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시편의 신학」 크라우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요약] 「시편의 신학」 크라우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Ⅱ「시편의 신학」H.-J Kraus, 신윤수 옮김, 비블리카 아카데미


서평을 들어가면서

서 론

제1장 이스라엘의 하나님
1.1야훼 체바오트
1.2 야훼의 칭호들
1.3 야훼의 나타나심과 숨어계심
1.4 야훼의 완전하심(Vollkommenheiten)
1.5 천상세계

제2장 하나님의 백성
2.1 기원과 기본 관계
2.2 역사와 창조
2.3 제의 공동체

제 3장 성소와 예배
3.1 성소
3.2 시온신학(Zion-Theologie)
3.3 예루살렘에서의 예배
3.4 예배의 신학

맺는말

본문내용

의 힘”)(“나의 바위”),(“나의 피난처”),(“나의구원자),(”나의하나님“),(”나의 반석“),(”나의 방패“),(”나의구원의 뿔“),(”나의요새“)
(,추리“나의반석”시18:2; 28:1; 31:2;,3; 42:9; 62:2,6,7).
야훼는 “나의 반석”이라 불린다. 은유적인 호칭이아니라 오히려 예루살렘 성전이 “거룩한 바위”위에 세워졌음을 의미하나, “피난처”와“요새”라는 은유와 관련하여, 이들이 하나님께서 의로써 심판하시는 장소로서의 예루살렘의 역할과 특별한 관계가 있는 표현이기도 하다.
1.3 야훼의 나타나심과 숨어계심
이스라엘 하나님은 자기 자신에 관해서 말씀해 주시며계시는 주권적 선택에 의해서 일어나는 사건으로 이해한다. 야훼는 자신이 택한 백성에게 자신을 알리신다. 야훼는 오시는 분(der Kommende)전적으로 이스라엘을 향해 주어진 것이지만 또한 세상과 민족을 심판하고 다스리시기 위해 오신다.(시98:9) (“드러내다”,니팔형)가 시편에서는 오직 98:2에서 한 번만 나타났다는 것은 모든 민족들이 보는 앞에서 야훼의 공의가 드러날 것에 대해서 말하는데 제 이 이사야의 메시지의 영향을 보여 준다.야훼 ,이스라엘의; 하나님은 인격적인 분 특별한 인격을 갖고 계시다는 점이다. 이름이 계시하는 것과 말씀이 계시하는 것 사이의 기본적인 연관성은 형식적인 면에서 이름의 게시가 말씀의 계시의 일부분이라는 사실이다.
그의 말씀의 전달방식은 (1)시81:5,110:1 및 50:1에서(제의) 예언자적 메시지 (2)제사장의 구원 신탁 (3)신적심판제도보호의 약속과 야훼의 심판 선고도 포함되어 있다. 부버(Buber)는 가 “교훈(가르침)” 는 고정되거나 정적인 것이 아니라 창조적이고 생명력이 있는 것이다. (1)시119에서 토라는 고정되거나 정적인 것이 아니라 창조적이고 생명력이 이ZT는 것이다. (2)토라는 비인격적이고 절대적인 실체가 아니라 야훼의 엄위한 인격으로부터 나오는 (“말씀”)이요 ,인간에게 주어진(이므라,“발화”)이다. (3)토라가 치유와 구원과 창조의 힘을 갖는 것은, 그것이 (즉 야훼의 입에서 나온 교훈)이기 때문이요,목적을 이루는 말씀(viva vox!-\"살아 있는 말씀“)이기 때문이다.
야훼는 또한 그의 활동의 역사(Geschichte seiner Taten),자신의 ”일“(,포알), ”행동“(,마아세) 및 ”기적“(펠레)를 통해 자신을 알리고 계신다. 이스라엘 하나님의 행동 역사 속에의 계시에 대해서 말해야 한다. 창조사역에서의 이스라엘 하나님의 활동과 기적들이 찬양된다(시66:5-7). 또한 오직 야훼의 창조 행위만을 가리키는 특유한 용어인 동사(바라,”창조하다“)가 시89:12, 47; 104:30; 148:5에서 발견된다. 천지를 포함한 피조세계는 하나님의 상대방으로서 그의 앞에 놓여 있지만 ,인간들은 자신들이 ”theatrum gloriae Dei\"(\" 하나님의 영광의 전당“, Calvin)안에 있음을 알게 된다.
따라서 우리는 야훼께서 창조하신 만물은 침묵하는 존재가 아니고 온 땅을 향해 메시지를 전하는 존재라는 사실을 알게 된다. 고전1:21에서 바울은 이 세계가 하나님의 창조물이며 (창조의 시작 때는 물론이고 오늘날까지도) 하나님의 지혜를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본다. 야훼의 피조물들이 발하는 자기선언을 담고 있는 시편들은 (호크마,“지혜”)전승의 맥락에 속한다. 야훼는 당신의 백성에게 오시고 당신 자신의 백성에게 나타나신다, 계시사건에 대한 시편언어의 독특한 증언은 언어로 된 증언(Wort- Zeugnis)이며, 그 내용은 예언의 환상과 전조의 성격을 갖는다.:그의 (콜,“음성”)은 땅을 떨게 만든다(시29:6,; 49:6). 임재(Gegenwart)해 예배하는 자에게 임하신 하나님의 “얼굴”(파님)은 그의 임재와 그의 도우심과 그의 은혜를 체험하는 것을 말한다. 곧 그의 영광()의 광채를 향하여 예배를 드리는 것이다. 그러나 하나님은 자신의 얼굴을 숨길 수도 있다(시10:11) 이것은 당혹과 공포를 야기한다.(시30:7)
많은 개인기도 시들이 야훼의 숨어계심(jahwes Verborgenheit)을 언급한다. 숨어계심은 그의 나타나심의 한 양상이다(Verborgenheit ist ein Attribut seiner Offenbarung)(시22:3-5) 따라서 그의 나타나심- 따라서 그의 오심 또한-은 그의 자유의지 및 주권적 결단에 달린 문제라는 점이다. 하여간 우리는 하나님의 숨어계심을 신앙진술의 내용으로 이해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구약성서 특히 시편 안에서 야훼가 그 백성 안에 오시는 하나님( Der kommende Gott) 으로 선포되고 또한 소망된다는 관점이 결정적으로 중요한 것임이 분명하다. 하나님의 계시 곧 나타나심은 사실상 하나님의 현존을 뜻하는 것이고 따라서 하나님의 숨어 계심은 인간의 종교 세계 속에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하나님께서 자신을 계시하심으로써 신적 특수성이 인간의 보편성 속에 , 신적내용이 인간적인 형식 속에 ,따라서 신적 독특성이 다만 인간적 본유 성 중의 하나 속에 감추어졌다.
1.4 야훼의 완전하심(Vollkommenheiten)
야훼의 모든 완전함은 그의 자기표현 및 행동에 수반된 속성들이다. 그의 거룩함(Heiligkeit)은 완전함의 특징들이다. 야훼의 거룩함이 드러나는 것이 영광(,카보드)이다. 하늘은 그의 영광의 광채로 빛난다. 야훼는 정의를 사랑하고 공의를 세우며 야곱 안에 정의와 공의가 흘러넘치게 만드는 왕이기 때문이다.(시99:4)
야훼는 정의와 공의(Recht und Gerechtigkeit)를 사랑하신다(시33:5; 99:4) 야훼가 (“의로운”)인 것은 그가 의롭게 재판(심판)하기 때문이다. 야훼는 (“재판관”)이므로 하나님의 재판 활동은 그들의 권리를 찾도록 돕는 것(Zum-Recht-Helfen)이다. 야훼의 의는 ,그가 만물을 통찰하고 평가하고 판단하며 구원하는 방식에 있어서 완전 하다는 것을 뜻한다. “야훼의 인자”란 말이 진실로 피부에 와 닿는 것은 구약성서 중에서도 시편 안에 있음이 명백하다. 여기서 (헤쎄드)와 (에메트)가 동의어다. 에

키워드

  • 가격3,3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3.06.19
  • 저작시기2013.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28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