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수영 영법 사례 배영
1. 발차기
2. 팔동작
1) 입수
2) 캣취(물을 잡는 것)
3) 풀(full)
4) 푸쉬(Push)
5) 리카바리(손돌리기)
Ⅱ. 수영 영법 사례 평영
1. 특징
2. 방법
Ⅲ. 수영 영법 사례 접영
1. 역학적 원리
2. 해부학적 원리
Ⅳ. 수영 영법 사례 자유형(크롤영법)
1. 발차기
2. 팔동작
3. 호흡
4. 연결동작
Ⅴ. 수영 영법 사례 횡영
Ⅵ. 수영 영법 사례 트러전영법
참고문헌
1. 발차기
2. 팔동작
1) 입수
2) 캣취(물을 잡는 것)
3) 풀(full)
4) 푸쉬(Push)
5) 리카바리(손돌리기)
Ⅱ. 수영 영법 사례 평영
1. 특징
2. 방법
Ⅲ. 수영 영법 사례 접영
1. 역학적 원리
2. 해부학적 원리
Ⅳ. 수영 영법 사례 자유형(크롤영법)
1. 발차기
2. 팔동작
3. 호흡
4. 연결동작
Ⅴ. 수영 영법 사례 횡영
Ⅵ. 수영 영법 사례 트러전영법
참고문헌
본문내용
위에 있는 시간은 1에 해당하며, 다른 쪽 팔로 물을 긁는 동작이 끝나기 전에 다른 쪽 팔은 이미 앞쪽의 물속에 들어가 있는 셈이 된다.
호흡은 머리가 물속에 있을 때 숨을 내쉬고, 양팔 중 어느 하나가 물을 긁고 났을 때 얼굴을 재빨리 그 쪽으로 들어 입으로 숨을 들이쉰다. 양팔로 한 번 물을 긁는 사이에 발은 좌우 각 3회, 모두 6회 물을 상하로 때린다. 즉, \'표준적인 6타 크롤\'이다. 그러나 4타크롤을 치는 선수도 적지 않다.
1. 발차기
보통 물장구치기라고 부르는 다리동작은 자세를 안정시키고 추진력의 일부를 만들어내는 역할을 한다. 허벅다리에서 시작되어 무릎, 종아리, 발목, 그리고 발로 이어지는 다리동작은 처음에 바를게 연습하지 않으면 후에 교정하기 어렵다. 특히 무릎의 굽혀지지는 정도는 추진력은 내는 호흡에 많은 영향을 주므로 주의해서 연습한다.
분석 동작의 설명
1) 물을 아래로 차 내리는 동작을 끝낸 왼쪽 다리는 대략 수면과 평행하게 곧게 펴서 올라가 있다.
2) 왼쪽 무릎이 아래로 내려감과 동시에 무릎이 굽혀져서 발끝은 위로 올라가기 시작한다. 이때 오른쪽 다리는 아래로 차 내려 간다.
3) 왼쪽 무릎이 한층 아래로 내려가서 깊이 무릎이 굽혀지고 발끝이 대략 허벅다리 높이, 즉 수면 바로 아래에서 약간 앞으로 이동한다.
4) 왼쪽허리가 약간 밑으로 기우러져 내려감으로써, 무릎의 취치는 한 층 밑으로 내려가지만 무릎의 굽힘 각도는 오히려 작아져서 다리가 차츰 펴지기 시작한다. 이때 오른쪽 다리는 위로 올라가고 있다.
5) 왼쪽 허리와 무릎이 약간 올라가간 발끝은 계속 아래로 내려간다.
6) 아래로 차 내린 마지막동작으로서 왼쪽 허리와 무릎이 어느 정도 앞의 동작보다 위로 올라가나 발끝은 한층 아래로 내려가서 허리에서 발끝까지 일직선으로 곧게 펴진다. 이때 오른쪽 다리는 이래로 내려오기 시작한다.
2. 팔동작
자유형에 있어 추진력의 대부분을 만들어내는 팔 동작의 연습은 매우 중요하다. 좌, 우 팔을 번갈아 동작하게 되며, 넣기, 누르기, 잡기, 당기기, 밀기, 빼기. 되돌리기 과정에 따라 수행된다.
분석 동작의 설명
크로올에 있어 추진력은 거의 팔 동작과 발차기 동작에 의해서 얻어 진다. 한 팔을 대상으로 하여 설명하면 팔꿈치를 약간 구부리고 손목은 약간 밑으로 굽히며 손가락은 서로 닿을 듯 말 듯 하게 모아서 어깨의 앞쪽에서 손가락 끝부터 물에 넣는다. 이때 물에 들이는 위치는 머리의 옆선과 일직선상에 놓이게 된다.
물에 넣은 팔은 손바닥과 팔 전체로 물을 밑으로 누르게 팔꿈치를 약간 굽혀 물을 차례로 뒤쪽을 향하여 끌어 당겨 밀어내면서 몸체의 중심선에 평행하게 어깨 밑과 가슴 앞을 똑바로 지나 허벅다리 근처까지 단숨에 옮긴다.
이와 같이 수중에서의 동작을 끝마딘 팔은 힘을 빼고 수면 위로 들어올린 후 손끝이 수면 가까이 통과하도록 해서 앞으로 옮긴다. 다시 어깨의 앞쪽 옆머리의 연장선상으로 이동하여 물에 넣는다.
양팔의 관계는 한 필이 물속에 있는 동안 다른 쪽은 물위에서 앞으로 이동하여 서로 번갈아 가며 물로 들어가서 추진력을 낸다.
3. 호흡
옆으로 얼굴을 들어 호흡하며, 그 시기는 얼굴을 드는 쪽의 팔이 물위에 나온 직후부터 물에 들어가기 직전까지 이다. 머리를 드는 동작이 잘못되면 몸의 균형을 무너뜨리게 되므로 주의한다.
1) 얼굴을 옆으로 졸리는 회전범위를 최소한도를 줄여서 최소한도로 줄여서 지나치게 돌리지 않도록 한다.
2) 숨을 들이 마실 때에는 크게 입을 벌려 짧은 순간에 순간적으로 들이마시도록 한다. 심호흡을 할 때 와 같이 천천히 숨을 들이마시면 물을 먹게 된다.
3) 숨들이 마시기를 끝내면 될 수 있는 대로 빨리 고개를 되돌려서 얼굴이 완전히 수면 밑을 향할 때까지 제자리로 돌린다. 흔히 얼굴을 드는 동작은 정확하여도, 제자리로 돌릴 때 에 얼굴이 완전히 밑을 향하도록 되돌리지 않는 사람이 많다. 이와 같은 동작은 별로 대수롭지 않게 생각할 수 있으나, 고개를 돌리는 동작에 따라서 일어나는 몸의 회전이 한 쪽으로 이동할 때의 기울어짐으로써 물의 저항을 크게 하고, 더욱이 호흡하는 반대쪽 팔이 앞쪽으로 이동할 때의 자세를 불편하게 만들어 수영이 균형을 잃게 된다.
4) 얼굴을 물속에서 잠그고 숨을 내뱉을 때에는 단번에 힘을 주어 공기를 내보내지 않도록 한다. 수면 위에서 숨을 들이마시고 입을 수중에 잠근 바로 다음부터 계속적으로 숨 내쉬기가 시작되는데 공기가 입과 코로 조금씩 계속하여 나온다.
만약 이때 힘을 주어 공기를 단번에 다 불어 내쉬면 다음에 머리를 돌려 공기를 들이마시기 전에 체내의 공기를 모두 소모해 버리는 결과를 초래한다.
또한 너무 숨을 깊이 들이마시면 허파로 들어가는 산소의 양은 별로 증가시키지 못하면서 단지 호흡 근육만을 피로하게 만든다. 그렇지만 너무 얕은 호흡은 허파 혈관 내의 이산화탄소와 산소의 적절한 교환을 어렵게 한다.
5) 호흡할 때 팔이나 다리의 동작이 한 순간이라도 정지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초보자에게서 흔히 나타는 결점으로, 호흡 때문에 팔과 다리동작의 리듬이 깨지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때에는 호흡 횟수를 줄여서 결점을 교정한 다음 정상적인 호흡 횟수를 유지하도록 한다.
4. 연결동작
좌, 우 파로 한 번 젓는 동안에 다리를 여섯 번 발차기하는 영법이 표준이다. 그러나 사람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다 발차기 6번하는 동안 호흡은 한 번 들이마시고 내쉰다.
좌우 양 팔로 물을 한 번씩 하는 1주기 동안에 다리는 6회 발차기를 하며, 호흡은 한 번에 들이 마시고 내쉰다. 이와 같이 표준 자유형 영법을 분석하여 팔, 다리, 호흡, 관계를 대략적으로 연습해보고, 연결동작을 연속적으로 나타내보면 다음과 같다.
1) 오른손이 어깨의 연장선 앞에서 손바닥을 밑으로 하여 물에 넣을 때, 왼팔은 당기기의 절반정도를 끝내고 있다. 공기가 입과 코로부터 계속적으로 내보내는 리듬감 있는 호흡 방법을 취하고 있다.
2) 되돌리기 동작 중에서 증가된 밑으로의 하향 운동량은 물을 잡기 위하여 오른손을 아래로 누르는데 작용한다. 왼팔은 손바닥을 위호 향한 채 물을 뒤쪽으로 밀어 보낸다.
3) 왼팔이 몸의 중심선을
호흡은 머리가 물속에 있을 때 숨을 내쉬고, 양팔 중 어느 하나가 물을 긁고 났을 때 얼굴을 재빨리 그 쪽으로 들어 입으로 숨을 들이쉰다. 양팔로 한 번 물을 긁는 사이에 발은 좌우 각 3회, 모두 6회 물을 상하로 때린다. 즉, \'표준적인 6타 크롤\'이다. 그러나 4타크롤을 치는 선수도 적지 않다.
1. 발차기
보통 물장구치기라고 부르는 다리동작은 자세를 안정시키고 추진력의 일부를 만들어내는 역할을 한다. 허벅다리에서 시작되어 무릎, 종아리, 발목, 그리고 발로 이어지는 다리동작은 처음에 바를게 연습하지 않으면 후에 교정하기 어렵다. 특히 무릎의 굽혀지지는 정도는 추진력은 내는 호흡에 많은 영향을 주므로 주의해서 연습한다.
분석 동작의 설명
1) 물을 아래로 차 내리는 동작을 끝낸 왼쪽 다리는 대략 수면과 평행하게 곧게 펴서 올라가 있다.
2) 왼쪽 무릎이 아래로 내려감과 동시에 무릎이 굽혀져서 발끝은 위로 올라가기 시작한다. 이때 오른쪽 다리는 아래로 차 내려 간다.
3) 왼쪽 무릎이 한층 아래로 내려가서 깊이 무릎이 굽혀지고 발끝이 대략 허벅다리 높이, 즉 수면 바로 아래에서 약간 앞으로 이동한다.
4) 왼쪽허리가 약간 밑으로 기우러져 내려감으로써, 무릎의 취치는 한 층 밑으로 내려가지만 무릎의 굽힘 각도는 오히려 작아져서 다리가 차츰 펴지기 시작한다. 이때 오른쪽 다리는 위로 올라가고 있다.
5) 왼쪽 허리와 무릎이 약간 올라가간 발끝은 계속 아래로 내려간다.
6) 아래로 차 내린 마지막동작으로서 왼쪽 허리와 무릎이 어느 정도 앞의 동작보다 위로 올라가나 발끝은 한층 아래로 내려가서 허리에서 발끝까지 일직선으로 곧게 펴진다. 이때 오른쪽 다리는 이래로 내려오기 시작한다.
2. 팔동작
자유형에 있어 추진력의 대부분을 만들어내는 팔 동작의 연습은 매우 중요하다. 좌, 우 팔을 번갈아 동작하게 되며, 넣기, 누르기, 잡기, 당기기, 밀기, 빼기. 되돌리기 과정에 따라 수행된다.
분석 동작의 설명
크로올에 있어 추진력은 거의 팔 동작과 발차기 동작에 의해서 얻어 진다. 한 팔을 대상으로 하여 설명하면 팔꿈치를 약간 구부리고 손목은 약간 밑으로 굽히며 손가락은 서로 닿을 듯 말 듯 하게 모아서 어깨의 앞쪽에서 손가락 끝부터 물에 넣는다. 이때 물에 들이는 위치는 머리의 옆선과 일직선상에 놓이게 된다.
물에 넣은 팔은 손바닥과 팔 전체로 물을 밑으로 누르게 팔꿈치를 약간 굽혀 물을 차례로 뒤쪽을 향하여 끌어 당겨 밀어내면서 몸체의 중심선에 평행하게 어깨 밑과 가슴 앞을 똑바로 지나 허벅다리 근처까지 단숨에 옮긴다.
이와 같이 수중에서의 동작을 끝마딘 팔은 힘을 빼고 수면 위로 들어올린 후 손끝이 수면 가까이 통과하도록 해서 앞으로 옮긴다. 다시 어깨의 앞쪽 옆머리의 연장선상으로 이동하여 물에 넣는다.
양팔의 관계는 한 필이 물속에 있는 동안 다른 쪽은 물위에서 앞으로 이동하여 서로 번갈아 가며 물로 들어가서 추진력을 낸다.
3. 호흡
옆으로 얼굴을 들어 호흡하며, 그 시기는 얼굴을 드는 쪽의 팔이 물위에 나온 직후부터 물에 들어가기 직전까지 이다. 머리를 드는 동작이 잘못되면 몸의 균형을 무너뜨리게 되므로 주의한다.
1) 얼굴을 옆으로 졸리는 회전범위를 최소한도를 줄여서 최소한도로 줄여서 지나치게 돌리지 않도록 한다.
2) 숨을 들이 마실 때에는 크게 입을 벌려 짧은 순간에 순간적으로 들이마시도록 한다. 심호흡을 할 때 와 같이 천천히 숨을 들이마시면 물을 먹게 된다.
3) 숨들이 마시기를 끝내면 될 수 있는 대로 빨리 고개를 되돌려서 얼굴이 완전히 수면 밑을 향할 때까지 제자리로 돌린다. 흔히 얼굴을 드는 동작은 정확하여도, 제자리로 돌릴 때 에 얼굴이 완전히 밑을 향하도록 되돌리지 않는 사람이 많다. 이와 같은 동작은 별로 대수롭지 않게 생각할 수 있으나, 고개를 돌리는 동작에 따라서 일어나는 몸의 회전이 한 쪽으로 이동할 때의 기울어짐으로써 물의 저항을 크게 하고, 더욱이 호흡하는 반대쪽 팔이 앞쪽으로 이동할 때의 자세를 불편하게 만들어 수영이 균형을 잃게 된다.
4) 얼굴을 물속에서 잠그고 숨을 내뱉을 때에는 단번에 힘을 주어 공기를 내보내지 않도록 한다. 수면 위에서 숨을 들이마시고 입을 수중에 잠근 바로 다음부터 계속적으로 숨 내쉬기가 시작되는데 공기가 입과 코로 조금씩 계속하여 나온다.
만약 이때 힘을 주어 공기를 단번에 다 불어 내쉬면 다음에 머리를 돌려 공기를 들이마시기 전에 체내의 공기를 모두 소모해 버리는 결과를 초래한다.
또한 너무 숨을 깊이 들이마시면 허파로 들어가는 산소의 양은 별로 증가시키지 못하면서 단지 호흡 근육만을 피로하게 만든다. 그렇지만 너무 얕은 호흡은 허파 혈관 내의 이산화탄소와 산소의 적절한 교환을 어렵게 한다.
5) 호흡할 때 팔이나 다리의 동작이 한 순간이라도 정지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초보자에게서 흔히 나타는 결점으로, 호흡 때문에 팔과 다리동작의 리듬이 깨지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때에는 호흡 횟수를 줄여서 결점을 교정한 다음 정상적인 호흡 횟수를 유지하도록 한다.
4. 연결동작
좌, 우 파로 한 번 젓는 동안에 다리를 여섯 번 발차기하는 영법이 표준이다. 그러나 사람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다 발차기 6번하는 동안 호흡은 한 번 들이마시고 내쉰다.
좌우 양 팔로 물을 한 번씩 하는 1주기 동안에 다리는 6회 발차기를 하며, 호흡은 한 번에 들이 마시고 내쉰다. 이와 같이 표준 자유형 영법을 분석하여 팔, 다리, 호흡, 관계를 대략적으로 연습해보고, 연결동작을 연속적으로 나타내보면 다음과 같다.
1) 오른손이 어깨의 연장선 앞에서 손바닥을 밑으로 하여 물에 넣을 때, 왼팔은 당기기의 절반정도를 끝내고 있다. 공기가 입과 코로부터 계속적으로 내보내는 리듬감 있는 호흡 방법을 취하고 있다.
2) 되돌리기 동작 중에서 증가된 밑으로의 하향 운동량은 물을 잡기 위하여 오른손을 아래로 누르는데 작용한다. 왼팔은 손바닥을 위호 향한 채 물을 뒤쪽으로 밀어 보낸다.
3) 왼팔이 몸의 중심선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