지 못하고 참새에 비유하여 노래할 수밖에 없었던 백성들의 서글픈 처지가 잘 나타나 있다.
Ⅴ. 고려시대 시조 하여가 작품분석
이런들 어떠하리 저런들 어떠하리
만수산 드렁칡이 얽어진들 어떠하리
우리도 이같이 얽어져 백년까지 누리리라
1. 지은이
이방원(1367-1422) 이씨조선 제3대 임금.
부왕인 태조 이성계를 도와 이씨 조선 건국에 공이 큼
2. 낱말풀이
만수산 : 개성서편에 있는 산
3. 주제
고려 왕조를 버리고 조선왕조를 섬겨 달라는 회유의 노래
4. 참고
태종 이방원은 고려의 충신 정몽주의 마음을 떠보기 위하여 부른 노래로 [하여가]라고 함
Ⅵ. 조선시대 시조 어부사시사 작품분석
압에 안 것고
추천자료
신라말, 고려초의 문학-향가를 중심으로-
[낭만주의][문학][음악][음악가]낭만주의의 시대적 배경, 낭만주의의 발전, 낭만주의의 특성,...
[낭만주의][미술][문학][음악][낭만주의 시대 미술][낭만주의 시대 문학][낭만주의 시대 음악...
[낭만주의][낭만주의 발생배경][낭만주의시대][낭만주의 음악][낭만주의 문학]낭만주의의 발...
[처용가][향가]처용가(신라 향가)의 배경설화, 처용가(신라 향가)의 원문과 해독, 처용가(신...
[처용가][신라 향가][향가]처용가(신라의 향가)의 배경설화와 처용가(신라의 향가)의 원문, ...
일본문학과 일기문학, 일본문학과 소설문학, 일본문학과 호리 다쓰오, 일본문학과 마쿠라노소...
[조선시대][조선시대 문학][조선시대 회화][조선시대 건축][조선시대 공예][조선시대 음악][...
[조선시대 문학][여성가사][시조][한문단편][청구야담]조선시대 문학의 특징, 조선시대 문학 ...
[신라문학][향가][한문학][향가 제망매가][향가 서동요][향가 처용가]신라문학과 향가, 신라...
이상과 김영랑에 대한 고찰 -생애 또는 시대상황을 통해 분석해 본 그들의 문학-
The Restoration and the Eighteenth Century(고딕소설, 풍자문학, 중산층의 부상, 감상주의,...
삼국 시대의 춤,무용(고구려,백제,신라),통일신라의 문화적 특징,궁중무용,불교의식무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