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고전시가 공무도하가 작품분석
Ⅱ. 고전시가 구지가 작품분석
1. 거북과 머리의 상징적 의미
2. <구지가>의 주술성
3. <구지가>에 대한 견해
1) 의식요
2) 노동요
4. <구지가>의 상징적 의미
Ⅲ. 고전시가 정과정 작품분석
Ⅳ. 고전시가 황조가 작품분석
Ⅴ. 고전시가 어부사시사 작품분석
Ⅵ. 고전시가 찬기파랑가 작품분석
참고문헌
Ⅱ. 고전시가 구지가 작품분석
1. 거북과 머리의 상징적 의미
2. <구지가>의 주술성
3. <구지가>에 대한 견해
1) 의식요
2) 노동요
4. <구지가>의 상징적 의미
Ⅲ. 고전시가 정과정 작품분석
Ⅳ. 고전시가 황조가 작품분석
Ⅴ. 고전시가 어부사시사 작품분석
Ⅵ. 고전시가 찬기파랑가 작품분석
참고문헌
본문내용
아오게 될 때 아내를 보낸 상실감은 더욱 그의 現實復歸를 실감나게 悲劇的으로 만든다고 볼 수 있다. 아내와 死別한 남편이 텅 빈 안방에 앉아서 아내의 빈 자리를 더욱 실감하고, 출근길에 늘 아내가 찾아 주던 넥타이를 손수 찾아 매며 아내 잃은 외로움과 서러움을 더욱 곰씹게 하는 격이라고나 할까. 어쨌든 아내의 상실은 그의 日常으로의 복귀에 큰 장애가 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그 장애가 길고 크면 클수록 역설적으로 그의 아내 사랑은 그만큼 크고 강했다는 것을 입증하게 될 것이다. 강 은교 시인의 표현을 빌자면 “사랑이 크면 외로움도 크”게 마련인 것이다.
Ⅴ. 고전시가 어부사시사 작품분석
윤선도(尹善道, 1587~1671) : 조선 중기의 문신시조 작가, 자는 約而, 호는 孤山 또는 海翁. 효종의 스승. 우리 시가 사상 단가의 제1인자로, 정철, 박인로와 함께 조선시대 삼대 歌人으로 불리는 그는 자연을 제재로 한 시조 작가 가운데 가장 탁월한 역량을 보인 것으로 평가되는데, 이는 그의 개성적인 자연관에서 기인한 것이다. 문집으로 《고산선생유고》가 있고, 친필로 된 가첩으로 <산중신곡>, <금쇄동집고>가 전한다. 작품으로는 <산중신곡>, <산중속신속>, < 어부사시사>, <견회요>, <우후요> 등이 있다.
이 작품은 1651년에 윤선도가 자신이 은거하던 보길도를 배경(부용동에서 은거할 때 지음)으로 읊은 40수의 연시조이다. 이 작품의 구조는 상당히 정제되어 있다. 우선 춘하추동의 각 계절에 따라 10수씩을 배정하고 계절의 변화에 따른 경물의 변화 내지 어부의 생활을 차례대로 형상화한다. 또 각 작품마다 삽입되어 있는 여음은 출범에서 귀선까지의 과정을 질서 있게 보여준다. 그리고 이 노래에서 冬詞의 마지막 수, 즉 총 40수 중 가장 마지막 수는 단순히 동사의 끝이 아니라 노래 전체에서 반복되어 온 흥취를 강렬하고 도도하게 집약해 줌으로써 가사의 결사와 같은 구실을 하고 있다.
이 작품은 고려후기의 <어부가>와 이현보의 <어부가>를 이어 창작한 작품이다. 그러나 자연의 묘사나 어부의 일상을 표현하는 데서 차이가 있다. 이현보의 <어부가>의 세계가 달빛이 희게 내리비치는 산수, 즉 채색이라고는 전혀 없거나 극히 억제된 엄격성을 지닌 강호였으며, 어부의 생활도 근경이 아닌 원경에서 피상적으로 묘사되곤 하던 것에 비해, 윤선도의 <어부사시사>는 자연의 묘사나 인물의 행위를 매우 구체적이고 생생하게 표현하며, 어부의 일상도 추상적이지 않고 구체적이고도 생생하게 그려져 실감을 준다는 데에 차이가 있다. 그래서 이 작품을 <어부가>계열의 정수이며, 강호가도 문학의 결정판이라고 평가한다.
이 작품이 기존의 <어부가>와는 달리 자연과 인물의 행위 묘사를 훨씬 생동감 있고 실감나게 한다는 것은, 달리 시적 주인공의 내면에서 우러나는 태도의 변화와도 직결된다. 이현보의 <어부가>에서의 시적 주인공은 강호에 속해 있으면서도 정치 현실을 완전히 망각하고 안주할 수는 없었기에, 그 안에서 아무 거리낌이나 그늘 없이 도취되는 풍성함에까지 이를 수는 없었다. 그러나 <어부사시사>의 시적 주인공은 강호에서 누리는 나날의 넉넉함과 아름다움에 관심을 집중시키며 여기서 고양된 기쁨과 충족감이 곧잘 \'흥(興)\'으로 표현되고 있다. 이는 역사상 강호 시가의 시대적 변모라는 커다란 흐름과 관련된다. 이현보의 <어부가>가 지어진 16세기와 <어부사시사>의 배경인 17세기 강호 시가의 동향과 시인들의 정치적 세계관과 관련이 있다.
名利와 부귀를 탐하는 세속적 삶으로부터의 隔絶(격절)을 추구한다는 기본 주제는 고려말의 <어부가>와 <농암 어부가> 및 윤선도의 <어부사시사>에 공통적인 것이다. 그리고 세계 인식이 \'혼탁한 정치 현실\'과 \'청정한 강호\'라는 대립적 공간 구도를 동반하게 된 점도 같다. 이현보의 <어부가>는 이러한 대립적 구도 앞에서 느끼는 \'시름\'과 그로부터 초탈하여 \'무심\'에로 나아가고자 하는 의지 사이의 모순 내지 긴장 관계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리고 극히 억제된 수묵화의 세계를 보여준다. 그러나 <어부사시사>에서는 \'시름\'이 없다. 그 대신 강호에서 누리는 나날의 넉넉함과 아름다움에 집중되며, 바로 여기에 고양된 기쁨과 충족감이 興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것은 이 시조의 맨 마지막 시인 \"어와 져므러 간다 宴息(연식)이 맏당토다 / 눈 쁘린 길 블근 곳 흣터딘 흥치며 거러가셔 / 雪月이 西峰의 넘도록 松窓을 비겨 잇쟈\"에 집중된다. 하루가 저물어 가는 무렵 그의 눈앞에 펼쳐진 이 강렬한 색채의 구도에서 작중 인물의 고양된 흥취가 선명하게 시각화된다. 더욱이 6음보의 빠른 음보도 한 몫을 한다. 이 부분의 색채 이미지는 길을 덮는 눈의 흰빛은 세속을 초월한 무심의 경지에, 그 위에 흩뿌려진 붉은 꽃잎들은 시인 혼자만의 드높은 흥취에 조응된다.
<농암어부가>는 세속으로부터의 초월, 강호에서의 평정과 自樂이지만 그 내면에는 수기치인의 완성이라는 유가적 이상의 한 부분을 포기 또는 유보할 수밖에 없는 데 대한 탄식이 지워지지 않는 심적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그리고 이 때문에 <농암 어부가>의 어부는 마음을 다 터놓고 강호의 즐거움에 몰입하지 못한 채 근심의 빛깔이 서린 자기 억제의 풍모를 간직했던 것이다.
<어부사시사>의 드높은 흥은 바로 이 정치적 이상주의의 牽引力이 약화되는 한편, 강호 자연의 아름다움과 그 안에서의 高雅한 즐거움의 향유라는 측면이 강화, 확대된 결과라고 이해한다. 다시 말해서, \'혼탁한 정치 현실 - 청정한 강호\'라는 양분법적 의식을 공유하면서도 윤선도의 경우는 강호 저편의 세계에 대한 근원적 책무라는 것보다는 자신이 몸담고 있는 강호에서의 미적 감흥과 기쁨의 직접성이 더 강하게 작용했던 것이다.
Ⅵ. 고전시가 찬기파랑가 작품분석
讚耆婆郞歌(찬기파랑가) - 충담
咽嗚爾處米
露曉邪隱月羅理
白雲音逐于浮去隱安 下
沙是八陵隱汀理也中
耆郞矣 史是史藪邪
逸烏川理叱 惡希
郞也持以 如賜烏隱
心未際叱 逐內良齊
阿耶栢史叱枝次高支好
雪是毛冬乃乎尸花判也
열치매
나토얀 리
흰구룸 조추 가 안디하
새파 나리여
耆郞의 즈 이슈라
일로 나릿
郎 디니다샤온
좇우아져
아으 잣ㅅ가지 노파
서리
Ⅴ. 고전시가 어부사시사 작품분석
윤선도(尹善道, 1587~1671) : 조선 중기의 문신시조 작가, 자는 約而, 호는 孤山 또는 海翁. 효종의 스승. 우리 시가 사상 단가의 제1인자로, 정철, 박인로와 함께 조선시대 삼대 歌人으로 불리는 그는 자연을 제재로 한 시조 작가 가운데 가장 탁월한 역량을 보인 것으로 평가되는데, 이는 그의 개성적인 자연관에서 기인한 것이다. 문집으로 《고산선생유고》가 있고, 친필로 된 가첩으로 <산중신곡>, <금쇄동집고>가 전한다. 작품으로는 <산중신곡>, <산중속신속>, < 어부사시사>, <견회요>, <우후요> 등이 있다.
이 작품은 1651년에 윤선도가 자신이 은거하던 보길도를 배경(부용동에서 은거할 때 지음)으로 읊은 40수의 연시조이다. 이 작품의 구조는 상당히 정제되어 있다. 우선 춘하추동의 각 계절에 따라 10수씩을 배정하고 계절의 변화에 따른 경물의 변화 내지 어부의 생활을 차례대로 형상화한다. 또 각 작품마다 삽입되어 있는 여음은 출범에서 귀선까지의 과정을 질서 있게 보여준다. 그리고 이 노래에서 冬詞의 마지막 수, 즉 총 40수 중 가장 마지막 수는 단순히 동사의 끝이 아니라 노래 전체에서 반복되어 온 흥취를 강렬하고 도도하게 집약해 줌으로써 가사의 결사와 같은 구실을 하고 있다.
이 작품은 고려후기의 <어부가>와 이현보의 <어부가>를 이어 창작한 작품이다. 그러나 자연의 묘사나 어부의 일상을 표현하는 데서 차이가 있다. 이현보의 <어부가>의 세계가 달빛이 희게 내리비치는 산수, 즉 채색이라고는 전혀 없거나 극히 억제된 엄격성을 지닌 강호였으며, 어부의 생활도 근경이 아닌 원경에서 피상적으로 묘사되곤 하던 것에 비해, 윤선도의 <어부사시사>는 자연의 묘사나 인물의 행위를 매우 구체적이고 생생하게 표현하며, 어부의 일상도 추상적이지 않고 구체적이고도 생생하게 그려져 실감을 준다는 데에 차이가 있다. 그래서 이 작품을 <어부가>계열의 정수이며, 강호가도 문학의 결정판이라고 평가한다.
이 작품이 기존의 <어부가>와는 달리 자연과 인물의 행위 묘사를 훨씬 생동감 있고 실감나게 한다는 것은, 달리 시적 주인공의 내면에서 우러나는 태도의 변화와도 직결된다. 이현보의 <어부가>에서의 시적 주인공은 강호에 속해 있으면서도 정치 현실을 완전히 망각하고 안주할 수는 없었기에, 그 안에서 아무 거리낌이나 그늘 없이 도취되는 풍성함에까지 이를 수는 없었다. 그러나 <어부사시사>의 시적 주인공은 강호에서 누리는 나날의 넉넉함과 아름다움에 관심을 집중시키며 여기서 고양된 기쁨과 충족감이 곧잘 \'흥(興)\'으로 표현되고 있다. 이는 역사상 강호 시가의 시대적 변모라는 커다란 흐름과 관련된다. 이현보의 <어부가>가 지어진 16세기와 <어부사시사>의 배경인 17세기 강호 시가의 동향과 시인들의 정치적 세계관과 관련이 있다.
名利와 부귀를 탐하는 세속적 삶으로부터의 隔絶(격절)을 추구한다는 기본 주제는 고려말의 <어부가>와 <농암 어부가> 및 윤선도의 <어부사시사>에 공통적인 것이다. 그리고 세계 인식이 \'혼탁한 정치 현실\'과 \'청정한 강호\'라는 대립적 공간 구도를 동반하게 된 점도 같다. 이현보의 <어부가>는 이러한 대립적 구도 앞에서 느끼는 \'시름\'과 그로부터 초탈하여 \'무심\'에로 나아가고자 하는 의지 사이의 모순 내지 긴장 관계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리고 극히 억제된 수묵화의 세계를 보여준다. 그러나 <어부사시사>에서는 \'시름\'이 없다. 그 대신 강호에서 누리는 나날의 넉넉함과 아름다움에 집중되며, 바로 여기에 고양된 기쁨과 충족감이 興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것은 이 시조의 맨 마지막 시인 \"어와 져므러 간다 宴息(연식)이 맏당토다 / 눈 쁘린 길 블근 곳 흣터딘 흥치며 거러가셔 / 雪月이 西峰의 넘도록 松窓을 비겨 잇쟈\"에 집중된다. 하루가 저물어 가는 무렵 그의 눈앞에 펼쳐진 이 강렬한 색채의 구도에서 작중 인물의 고양된 흥취가 선명하게 시각화된다. 더욱이 6음보의 빠른 음보도 한 몫을 한다. 이 부분의 색채 이미지는 길을 덮는 눈의 흰빛은 세속을 초월한 무심의 경지에, 그 위에 흩뿌려진 붉은 꽃잎들은 시인 혼자만의 드높은 흥취에 조응된다.
<농암어부가>는 세속으로부터의 초월, 강호에서의 평정과 自樂이지만 그 내면에는 수기치인의 완성이라는 유가적 이상의 한 부분을 포기 또는 유보할 수밖에 없는 데 대한 탄식이 지워지지 않는 심적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그리고 이 때문에 <농암 어부가>의 어부는 마음을 다 터놓고 강호의 즐거움에 몰입하지 못한 채 근심의 빛깔이 서린 자기 억제의 풍모를 간직했던 것이다.
<어부사시사>의 드높은 흥은 바로 이 정치적 이상주의의 牽引力이 약화되는 한편, 강호 자연의 아름다움과 그 안에서의 高雅한 즐거움의 향유라는 측면이 강화, 확대된 결과라고 이해한다. 다시 말해서, \'혼탁한 정치 현실 - 청정한 강호\'라는 양분법적 의식을 공유하면서도 윤선도의 경우는 강호 저편의 세계에 대한 근원적 책무라는 것보다는 자신이 몸담고 있는 강호에서의 미적 감흥과 기쁨의 직접성이 더 강하게 작용했던 것이다.
Ⅵ. 고전시가 찬기파랑가 작품분석
讚耆婆郞歌(찬기파랑가) - 충담
咽嗚爾處米
露曉邪隱月羅理
白雲音逐于浮去隱安 下
沙是八陵隱汀理也中
耆郞矣 史是史藪邪
逸烏川理叱 惡希
郞也持以 如賜烏隱
心未際叱 逐內良齊
阿耶栢史叱枝次高支好
雪是毛冬乃乎尸花判也
열치매
나토얀 리
흰구룸 조추 가 안디하
새파 나리여
耆郞의 즈 이슈라
일로 나릿
郎 디니다샤온
좇우아져
아으 잣ㅅ가지 노파
서리
키워드
추천자료
[고전시가][시가][설화][고대가요][향가][교려가요][고려속요][경기체가]고전시가 심층 분석(...
고전시가와 현대가요에서의 구름과 바람
[고전시가와 시가문학][고전시가와 형식][고전시가와 설화][고전시가][시가문학][형식][설화]...
[고전시가론] <향가관련 논문 1편 읽고 내용요약> 박강희,「고전시가에 나타난 ‘설득’의 전개...
[세기전환기][고전시가][고전희곡][문학][구비문학][문학비평][한시]세기전환기의 고전시가, ...
[고전시가][고전시가문학][고전시가(고전시가문학) 구성][고전시가 발생]고전시가(고전시가문...
[고전시가][작품분석][공무도하가]고전시가 구지가 작품분석, 고전시가 공무도하가 작품분석,...
[고전시가][고전시가문학][설화]고전시가(고전시가문학)의 개념, 고전시가(고전시가문학)의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