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들어가기에 앞서 이론이 부족하여 점토에 관해 간단히 조사하여 보았습니다.
점토란 : 암석이 오랜 기간에 걸쳐 풍화 또는 분해되어 생긴 세립 또는 분상 집합체 이다.
점토의 종류 : 점토를 구성하고 있는 점토 광물은 잔류점토와 침적점토로 구분된다.
1) 잔류점토 (1차 점토)
- 물에 흘러서 이동하는 기회가 적으므로 입자가 거칠고 점력이 부족하여 형태를 만드는데 부적당하다. 그러나 유기물과 철분 등의 불순물 함유량이 적어 백색이 많고 규석성분이 많아 내화도가 높다. (ex. 카오린)
2) 침적점토 (2차 점토)
- 원위치 즉 모암에서 멀리 떠 밀려서 퇴적한 것을 말한다. ‘표적점토’라고도 한다.
ex. -볼클레이 : 2차점토의 대표적인 점토로 흐르는 물에 의하여 먼 곳으로 밀려 내려가 쌓여진 탓으로 입자가 부드럽고 가소성이 풍부하여 성형하는데 유리하나 불순물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
-내화점토 : 내화점토는 많은 양의 알루미나와 규산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많은 양의 철과 마그네슘, 칼륨, 나트륨 등을 포함하고 있다.
-석기점토 : 대체로 내화점토와 성질이 비슷하지만 내화토 보다 많은 양의 장석질을 함유하고 있다. 적토라고 하는 운모 족광물로 주로 구성되어 있으며 소성하면 회색이 된다.
그 외 도기점토, 벤토나이트 등이 있다.
지표의 성질 : 지표를 구성하는 광물질에는 장석이 제일 많이 함유되어 있다. 이처럼 가장 흔한 광물이다.
ps. 장석이란? 지각이나 달, 운석 속에서 발견되는 화강암의 주요 구성성분이다. 천연으로 산출되는 장석은 대부분 칼륨장석, 나트륨장석, 칼슘장석의 세 가지 단성분의 계열에 속한다.
====== 점토에 대하여 ======
1. 점토의 특성
1) 천연산의 미세한 입자의 집합체
2) 습하면 가소성을 나타내고
3) 이것을 건조하면 즉 마르면 강성을 나타내며
4) 이것을 적당한 온도로 소성하면 소결한다.
2. 소결체 3요소
1) 가소성부분 (대표적인 원료가 점토)
2) 내화성결정부분
3) 융제 또는 유리상부분
3. 일차점토와 이차점토
▶ 칼리장석(열수 작용) → 카올린 + 규산 + 탄산칼리
▶ K2OAl2O3 6SiO2 + 2H2O + CO2 → Al2O3 2SiO 2H2O + 4SiO2 + K2CO3
1) 일차 점토 : 위의 카올린화 식에처럼 카올린이 풍화작용을 받은 곳, 또는 그 근처에 남아 있을 때는 이 점토를 일차점토 또는 잔류점토라고 한다.
2) 이차 점토 : 일차점토가 바람과 물의 작용으로 수비, 풍비의 분리과정을 거치게 되므로 비중입자의 크기가 다른 물질들이 따로 따로 퇴적하게 된다. 이와 같이 분리되어 입자가 작은 점토가 퇴적하여 생긴 점토를 이차점토라 한다.
◎ 특성 비교
성질
1차 점토
2차점토
입자의 크기
가소성
협잡물(철분, 유기물 등)
색
건조강도
크다
적다
적다
백색에 가깝다
약하다
작다
크다
많다
색이 진하다
강하다
◎ 점토광물의 화학식과 화학조성
광물명
화학식
화학조성(무게%)
SiO2
Al2O3
H2O
K2O
MgO
Kaolin Kaolinite
Minerals Nacrite
Dickite
Meta-
Halloysite
Hydrated-
Halloysite
Pyrophyllite
Montmorillonit
Sericite(Mica)
Talc
Al2O3 2SiO2 2H2O
Al2O3 2SiO2 2H2O
Al2O3 2SiO2 2H2O
Al2O3 2SiO2 4H2O
Al2O3 2SiO2 2H2O
Al2O3 2SiO2 H2O
Al2O3 2SiO2 6H2O
K2O3 Al2O3 6SiO2 2H2O
3MgO 4SiO2 H2O
46.54
46.54
46.54
46.54
40.8
66.7
53.4
45.2
63.4
39.50
39.50
39.50
39.50
34.7
28.3
22.6
38.5
-
13.96
13.96
13.96
13.96
24.5
5.0
24.0
4.5
4.7
-
-
-
-
-
-
-
11.8
-
-
-
-
-
-
-
-
-
31.9
4. 무기재료의 원료로서의 점토의 중요한 성질
1) 성형능력, 건조강도 생소지강도 건조수축 내화도 하중연화온도 소성색상등이다.
2) 입자의 크기와 분포상태이다. 2m 이하의 미세한 입자가 많을수록 점토의 성형 능력은 커진다.
5. 용도에 따른 점토의 종류
1) 가소성점토, 내화점토, 벽돌용 점토, 석기점토, 화장토, 유약용 점토, 법랑용 점토, 제지용 점토, 벤토나이트 등
6. 점토 광물의 구조
7. 화학적 물리적 특성
▶ 물리적, 화학적 특성은 점토의 조직, 보수력, 투수성과 통기성, 점성, 가소성, 응집력, 점착력, 부피밀도, 건조강도, 소성강도, 기타의 물성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1] 화학적 성질
1)이온교환과 고정
점토에 이온을 함유하는 수용액을 접촉시키면 점토의 표면에 이온의 집적이 일어난다. 이 이온의 흡착반응은 양이온교환, 음이온교환, 양이온 고정, 음이온고정 및 음양이온 대 흡착으로 구분된다. 이온교환은 점토표면에 존재하는 이온과 용액 중에 있는 이온 사이에서 일어나는 가역적인 교환반응이다.
이온고정은 비가역적인 이온 흡착현상으로 점토에 흡착된 이온은 다른 이온과 치환하지 않거나 비교적 치환되기 어려운 형으로 변화한다. 음양이온 대 흡착은 일반적으로 음양이온으로 해리되어 흡착되는 전해질이 전기적으로 중성인 염분자 의 형태로 흡착되는 현상이다.
그리고 점토와 염류의 용액을 접촉시켰을
점토란 : 암석이 오랜 기간에 걸쳐 풍화 또는 분해되어 생긴 세립 또는 분상 집합체 이다.
점토의 종류 : 점토를 구성하고 있는 점토 광물은 잔류점토와 침적점토로 구분된다.
1) 잔류점토 (1차 점토)
- 물에 흘러서 이동하는 기회가 적으므로 입자가 거칠고 점력이 부족하여 형태를 만드는데 부적당하다. 그러나 유기물과 철분 등의 불순물 함유량이 적어 백색이 많고 규석성분이 많아 내화도가 높다. (ex. 카오린)
2) 침적점토 (2차 점토)
- 원위치 즉 모암에서 멀리 떠 밀려서 퇴적한 것을 말한다. ‘표적점토’라고도 한다.
ex. -볼클레이 : 2차점토의 대표적인 점토로 흐르는 물에 의하여 먼 곳으로 밀려 내려가 쌓여진 탓으로 입자가 부드럽고 가소성이 풍부하여 성형하는데 유리하나 불순물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
-내화점토 : 내화점토는 많은 양의 알루미나와 규산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많은 양의 철과 마그네슘, 칼륨, 나트륨 등을 포함하고 있다.
-석기점토 : 대체로 내화점토와 성질이 비슷하지만 내화토 보다 많은 양의 장석질을 함유하고 있다. 적토라고 하는 운모 족광물로 주로 구성되어 있으며 소성하면 회색이 된다.
그 외 도기점토, 벤토나이트 등이 있다.
지표의 성질 : 지표를 구성하는 광물질에는 장석이 제일 많이 함유되어 있다. 이처럼 가장 흔한 광물이다.
ps. 장석이란? 지각이나 달, 운석 속에서 발견되는 화강암의 주요 구성성분이다. 천연으로 산출되는 장석은 대부분 칼륨장석, 나트륨장석, 칼슘장석의 세 가지 단성분의 계열에 속한다.
====== 점토에 대하여 ======
1. 점토의 특성
1) 천연산의 미세한 입자의 집합체
2) 습하면 가소성을 나타내고
3) 이것을 건조하면 즉 마르면 강성을 나타내며
4) 이것을 적당한 온도로 소성하면 소결한다.
2. 소결체 3요소
1) 가소성부분 (대표적인 원료가 점토)
2) 내화성결정부분
3) 융제 또는 유리상부분
3. 일차점토와 이차점토
▶ 칼리장석(열수 작용) → 카올린 + 규산 + 탄산칼리
▶ K2OAl2O3 6SiO2 + 2H2O + CO2 → Al2O3 2SiO 2H2O + 4SiO2 + K2CO3
1) 일차 점토 : 위의 카올린화 식에처럼 카올린이 풍화작용을 받은 곳, 또는 그 근처에 남아 있을 때는 이 점토를 일차점토 또는 잔류점토라고 한다.
2) 이차 점토 : 일차점토가 바람과 물의 작용으로 수비, 풍비의 분리과정을 거치게 되므로 비중입자의 크기가 다른 물질들이 따로 따로 퇴적하게 된다. 이와 같이 분리되어 입자가 작은 점토가 퇴적하여 생긴 점토를 이차점토라 한다.
◎ 특성 비교
성질
1차 점토
2차점토
입자의 크기
가소성
협잡물(철분, 유기물 등)
색
건조강도
크다
적다
적다
백색에 가깝다
약하다
작다
크다
많다
색이 진하다
강하다
◎ 점토광물의 화학식과 화학조성
광물명
화학식
화학조성(무게%)
SiO2
Al2O3
H2O
K2O
MgO
Kaolin Kaolinite
Minerals Nacrite
Dickite
Meta-
Halloysite
Hydrated-
Halloysite
Pyrophyllite
Montmorillonit
Sericite(Mica)
Talc
Al2O3 2SiO2 2H2O
Al2O3 2SiO2 2H2O
Al2O3 2SiO2 2H2O
Al2O3 2SiO2 4H2O
Al2O3 2SiO2 2H2O
Al2O3 2SiO2 H2O
Al2O3 2SiO2 6H2O
K2O3 Al2O3 6SiO2 2H2O
3MgO 4SiO2 H2O
46.54
46.54
46.54
46.54
40.8
66.7
53.4
45.2
63.4
39.50
39.50
39.50
39.50
34.7
28.3
22.6
38.5
-
13.96
13.96
13.96
13.96
24.5
5.0
24.0
4.5
4.7
-
-
-
-
-
-
-
11.8
-
-
-
-
-
-
-
-
-
31.9
4. 무기재료의 원료로서의 점토의 중요한 성질
1) 성형능력, 건조강도 생소지강도 건조수축 내화도 하중연화온도 소성색상등이다.
2) 입자의 크기와 분포상태이다. 2m 이하의 미세한 입자가 많을수록 점토의 성형 능력은 커진다.
5. 용도에 따른 점토의 종류
1) 가소성점토, 내화점토, 벽돌용 점토, 석기점토, 화장토, 유약용 점토, 법랑용 점토, 제지용 점토, 벤토나이트 등
6. 점토 광물의 구조
7. 화학적 물리적 특성
▶ 물리적, 화학적 특성은 점토의 조직, 보수력, 투수성과 통기성, 점성, 가소성, 응집력, 점착력, 부피밀도, 건조강도, 소성강도, 기타의 물성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1] 화학적 성질
1)이온교환과 고정
점토에 이온을 함유하는 수용액을 접촉시키면 점토의 표면에 이온의 집적이 일어난다. 이 이온의 흡착반응은 양이온교환, 음이온교환, 양이온 고정, 음이온고정 및 음양이온 대 흡착으로 구분된다. 이온교환은 점토표면에 존재하는 이온과 용액 중에 있는 이온 사이에서 일어나는 가역적인 교환반응이다.
이온고정은 비가역적인 이온 흡착현상으로 점토에 흡착된 이온은 다른 이온과 치환하지 않거나 비교적 치환되기 어려운 형으로 변화한다. 음양이온 대 흡착은 일반적으로 음양이온으로 해리되어 흡착되는 전해질이 전기적으로 중성인 염분자 의 형태로 흡착되는 현상이다.
그리고 점토와 염류의 용액을 접촉시켰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