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문학] 청교도시대 형이상학파와 왕당파 시의 세계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문학] 청교도시대 형이상학파와 왕당파 시의 세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형이상학파 시의 세계
1. 형이상학파 시란?
2. 시대적 배경 -청교도 시대
3. 형이상학파시의 특징
4. 형이상학파의 대표적인 시인들과 작품세계

Ⅱ. 왕당파 시인들(Cavalier Poets)
1. 왕당파 시인
3. 왕당파 시인들의 작품세계 개괄
4. 작가별 작품 분석
5. 존 밀턴(John Milton, 1608~1674)
6. 존 번연(John Bunyun, 1628~1688)

본문내용

의 연인에게 말을 하거나, 신에게 말하거나 항의하는 매우 돌연하고 사적인 어조로 시작
5) 엘리자베스 여왕 시대와 달리 운율을 중시하지 않음. 불규칙적이고 불협화음적인 음색을 의도적으로 사용하여 주장을 강화, 불규칙적인 리듬에 화자의 심리상태 반영.
6) 시의 주조는 역설과 아이러니. 궤변적, 변증법적 논리 전개와 기이한 착상의 기발한 병치 등을 통해 이러한 시적 긴장을 끌어냄.
We can die by it, if noy live by love(The canonization)
만일 우리가 사랑으로 살 수 없다면, 그것으로 죽을 수는 있소.
7) 시의 리듬은 의미의 지배를 받음. 귀에 거슬리거나 거칠게 들리는데 현대적 관심에서 보면 그것은 오히려 규칙적인 스무드한 리듬보다는 훨씬 활기차고 발랄하고 극적인 효과를 얻고 보기와는 달리 조화롭게 글들이 이어짐
8) 완결된 사랑을 노래하고 그들의 사랑의 영원성을 자랑.
9) 주관적인 감정을 뺀 시어들을 다양한 학문과 지식에서 객관적으로 인유하여 사용. 당시 과학과 학문의 발달 영향으로 철학, 종교, 법학, 지리, 과학, 천문학, 수학 등 방대한 학문에서 시의 소재를 찾았다. 이에 따라 과학적인 용어도 많이 사용.
We can we find two better hemispheres,
Without sharp north, without declining west?(the Good Morrow)
어디서 우리는 이보다 나은 두 반구를 발견할 수 있겠소
추운 북쪽도, 해 저무는 서쪽도 없는?
10) 사랑하는 연인의 외형적인 미모를 찬미하기 위해 외모보다 영적 결합, 정신적 유대를 더욱 강조.
11) 천체 과학적인 용어를 많이 구사하고, 현미경, 망원경 등과 같은 도구를 사용. 그들이 바라보는 사물을 확대시키거나 아니면 반대로 응축시키고, 축소시키는 이미지를 많이 구사.
4. 형이상학파의 대표적인 시인들과 작품세계
1) 존단(John Donne. 1573~1631)
(1) 생애
- 런던 출생, 43세 때 사제가 되어 성직자 생활을 시작
- ‘세속 시’(secular poems) : 성직에 들어가기 이전인 런던 법학원 시절의 자유분방하던 젊은 시절에 쓴 시
- ‘종교시’(holy sonnet) : 성직에 들어간 후에 지은 종교적 색채의 시
(2) 존 단의 시 세계
- 신화가 풍부한 전원시, 플라토니즘에 치우친 사랑의 연시, 풍유가 넘치는 낭만 서사시풍의 시에 반기, 기사도적인 사랑의 모럴과 관례를 타파
- 운율을 의미에 종속
- 감정을 표출시키는 대화체를 사용
- 연시는 미묘하고 난해하고 창의적 기상이 풍부
- 도처에 기지(wit)가 발견
- 일반적인 의미의 철학적인 사고를 강요하지 않고, 사랑이나 죽음의 문제들을 현실적이고 형식적인 면에서 경쾌하게 노래
A Valediction : Forbidding Mourning
- Donne의 후원자인 Sir Robert Drury를 따라서 불란서 여행을 떠나기 전에, 슬퍼하는 아내를 위로하기 위하여 쓴 고별시
- Rhythm : 규칙적인 Iambic tetrametre,
- Rhyme scheme은 abab, cdcd,
덕 있는 사람들은 조용히 죽으면서,자기 영혼에게 가자고 속삭인다.그러는 동안 슬퍼하는 친구들이 어떤 사람은숨이 진다고 말하고 어떤 사람은 아니라고 말한다.그처럼 우리도 태연하게 소란을 피우지 말고,눈물의 홍수도,한숨의 폭풍도 보이지 말자.속인들에게 우리들의 사랑을 말한다는 것은 우리들의 즐거움의 모독이 될 것이다.
지구의 동요는 위해와 공포를 초래하고,사람들은 그 결과 그 의미를 생각하게 된다.그러나 천체들의 진동은훨씬 클지라도, 아무 해도 끼치지 않는다.
- 사랑하는 연인들이 다정하게 속삭이는 듯한 대화체 형식을 사용
As virtuous men pass mildly away,
and whisper to their souls to go,
Whilst some of their sad friends do say,
\"The breath goes now\" and some say, \"No,\"
So let us melt, and make no noise,
No tear-floods, nor sigh-tempests move;
\'Twere profanation of our joys
To tell the laity our love.
Moving of the earth brings harms and fears
Men reckon what it did and meant;
But trepidation of the spheres,
Though greater far, is innocent.
따분한 지상의 연인들의 사랑은(그 정수가 감각적이어서)이별을 허용할 수가 없다.
왜냐하면 이별은 그 사랑의 구성 요소인 감각적인 것들을 제거하기 때문이다.그러나 우리 스스로 이별을 무엇인지 모르도록순화된 하나의 사랑에 의해서우리는 마음을 서로 확실히 믿고 있어서,눈,입술,손이 없어도 별로 개의치 않는다.
Dull sublunary lover\'s love
(Whose soul is sense) cannot admit
Absence, because it doth remove
Those things which elemented it.
But we, by a love so much refined
That our selves know not what it is,
Inter-assured of the mind,
Care less, eyes, lips, and hands to miss.
이 시의 1연~5연은 정신적인 사랑과 육체적인 사랑의 관계를 적절한 이미지들을 통하여 미묘하게 대조시키면서 작가가 지향하는 보다 완전한 사랑의 형태를 제시하고 있다.
1연의 ‘pass mildly away’와 ‘whisper’, 2연의 ‘melt’, ‘no noise’, ‘no tear-floods’, ‘no sigh-tempests’의 이미지들은 육체적인 사랑을 하는 연인들과 정신적인 사랑을 하는 조용하고 덕 있는 연인들의 속성들을 함축적으로 표현하고 있으며 2연은 ‘profanation’과 ‘攀’의 말을 대조시킴으로써, 3연은 ‘炳
  • 가격2,3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3.07.07
  • 저작시기201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59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