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제 목
2. 실 습 목 적
3. 소 요 장 비
4. 유 의 사 항
5. 관 련 이 론
6. 실험내용, 결과
7. 고찰
8. 참고 문헌
2. 실 습 목 적
3. 소 요 장 비
4. 유 의 사 항
5. 관 련 이 론
6. 실험내용, 결과
7. 고찰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현상제를 도포한 후 시간이 흐르면 결함이 있는 부분에서 붉은색이 올라오기 시작한다. 현상 방법에는 건식현상법, 습식현상법, 속건식현상법, 무현상법이 있으며, 이번 실험에서는 침투탐상검사에서 널리 쓰이는 속건식현상법을 사용하였다.
5. 현상결과
결과를 확보하는 방법에는 이 처럼 사진을 찍는 방법, 테이프로 현상액과 침투액을 찍어내는 방법, 해당 결함의 좌표를 기록하는 방법등이 있다. 해당 시편은 사진과 같이 조그마한 점형태의 결함이 다양하게 분쎌하고 있으며 용접부 근처에 비교적 큰 결함이 있다.
7. 고찰
결함을 판단하는 비파괴 실험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는데 그중에 전처리 침투처리 세척처리 현상처리 후처리 과정으로 하는 침투 탐상 검사를 통하여 시편 결함을 파악하였다. 침투 탐상 검사란 검출하고자 하는 표면 불연속은 보편적으로 한정된 사람의 시각으로 볼때 검출되지 않기 때문에 색의 대비효과로 육안으로 식별가능하게 하는 검사이다. 먼저 표면장력이란 액체분자간의 응집력으로 물방을과 같은 구를 형성하려는 힘을 말하는데 이 표명장력은 액체의 내부 수압이 평형을 이루면서 형성된다. 이
표면장력으로 인해 나타나는 현상으로 모세관 현상이 있다. 모세관 현상이란 액체의 응집력과 관과 액체 사이의 부착력의 차이에 의해 일어나는데 예를 들면 수은과 물에 유리관을 넣었을때. 수은은 관과의 부착력보다 응집력이 더 강하기 때문에 액면이 볼록해진다. 반면 물은 응집력보다 부착력이 더 강하기 때문에 액면이 오목해지는 현상이다. 그래서 침투제의 표면장력, 침투제의 적심성,
침투제의 접촉각 이 3가지 요인으로 침투력은 달라지게 된다. 먼저 전처리 과정에는 세척액으로 시편에 묻어 침투에 방해가 되는 이물질을 제거 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세척을 제대로 시켜주지 않으면 해당 시편의 결함부에 침투액이 제대로 침투하지 못하여 결과값에 오류가 생길수있다. 다음 침투 처리과정에는 침투제를 시편에 분사하여 결함이 있는부분에 침투액을 침투 시키는 방법이다. 이때 분무법을 사용하였는데 중요한것은 침투 시간이다. 침투 시간을 너무 짧게하면 침투액이 결함부에 완벽히 침투하지 못하여 현상을 하게 될 때 혹 결함이 있어도 육안으로 식별하지 못하게 된다. 또 침투 시간을 너무 길게하면 결함부에 너무 과한 침투로 인해 넓고 흐린 지시가 생길수있다. 다음 세척 처리에는 묻어있는 침투액을 제거하는 것으로 용제세척을 하였는데 세척정도를 적당히 하여야한다. 너무 적게하면 현상하였을때 침투액으로 넓고 흐린 지시가 발생되고 너무 과하게 한다면 결함부에 있는 침투액 까지 지워지게되어 현상하였을때 결함부를 확인하지 못할수도 있다. 다음 현상처리에는 30cm 정도에서 골고루 분사하여 시편 표면에 일정한 두께의 현상액이 뿌려져야 일관된 결과 값을 얻을수있으며 시간이 지나면 결함부에 남아있던 침투액이 모세관 현상으로인해 육안으로 식별가능하게 떠오르게 된다. 결과 값을 보면 결함부의 침투액이 넓고 흐린것을 볼수있으며 가장자리에 침투액이 덜 닦여 결함이 있지 않은 부분에도 지시가 생긴것을 볼수있다. 이때 중요한것은 침투액의 침투시간이 중요한데 그것을 지키지 않았고 세척이 부족해서 정확한 결함을 검출하지 못했다고 생각된다. 이 실험을 해본 결과 다른 비파괴 실험에 비하여 결제성과 편리성이 뛰어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결과를 보게되면 해당 시편의 표면에 점으로된 결함이 넓게 분포하고 있으며 용접부에 비교적 큰 결함이 있는것을 확인할 수 있다.
8. 참고 문헌
-『비파괴 검사 개론』 박은수 박익근 공저(2000) 골드
-『비파괴 검사 문제와 해설』한치현 이용 한기수 하기수 원승환 이의종 공저 (1994) 세진사
- 네이버 지식백과
5. 현상결과
결과를 확보하는 방법에는 이 처럼 사진을 찍는 방법, 테이프로 현상액과 침투액을 찍어내는 방법, 해당 결함의 좌표를 기록하는 방법등이 있다. 해당 시편은 사진과 같이 조그마한 점형태의 결함이 다양하게 분쎌하고 있으며 용접부 근처에 비교적 큰 결함이 있다.
7. 고찰
결함을 판단하는 비파괴 실험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는데 그중에 전처리 침투처리 세척처리 현상처리 후처리 과정으로 하는 침투 탐상 검사를 통하여 시편 결함을 파악하였다. 침투 탐상 검사란 검출하고자 하는 표면 불연속은 보편적으로 한정된 사람의 시각으로 볼때 검출되지 않기 때문에 색의 대비효과로 육안으로 식별가능하게 하는 검사이다. 먼저 표면장력이란 액체분자간의 응집력으로 물방을과 같은 구를 형성하려는 힘을 말하는데 이 표명장력은 액체의 내부 수압이 평형을 이루면서 형성된다. 이
표면장력으로 인해 나타나는 현상으로 모세관 현상이 있다. 모세관 현상이란 액체의 응집력과 관과 액체 사이의 부착력의 차이에 의해 일어나는데 예를 들면 수은과 물에 유리관을 넣었을때. 수은은 관과의 부착력보다 응집력이 더 강하기 때문에 액면이 볼록해진다. 반면 물은 응집력보다 부착력이 더 강하기 때문에 액면이 오목해지는 현상이다. 그래서 침투제의 표면장력, 침투제의 적심성,
침투제의 접촉각 이 3가지 요인으로 침투력은 달라지게 된다. 먼저 전처리 과정에는 세척액으로 시편에 묻어 침투에 방해가 되는 이물질을 제거 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세척을 제대로 시켜주지 않으면 해당 시편의 결함부에 침투액이 제대로 침투하지 못하여 결과값에 오류가 생길수있다. 다음 침투 처리과정에는 침투제를 시편에 분사하여 결함이 있는부분에 침투액을 침투 시키는 방법이다. 이때 분무법을 사용하였는데 중요한것은 침투 시간이다. 침투 시간을 너무 짧게하면 침투액이 결함부에 완벽히 침투하지 못하여 현상을 하게 될 때 혹 결함이 있어도 육안으로 식별하지 못하게 된다. 또 침투 시간을 너무 길게하면 결함부에 너무 과한 침투로 인해 넓고 흐린 지시가 생길수있다. 다음 세척 처리에는 묻어있는 침투액을 제거하는 것으로 용제세척을 하였는데 세척정도를 적당히 하여야한다. 너무 적게하면 현상하였을때 침투액으로 넓고 흐린 지시가 발생되고 너무 과하게 한다면 결함부에 있는 침투액 까지 지워지게되어 현상하였을때 결함부를 확인하지 못할수도 있다. 다음 현상처리에는 30cm 정도에서 골고루 분사하여 시편 표면에 일정한 두께의 현상액이 뿌려져야 일관된 결과 값을 얻을수있으며 시간이 지나면 결함부에 남아있던 침투액이 모세관 현상으로인해 육안으로 식별가능하게 떠오르게 된다. 결과 값을 보면 결함부의 침투액이 넓고 흐린것을 볼수있으며 가장자리에 침투액이 덜 닦여 결함이 있지 않은 부분에도 지시가 생긴것을 볼수있다. 이때 중요한것은 침투액의 침투시간이 중요한데 그것을 지키지 않았고 세척이 부족해서 정확한 결함을 검출하지 못했다고 생각된다. 이 실험을 해본 결과 다른 비파괴 실험에 비하여 결제성과 편리성이 뛰어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결과를 보게되면 해당 시편의 표면에 점으로된 결함이 넓게 분포하고 있으며 용접부에 비교적 큰 결함이 있는것을 확인할 수 있다.
8. 참고 문헌
-『비파괴 검사 개론』 박은수 박익근 공저(2000) 골드
-『비파괴 검사 문제와 해설』한치현 이용 한기수 하기수 원승환 이의종 공저 (1994) 세진사
- 네이버 지식백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