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코카콜라 브랜드 분석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업 코카콜라 브랜드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코카콜라의 브랜드 가치
 2. 코카콜라의 CEO
 3. 코카콜라의 재무정보
 4. 코카콜라의 비즈니스
 5. 코카콜라의 역사
 6. 코카콜라의 성공 전략
 7. 코카콜라와 펩시의 비교 분석
 8. 코카콜라의 위기
 9. 한국의 코카콜라
 10. 중국의 코카콜라
Ⅲ.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를 시청할 때, 핫도그와 햄버그를 먹을 때 늘 함께 하던 그들 일상생활의 일부였다. 코카콜라의 상징적 의미가 그 맛보다도 더욱 중요하다는 것! 다시 말하여 미국 소비자들이 기존의 코카콜라에 강한 감정적 관여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간과하였던 것이다. 소비자들의 지각 속에서 New Coke는 이미 Coca cola가 아니었다. 그들은 New Coke의 등장으로 그들의 진짜 코카콜라에 대한 강한 향수를 느끼게 되었다고 생각하였던 것이다. 여기에다 소수 강한 반대자들의 목소리와 이를 보도하는 언론의 영향으로 부정적인 태도가 확산된 것이다.
④ 실패를 성공의 발판으로
코카콜라는 신제품 \'New Coke\'가 크게 실패했다는 것을 깨닫고 원점으로 돌아가 90일 뒤에는 원래의 맛을 재도입했다. 처음의 맛으로 되돌아간 것이다. 그 뒤 제조법을 바꾸는 것은 두 번 다시 생각할 수 없는 일이 되었다. 투자금액과 판매상의 엄청난 손해였다. 그러나 이러한 일련의 실패가 부디 실패의 의미만 내포하지는 않는다. 일부에서는 이러한 New Coke의 대대적인 실패로 그간 펩시에 마케팅 전략에 와해되었던 소비자들의 의식을 다시 코카콜라 클래식이라는 동일제품을 다른 이름으로 의미 있게 끌어들였다고 평가하는 의견도 많다. 또한 이러한 위기로부터 코카콜라가 그들이 원래의 코카콜라 제조법으로 돌아가기로 결심한 것은 대범하면서도 신속한 결단이었으며 위기관리에 대한 역량으로 판단된다.
9. 한국의 코카콜라
1) 한국 코카콜라의 시작
우리나라에는 6.25전쟁 때 참전한 미군을 통하여 국내에 첫선을 보였으며 지난 1968년 한양식품(두산음료의 전신)에 의하여 국내에서 생산되기 시작하였다. 그 이후 1974년에는 자회사 한국코카콜라(CCKC)가 설립되어 이때부터는 코카콜라 및 기타제품의 원액도 국내에서 제조, 공급하고 있다.
2) 한국 코카콜라의 역사
* 2002. 11 : 파워에이드 거스 히딩크 첫 소개
* 2002. 09 : 제로 칼로리 \'코카-콜라 라이트 레몬\' 첫 소개
* 2002. 06 : 한-일 월드컵 대회 공식후원사로서 혁신적이고 역동적인 각종 소비자 프로 모션 벌임
* 2002. 08 : 캐릭터 음료 \'푸하니레몬\' 첫 소개
* 2002. 05 : 스프라이트 블루 첫 소개
* 2002. 04 : 동양차 하늘연차 첫 소개
* 2002. 01 : 봄빛 매실 첫 소개
* 2001. 04 : 미과즙 음료 워나비 첫 소개
* 2001. 04 : 어린이 과일주스 쿠우 첫 소개
* 2001. 04 : 스프라이트 재첫 소개
* 2001. 04 : 한국코카-콜라㈜, 현재의 거트 브루스 사장 취임
* 2000. 08 : 먹는샘물 순수100 첫 소개
* 2000. 06 : 아이스티 네스티 첫 소개
* 2000. 01 : 닥터페퍼 첫 소개
* 1998. 12 : 한국코카-콜라 보틀링 (주)국내 전국 단일 보틀링 시스템 구축
* 1997. 10 : 차범근 축구교실 후원사 계약체결
* 1996. 11 : 한국코카-콜라보틀링㈜ 창립
* 1994. 06 : 파워에이드 첫 소개
* 1994. 08 : 대한체육회/대한올림픽 조직위원회 공식후원사 지정
* 1992. 02 : 스프라이트 첫 소개
* 1990. 09 : 코카-콜라 라이트 첫 소개
* 1988. 08 : 역사적인 88 서울 올림픽 대회의 공식 후원사로서 활발한 활동 벌여
* 1986. 09 : ‘86 아시안 게임의 공식 후원사로서 활발한 활동
* 1983. 06 : 국내 음료시장 최초 PET 패키지 (코카-콜라) 소개
* 1982. 10 : 하이-C 첫 소개, 국내 음료시장 최초 태트라 팩 (하이-C) 소개
* 1980. 04 : 국내 음료시장 최초 캔 패키지 (코카-콜라) 소개
* 1976. 04 : 킨 사이다 첫 소개
* 1974. 03 : 한국코카-콜라㈜ 창립
* 1968. 09 : 환타 첫 소개
* 1968. 03 : 코카-콜라 국내 첫 생산
* 1968 : 국내 첫 보틀러 <한양식품>의 코카-콜라 독산동 생산공장 설립
10. 중국의 코카콜라
1) 중국의 전통차 문화를 무너뜨린 코카콜라의 등장
중국인들은 전통적으로 차가운 음료를 마시지 않는 생활 습관을 갖고 있었다. 중국대륙의 물이 그냥 마시기에는 대부분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갖게 된 생활습관이기도 하지만, 중국인들은 전통적으로 끓인 물에 찻잎을 넣어 마시는 오랜 습관을 갖고 있었다. 그 오랜 습관이 요즘 코카콜라사의 중국시장공략을 필두로 완전히 무너지고 있는 것이다. 코카콜라와 스프라이트뿐만 아니라 미네랄워터와 증류수에, 과일 주스시장도 갈수록 넓어지고 있는 중이다.
2) 코카콜라의 중국 공략
중국인들의 소비 형태와 관련 흥미 있는 것은 코카콜라 (Coca-Cola)의 중국 공략에 관한 이야기이다. 코카콜라 사는 지금까지 중국에 10억 달러를 투자, 중국 전역에 23개의 병입(甁入) 공장과 28개의 깡통입(罐入) 공장을 지어 놓았다. 1986년 코카콜라의 중국 내 판매량은 400만 상자를 넘지 못했다. 그러나 작년 코카콜라의 중국 내 판매량은 무려 4억 5000만 상자라는 경이적인 수치를 기록했다.
중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신문 중의 하나인「북경청년보(北京靑年報)」의 보도에 따르면, 코카콜라 사 측은 앞으로 1억 5000만 달러를 더 투자. 앞으로 5년 내에 11개의 병입 공장을 더 지을 계획이다. 이 신문은 코카콜라사의 성공에는 \'현지화 전략\' 이 가장 큰 요인이며, 코카콜라 사는 현재 중국 내에서 고용하고 있는 1만 5000명의 종업원과 간부직원 모두를 중국인으로만 채용하는 철저한 현지화 전략을 구사해서 경쟁사인 펩시콜라(Pepsi-Cola)를 따돌렸다.
현재 중국 내에서 팔리고 있는 코카콜라는 중국인들의 입맛에 맞는 것으로 개발된 것이며, 중국인들의 입맛에 맞는 코카콜라 개발에는 \'전 종업원의 중국인화\'가 성공요인인 것으로 분석된다는 것이다.
코카콜라가 자신들의 상표를 \'커코우컬러(可口可樂)\' 라는 멋진 발음과 멋진 뜻을 가진 이름으로 만들어 낸 것은 이미 알려진 이야기지만, 자신들의 또 하나 성공적 브랜드인 \'스프라이트(Sprite)\'에는 \'쉬에
  • 가격2,3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13.06.26
  • 저작시기2013.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37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