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궐과 아시아와 유럽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돌궐과 아시아와 유럽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돌궐은 무엇인가

◈ 고대 유럽-아시아 역사에서의 돌궐의 뿌리

① 내몽골의 흉노제국

② 남러시아의 사바르왕국과 하자르왕국

③ 아프가니스탄의 에프탈리테

④ 선비족의 북위(타브가츠)

⑤ 헝가리 평원의 아바르왕국

⑥ 다뉴브 강 유역의 불가리아제국

◈ 돌궐의 성립과 특징

① 돌궐은 어떻게 대제국이 되었는가?

② 돌궐-투르크 왕국들의 구조적 특징

◈ 돌궐의 유라시아 외교

① 유연의 고구려와 중원 왕조에의 외교

② 돌궐의 고구려와 중원 왕조에의 외교

③ 로마제국과 사산조 페르시아에의 외교

◈ 돌궐 제국과 국제 정세

◀ 참 고 문 헌 ▶

본문내용

의 동굴 일대에서 발원한 타브가츠는 258년 무렵에 盛樂(현 내몽골 허흐호트市)일대까지 남하하였고 386년에는 “칸=황제”을 칭하여 북위를 건국하였다. 그리고 이후 중원의 통일에 주력한 끝에 440년 태무제 때에 이르러 거의 백년간 계속되어온 5호16국시대를 마감하고 북중국을 통일했다. 비록 북위는 정복지에 대한 통치의 문제를 둘러싸고 내부분열을 일으켜 534년 붕괴되었지만 뒤를 계승한 동위, 서위, 북제, 북주, 수, 당은 후계제국으로서 그 지배층이 모두 타브가치족이라는데 주목할 필요가 있다.
사실 동양사의 시대구분을 남북사적인 관점에서 유심히 살펴보면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짐을 파악할 수 있다. 즉 진·한과 북방의 흉노로 대표되는 동양의 고대는 중원과 초원의 이념간에 우열을 놓고 쟁패한 시기, 위/진에서 수/당에 이르는 중세시기는 초원의 이념이 적용된 시기, 거란과 宋 이후의 시기는 중원과 초원의 이념이 서로 분리되어 각자의 길로 가는 시기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점을 염두에 두고 타브가치로부터 당 제국에 이르는 시기를 바라보면 초원과 중원의 통합이라는 거센 시대적 바람을 관찰할 수 있다. 타브가치 시대이념의 최종 완성자인 당 태종이 중원의 사람에게는 [황제]로 초원의 사람에게는 [텡그리칸](天可汗)로 자칭할 수 있었던 것도 이런 시대적 배경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谷川道雄은 이 시대를 \"호/한 2중 체제\"라는 독특한 공동체 이론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실제는 북방의 우세가 눈에 띄게 두드러진다.
타브가츠의 남하와 중원정벌 시기에 활약했던 주요 유목민족이 돌궐이다. 그리고 서쪽의 동로마제국과 동쪽의 고구려도 한 축을 담당했다. 돌궐은 동쪽의 고구려, 서쪽의 동로마제국과 동맹하면서, 남쪽의 중원 왕조와 서쪽의 페르시아, 이슬람제국과 대결을 했고, 그 과정에서 초원의 길을 장악하여 금은보석과 도자기와 비단, 말과 차와 종이를 수출입하는 동서 중계 무역을 했다. 특히 돌궐은 “투르크”라는 그 이름을 내세워 돌궐 글자를 만드니, 이제까지의 다른 유목민족들과 달리 처음부터 민족주의적 색채를 분명히 띄었으며, 정복의 형식으로 민족통일을 실제로 꾀했으니, 돌궐제국이 무너진 이후에 많은 돌궐인들은 서쪽으로 이주하여 오스만-투르크제국을 건립하여 동로마제국을 정복하여 돌궐족의 영광을 재현했다.
특히 동양중세사의 관점에서 보면 수/당의 성립과 동로마/페르시아의 승패는 초원과 중원에 모두 적용될 수 있는 이념의 완성과도 같다. 그리고 이후 전개된 중원(정착문명권)과 북방 유목민족간의 무수한 충돌은 민족 간의 전쟁이라기보다는 이념의 확산에 따른 파열음이라고 보아도 무방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결론적으로 이 시대의 주변세력들의 관계를 명확히 설정하기 위해서는 초원의 이념이 어떻게 중원에 적응되면서 그것이 다시 주위로 어떻게 확산되어 갔는가를 염두에 두고 고찰하는 것이 매우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즉 세계제국 당 왕조 및 이슬람제국의 성립과 고구려 및 페르시아의 멸망은 북방 유목사회의 통합이라는 거대한 시대흐름에서 관찰해야 본 모습이 드러날 수 있다고 본다.
참 고 문 헌
◆ / 훈족의 왕 아틸라 / 212쪽 / 패트릭 하워스 저작 - 김훈 번역 / 가람기획 / 2004년 /
◆ / 유라시아유목제국사 / 129쪽 / 르네 그루세 저작 - 김호동 번역 / 사계절출판사 / 1998년 /
◆ / 유대인 5천년사 / 295쪽 / 강영수 / 청년정신사 / 2003년 /
◆ / 영웅시대의 빛과 그늘 / 154쪽 / 박한제 / 사계절출판사 / 2003년 /
◆ / 종횡무진 동로마사 / 208쪽 / 존 줄리어스 노리치 저작 - 이동진 번역 / 그린비 / 2000년 /
◆ / 서양중세사 / 170쪽 / 브라이언 타이어니 저작 - 이연규 번역 / 집문당 / 1993년 /
◆ / 터키사 / 158쪽 / 이희수 / 대한교과서 / 1993년 /
◆ / “돌궐 제2 제국 시기 톤유쿠크의 役割과 그 位相” / 정재훈 /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 석사학위 논문 / 1993년 /
◆ / 유목민족제국사 / 291쪽 / 콴텐 루크 저작 - 송기중 번역 / 민음사 / 1984년 /
◆ / “고구려와 유연과 돌궐의 관계” / 박원길 / 고구려연구회 8차 고구려국제학술대회 논문집 논문 / 2002년 /
◆ / 중앙 유라시아의 역사 / 99쪽 / 코마츠 히사오 저작 - 이평래 번역 / 소나무 / 2005년 /
◆ / 비잔티움 제국사 / 162쪽 / 게오르크 오스트로고르스키 저작 - 한정숙 번역 / 까치글방 / 1999년 /
  • 가격1,4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06.30
  • 저작시기2014.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43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