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민족해방과 해방운동, 민족해방과 민족해방운동사, 민족해방과 여성문학, 민족해방과 독일문학, 민족해방과 베트남 분석
Ⅰ. 민족해방과 해방운동
Ⅱ. 민족해방과 민족해방운동사
1. 제1기
2. 제2기
3. 제3기
Ⅲ. 민족해방과 여성문학
Ⅳ. 민족해방과 독일문학
Ⅴ. 민족해방과 베트남
참고문헌
Ⅰ. 민족해방과 해방운동
Ⅱ. 민족해방과 민족해방운동사
1. 제1기
2. 제2기
3. 제3기
Ⅲ. 민족해방과 여성문학
Ⅳ. 민족해방과 독일문학
Ⅴ. 민족해방과 베트남
참고문헌
본문내용
하나의 비합법적 통일전선조직으로 결집하려는 노력은 58년부터 이미 시작되었다. 살아남은 저항전사와 혁명가들은 노농투쟁의 고양을 기초로 미 - 디엠의 반공분단체제에 반대하는 모든 애국통일세력을 결집하여 59년 가을에는 뒤에 민족해방전선의 모체가 될 역량이 결집되었다. 핀 탄 팟, 우엔 반 휴, 창 푸 키엠 등을 지도부로 하는 ‘동위원회’가 이 조직사업을 주도하였다. 59년 말 2개월에 걸친 토론 끝에 지도부는 각계각층의 공동이해를 기초로 조직의 강령을 결정하고 1년 후인 60년 12월 19~20일에 ‘남베트남민족해방전선’을 결성하기로 결정했다. 국기와 국가(베트남을 해방하자)를 제정하고 우엔 반 휴를 하노이에 보내 강령에 관한 호지명의 지도를 받았다. 전 사회는 벤쩨봉기의 여세를 몰아 60년 3월 “디엠정권은 전 인민에게 자위를 위한 무기를 들게 하였다”라고 선언하고 무쟁투쟁에 나설 것을 촉구하였다. 이 주장은 전단, 포스터는 물론이고 하노이방송을 통해서도 전국 각지에 전파되었다. 베트남노동당 중앙과 공화국 정부는 남부의 해방투쟁을 정치군사 모든 면에서 지원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정식 발표하기에 이르렀다. 이런 조치와 준비는 이제 막 탄생할 민족해방전선의 신뢰성을 더욱 높여주었다.
이렇게 치밀하고 장기에 걸친 준비 끝에 민족해방전선 결성대회는 타이닌성의 캄보디아 국경 산기슭에서 예정대로 60년 19~20일 농민, 노동자, 청년, 여성 등 각계각층 대표가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참석자들은 신원 노출을 방지하기 위해 모두 검정 파자마로 갈아입고, 비밀회원은 수건으로 얼굴을 가린 채 커튼이 쳐진 칸막의 좌석에 앉아 대회를 치렀다. 조직보호를 위해 조직 내에서 조차 공식회원과 비밀회원으로 나누어 활동했기 때문이다. 이 점은 해방전선 조직운영의 특징이다. 대회에서 확정된 강령의 골자는 다음과 같다.
① 미제국주의와 그 앞잡이를 타도하고 민족민주연합정부를 수립한다. ② 파쇼악법을 폐기하고 진보적 민주주의를 실현한다. ③ 미제와 그 앞잡이의 경제독점을 일소하고 독립자주경제를 건설한다. ④ 소작료 인하와 국유지 재분배. ⑤ 미제 식민지문화와 교육제도 일소. ⑥ 미군사고문단 등 외국 군대 및 기지 철퇴. ⑦ 평화중립외교. ⑧ 남북관계 정상화와 평화통일 실현. 이 강령은 미제와 그 주구를 제외한 모든 애국세력의 공통이해에 기초한 극히 온건한 내용이다. 계급혁명이나 사회주의적 색채는 어디에도 없다. 이런 강령을 기초로 농민, 노동자를 비롯한 모든 근로자, 지식인, 상공업자에게 미 - 디엠을 타도하기 위한 결정에 민족해방전선의 깃발 아래 하나로 뭉쳐 떨쳐 일어날 것을 국내외에 선언하였다. 강령과 선언을 비롯한 결성대회 소식은 하노이방송을 통해 전국 각지, 전 세계에 즉각 전파되었다. 수십 년에 걸친 항불항일 전쟁 속에서 다져진 베트민, 리엔 비엔 등 민족통일전선의 전통과 경험이 분단에 의해 두 동강난 남부는 이제 남부 인민의 주체적 투쟁에 의해 강력하고 광범한 통일전선조직을 재건발전시키게 된 것이다. 이로써 항미구국투쟁을 승리로 이끌 주체역량이 하나로 결집되었다.
참고문헌
김태재 : 초기 해방전쟁(1815년~1819년)과 독일민족운동, 동의대학교 인문사회연구소, 2004
오태영 : 해방과 기억의 정치학 : 해방기 기억 서사 연구,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0
이기훈 : 민족해방운동과 독립운동, 한국역사연구회, 2005
이승이 : 민족 해방에 대한 열망과 탈식민·탈주체로서의 저항문학, 어문연구학회, 2010
이준식 : 민족해방운동의 유산과 민주화운동, 한국역사연구회, 2010
함택영 : 베트남의 독립, 분단 및 통일 : 농민혁명과 민족해방,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1989
이렇게 치밀하고 장기에 걸친 준비 끝에 민족해방전선 결성대회는 타이닌성의 캄보디아 국경 산기슭에서 예정대로 60년 19~20일 농민, 노동자, 청년, 여성 등 각계각층 대표가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참석자들은 신원 노출을 방지하기 위해 모두 검정 파자마로 갈아입고, 비밀회원은 수건으로 얼굴을 가린 채 커튼이 쳐진 칸막의 좌석에 앉아 대회를 치렀다. 조직보호를 위해 조직 내에서 조차 공식회원과 비밀회원으로 나누어 활동했기 때문이다. 이 점은 해방전선 조직운영의 특징이다. 대회에서 확정된 강령의 골자는 다음과 같다.
① 미제국주의와 그 앞잡이를 타도하고 민족민주연합정부를 수립한다. ② 파쇼악법을 폐기하고 진보적 민주주의를 실현한다. ③ 미제와 그 앞잡이의 경제독점을 일소하고 독립자주경제를 건설한다. ④ 소작료 인하와 국유지 재분배. ⑤ 미제 식민지문화와 교육제도 일소. ⑥ 미군사고문단 등 외국 군대 및 기지 철퇴. ⑦ 평화중립외교. ⑧ 남북관계 정상화와 평화통일 실현. 이 강령은 미제와 그 주구를 제외한 모든 애국세력의 공통이해에 기초한 극히 온건한 내용이다. 계급혁명이나 사회주의적 색채는 어디에도 없다. 이런 강령을 기초로 농민, 노동자를 비롯한 모든 근로자, 지식인, 상공업자에게 미 - 디엠을 타도하기 위한 결정에 민족해방전선의 깃발 아래 하나로 뭉쳐 떨쳐 일어날 것을 국내외에 선언하였다. 강령과 선언을 비롯한 결성대회 소식은 하노이방송을 통해 전국 각지, 전 세계에 즉각 전파되었다. 수십 년에 걸친 항불항일 전쟁 속에서 다져진 베트민, 리엔 비엔 등 민족통일전선의 전통과 경험이 분단에 의해 두 동강난 남부는 이제 남부 인민의 주체적 투쟁에 의해 강력하고 광범한 통일전선조직을 재건발전시키게 된 것이다. 이로써 항미구국투쟁을 승리로 이끌 주체역량이 하나로 결집되었다.
참고문헌
김태재 : 초기 해방전쟁(1815년~1819년)과 독일민족운동, 동의대학교 인문사회연구소, 2004
오태영 : 해방과 기억의 정치학 : 해방기 기억 서사 연구,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0
이기훈 : 민족해방운동과 독립운동, 한국역사연구회, 2005
이승이 : 민족 해방에 대한 열망과 탈식민·탈주체로서의 저항문학, 어문연구학회, 2010
이준식 : 민족해방운동의 유산과 민주화운동, 한국역사연구회, 2010
함택영 : 베트남의 독립, 분단 및 통일 : 농민혁명과 민족해방,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1989
추천자료
- 민족운동과 대중운동 - 학생운동 다시 바라보기
- 1920년대 민족해방운동 [민족 유일당 운동. 신간회 운동]
- 일제하(일제강점기, 식민지시대)의 민족개조론, 인종개선론, 일제하(일제강점기, 식민지시대)...
- 김일성 국방위원장(김일성 주석) 연혁, 지도력, 김일성 국방위원장(김일성 주석) 모택동사상(...
- [한국민족운동사] 1910년대의 노동운동 (노동자 계급의 형성, 노동계급의 상태, 노동조합의 ...
- [한국민족운동사] 1920년대 노동운동 - 1920년대의 노동쟁의, 노동조합의 등장, 노동운동의 ...
- [한국민족운동사] 1930~1945년의 노동운동 - 시대적 상황과 노동자의 환경, 노동운동의 양상,...
- [한국민족운동사] 광주학생 항일운동 - 1920년대 학생운동의 배경(시대상황)과 학생운동의 변...
- [한국민족운동사] 식민지 시대 노동운동(식민지시대상황과 노동운동의 전개 및 활동, 식민지 ...
- [한국민족운동사] 1930년대 노동운동(노동운동의 배경과 조선 노동자들의 노동조건과 생활상...
- [한국민족운동사] 일제하 조선의 노동운동 - 1910년대 노동운동, 일제의 경제정책과 노동자 ...
- [한국민족운동사] 1930~1945년대 농민운동 - 혁명적 농민조합운동의 등장배경과 전개, 성격, ...
- [한국민족운동사] 당재건운동 - 이재유 그룹을 중심으로 (1930년대 초 당재건 운동, 이재유 ...
- [한국민족운동사] 당 재건운동 (당재건운동의 배경, 초기 당재건운동, 이재유 그룹의 당재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