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공학 - 파워트레인[power train]에 대해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자동차공학 - 파워트레인[power train]에 대해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파워트레인의 개요 1
1) 동력전달장치 1

2. 클러치의 구조 및 종류 1
1) 클러치 역할 1
2) 클러치 종류 2
3) 클러치 작동원리 2
4) 클러치판(clutch plate) 구성과 기능 2

3. 변속기의 구조 및 종류 2
1) 변속기의(transmission) 역할 2
2) 변속기의 종류 2
3) 변속기의 구비조건 3

4. 트랜스퍼 케이스의 구조 3
1) 트랜스퍼 케이스(Transfer Case)개요 3
2) 구동방식 3
3) 제어 시스템 4

5. 드라이브 라인(Drive line)(추진축.등속축)구조 4
1) 드라이브 라인(Drive line)종류 및 역할 4
2) 추진축(Propeller Shaft)구조 4
3) 자재이음(Universal Joint) 5
4) 중심 베어링(Center Bearing) 5

6. 종감속기어 및 차동기어 구조 5
1) 종감속 기어( final reduction gear) 5
2) 차동기어 장치(differential gear) 6
3) 자동제한 차동기어장치(limited slip differential gear) 6

7. 뒤차축 구조 및 종류 6
1) 역할 및 종류 6
2) 일체식 액슬 하우징 6
3) 일체식에서 액슬축 지지방식 7
4) 일체식에 액슬 하우징 형식 7
5) 분리 차축식 7
6) 독립 차축식 7

본문내용

후륜의 선회 반지름에 의해 생기는 회전차를 흡수하는 기능 등을 갖고 있음
2. 구동방식
1) 파트 타임 방식 : 이 방식은 필요에 따라서 수동 조작등에 의해 전후륜을 기계적으로 직결하는 것으로서, 구동력 분배는 전후륜의 동적 하중 분배에 비례해 이루어진다. 전후륜의 어느 쪽인가가 슬립해도 타이어의 그립력에 따라 구동력이 분배 된다. 단, 선회시에 타이어와 노면 사이에 강제 슬립이 생겨서 타이어가 끌리는 현상이 생겨 타이어의 마멸 증대나 연비를 악화시키는 타이트 코너 브레이크 현상이 발생하는 것 등의 단점이 있다 .그림은 파트 타임 방식의 트랜스퍼 케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컴패니언 플랜지, 커버 어셈블리, 로크업 시프트, 구동 체인, 펌프 어셈블리, 리 덕션 시프트 어셈블리, 입 출력축 어셈블리 등으로 구성
2) 풀 타임방식 : 이 방식은 전후륜의 회전 속도차를 흡수하면서 구동력을 전후륜에 상시 전달하는 것으로서, 전후륜의 구동력 배분이 항상 일정한 비율로 되는 고정 분배식과 노면 상황이나 주행 상태 등에 따라서 구동력 분배가 가변으로 되는 가변 분배식으로 분류된다. 특히, 가변 분배식에는 비스커스 커플링을 이용하여 전후륜의 회전 속도차 에 대응한 구동력 분배가 자동적으로 변하는 방식과 유압 다판 클러치를 이용 하여 그 작동 유압에 의해 전달 토크 용량이 제어되는 방식이 있다 . 전륜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데는 고속 회전이 가능하고 전달 토크 용량이 높으며, 정숙성이 우수하고 경량이며, 스페이스를 줄일 수 있는 위 그림과 같은 사일런트 체인 등이 사용
3) 윌 비스키스 커플링 : 비스커스 커플링은 일시 4 륜 구동의 앞뒤 직결 상태에서 트랜스퍼와 뒤차축 기어 사이에 점성 커플링을 직결로 설치한 것으로서, 앞뒤 바퀴의 회전 속도차 를 흡수하여 일시 4 륜 구동 자동차의 2륜구동, 4륜구동의 변환 조작을 하지 않고 항상 4륜 구동 주행이 가능하게 한 것
비스커스 커플링의 구조는 여러 장의 앓은 구동판과 피동판 사이에 점도가 높은 실리콘 오일이 들어 있으며, 구동판은 케이스와 일체 로 회전하고, 피동판은 축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스플라인으로 끼워져 있다. 그리고 틈새링에 의해 같은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피동판은 축방향으로 움직 이도록 되어 있다. 비스커스 커플링은 구동판과 피동판이 미끄러질 때 마찰력 이 발생하므로 그 사이에 생기는 저항으로 토크를 전달
3. 제어 시스템
4 륜 구동은 트랜스퍼 케이스 컨트롤 유닛 (TCCU : transfer case conko1 unit) 으로 제어되며, 보통 스위치 조작에 따라 주행 중에도 4 륜 구동으로 변환이 가능하도록 해 주는 기능을 갖고 있다 . 파트 타임 방식에는 2H, 4H 및 4L의 3 가지 주행 모드로 구성되어 있고, 주행 조건에 따라 운전자가 자유롭게 설정 할 수 있으며, TCCU 로 제어
◈ 드라이브 라인(Drive line)(추진축.등속축)구조
1. 드라이브 라인(Drive line)종류 및 역할
1) 추진축(Propeller Shaft) : 변속기에 나온 구동력을 종감속 기어까지 각의 변화와 길이의 변화를 주어 구동력을 전달하며 주로 FR(후륜 구동)방식과 4DW(4륜 구동) 방식에서 변속기와 종감속기어 사이에 설치됨
2) 등속축(Constant Velocity Shaft) : 종감속 기어에 나온 구동력을 구동바퀴까지 각의 변화와 길이의 변화를 주어 구동력을 전달하며 주로 FF(전륜구동)방식. RR(후륜 구동)방식. 4DW(4륜 구동)방식에서 많이 사용
2. 추진축(Propeller Shaft)구조
변속기로부터 종감속 기어까지 동력을 전달하는 축으로서 강한 비틀림을 받으며 고속회전 하기 때문에 두께가

키워드

  • 가격1,8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07.06
  • 저작시기2013.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57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