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설계목표
2. 설계내용
3. 코드
4. 코드설명
5. 시뮬레이션 결과
6. 결과 토의
7. 참고서적
2. 설계내용
3. 코드
4. 코드설명
5. 시뮬레이션 결과
6. 결과 토의
7. 참고서적
본문내용
래 신호가 주어지고 delay가 1.5ns이후에 발생을 하여야 하는데 둘 다 5.168, 5.188ns이후에 발생을 하였다. 이것에 대한문제는 계속 조작을 해보았으나 device내부에 있는 무언가가 다시 delay를 만들어 내어 신호가 더 늦게 발생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device를 여러 개 바꾸어 가면서 신호를 입력하여 주었는데 각각의 device마다의 신호가 출력되는 시간이 다르게 나왔다. 그것을 보게 됨으로 써 device 내부의 요인에 의하여 delay가 생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c-d에서의 1.09ns도 마찬가지로 device 내부에 의한 delay의 가능성을 배재할 수 없다고 판단한다.
신호시작점(c)
신호끝점(d)
c - d
a(ns)
1
2
1
b_trans(ns)
6.168
7.258
1.09
b_iner(ns)
6.188
7.278
1.09
b_iner - a(ns)
5.168
5.258
b_trans - a(ns)
5.188
5.278
표 1. inertial, transport delay에 의한 신호의 변화
다음의 그림과 같이 Device를 비교해 보았는데 첫 번째가 이번 시뮬레이션을 나타낸 Device : Stratix3이고 두 번째 것이 비교를 하기 위하여 선택한 Device : MAX2이다. 여기서 보면 둘의 입력값은 같은데 출력값과 그 생긴 시간이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아까 말한 device에 의한 delay가 발생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신호의 간격도 원래는 1ns를 주었는데 여기서는 출력 신호간격이 1.23ns로 변화하였다. 이것 또한 아까 시뮬레이션에서는 1.09ns가 발생하였는데 차이를 알 수 있었다. delay가 예상한 대로 나오지 않는 점은 device간에 발생하는 차이에 의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신호시작점(c)
신호끝점(d)
c - d
a(ns)
1
2
1
b(ns)
3.797
5.027
1.23
b - a(ns)
2.797
3.027
표 2. inertial, transport delay에 의한 신호의 변화(Device:MAX2)
Device : Stratix3
Device : MAX2
7. 참고서적
- 이대영 저, 하드웨어 설계를 위한 VHDL 기초와 응용, 홍릉과학, 초판, 1995, pp.36-48, 64-66, 100
- 박세현 저, 디지털 시스템 설계를 위한 VHDL 기본과 활용, 그린, 초판, 1998 pp.31-39
신호시작점(c)
신호끝점(d)
c - d
a(ns)
1
2
1
b_trans(ns)
6.168
7.258
1.09
b_iner(ns)
6.188
7.278
1.09
b_iner - a(ns)
5.168
5.258
b_trans - a(ns)
5.188
5.278
표 1. inertial, transport delay에 의한 신호의 변화
다음의 그림과 같이 Device를 비교해 보았는데 첫 번째가 이번 시뮬레이션을 나타낸 Device : Stratix3이고 두 번째 것이 비교를 하기 위하여 선택한 Device : MAX2이다. 여기서 보면 둘의 입력값은 같은데 출력값과 그 생긴 시간이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아까 말한 device에 의한 delay가 발생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신호의 간격도 원래는 1ns를 주었는데 여기서는 출력 신호간격이 1.23ns로 변화하였다. 이것 또한 아까 시뮬레이션에서는 1.09ns가 발생하였는데 차이를 알 수 있었다. delay가 예상한 대로 나오지 않는 점은 device간에 발생하는 차이에 의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신호시작점(c)
신호끝점(d)
c - d
a(ns)
1
2
1
b(ns)
3.797
5.027
1.23
b - a(ns)
2.797
3.027
표 2. inertial, transport delay에 의한 신호의 변화(Device:MAX2)
Device : Stratix3
Device : MAX2
7. 참고서적
- 이대영 저, 하드웨어 설계를 위한 VHDL 기초와 응용, 홍릉과학, 초판, 1995, pp.36-48, 64-66, 100
- 박세현 저, 디지털 시스템 설계를 위한 VHDL 기본과 활용, 그린, 초판, 1998 pp.31-39
키워드
추천자료
자신의 학과소개-전자공학부
전자공학이란 무엇인가
[전자공학] 등가전원정리 결과리포트
전자공학에 대하여
(전자공학) 슈미트 트리거
기계공학실험 연료전지 실험
옵셋 리소그래픽 프린팅(Offset Lithographic Printing) 기법의 특징 및 공정법과 유기전자공...
전력전자공학 1장2장 연습문제풀이
기계공학실험 베르누이방정식실험 입니다~
[전자전기공학] 반도체 생산공정
[전자전기공학] 저항 콘덴서 코일 특성 - Resistor, capacitor, Inductor의 특성과 응용
물리전자공학 프로젝트 Design and analysis of long-channel nMOSFETs
화학공학실험 - 고정층(fixed bed)과 유동층(fluidized bed) 실험
전력전자공학 제2강.개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