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게이트키퍼의 요인
Ⅲ. 게이트키퍼의 역할
1. 참조 연결자(referal / connector)
1) 초기 정보접촉의 원천
2) 정보평가의 접촉원천
3) 아이디어 지원을 위한 접촉원천
2. 정보원(information source)
1) 직접적인 정보원
2) 문자(인쇄)정보원에로의 안내
3) 정보탐색의 종결자(terminator)
4) 정보의 배포자
3. 아이디어 판매자(idea salesman)
1) 아이디어 판매자
2) 아이디어 기업가
4. 아이디어 촉진자(idea facilitator)
1) 아이디어의 원천
2) 아이디어 평가자
5. 아이디어 지원자(idea supporter)
Ⅳ. 게이트키퍼의 효과
Ⅴ. 게이트키퍼와 슈메이커
Ⅵ. 게이트키퍼와 인터넷뉴스
참고문헌
Ⅱ. 게이트키퍼의 요인
Ⅲ. 게이트키퍼의 역할
1. 참조 연결자(referal / connector)
1) 초기 정보접촉의 원천
2) 정보평가의 접촉원천
3) 아이디어 지원을 위한 접촉원천
2. 정보원(information source)
1) 직접적인 정보원
2) 문자(인쇄)정보원에로의 안내
3) 정보탐색의 종결자(terminator)
4) 정보의 배포자
3. 아이디어 판매자(idea salesman)
1) 아이디어 판매자
2) 아이디어 기업가
4. 아이디어 촉진자(idea facilitator)
1) 아이디어의 원천
2) 아이디어 평가자
5. 아이디어 지원자(idea supporter)
Ⅳ. 게이트키퍼의 효과
Ⅴ. 게이트키퍼와 슈메이커
Ⅵ. 게이트키퍼와 인터넷뉴스
참고문헌
본문내용
게이트키퍼의 요인, 게이트키퍼의 역할, 게이트키퍼의 효과, 게이트키퍼와 슈메이커, 게이트키퍼와 인터넷뉴스 분석
Ⅰ. 개요
Ⅱ. 게이트키퍼의 요인
Ⅲ. 게이트키퍼의 역할
1. 참조 연결자(referal / connector)
1) 초기 정보접촉의 원천
2) 정보평가의 접촉원천
3) 아이디어 지원을 위한 접촉원천
2. 정보원(information source)
1) 직접적인 정보원
2) 문자(인쇄)정보원에로의 안내
3) 정보탐색의 종결자(terminator)
4) 정보의 배포자
3. 아이디어 판매자(idea salesman)
1) 아이디어 판매자
2) 아이디어 기업가
4. 아이디어 촉진자(idea facilitator)
1) 아이디어의 원천
2) 아이디어 평가자
5. 아이디어 지원자(idea supporter)
Ⅳ. 게이트키퍼의 효과
Ⅴ. 게이트키퍼와 슈메이커
Ⅵ. 게이트키퍼와 인터넷뉴스
참고문헌
Ⅰ. 개요
자연과학자들은 보편적인 이론개발에 주력하기에 공학자들 보다 조직외부와의 정보공유(학회, 세미나) 및 교환이 자유로운 편이며 또한 더 활성화되어 있다. 이는 앞서 외부와의 많은 비공식 커뮤니케이션망(network)이 형성된 예를 통해서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자연과학자라 할지라도 새로운 연구문제와 관련하여 조직 내에서 공동 연구실험팀이 구성이 되고, 거기서 연구팀의 일원으로 배치되면 기획된 연구문제에만 집중하게 된다. 즉, 구성원들과 정보를 중점적으로 공유하되, 외부와 중요정보 교류는 차단된다. 여기서 실질적인 기획과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책임 연구원급을 중심으로 조직내부에서만 정보가 발생교류되고, 이 연구에서 어느 정도의 정보가치를 활용하고 나서, 결과물이 공식 커뮤니케이션(저널에 기재)을 통해 유통하게 되면, 다시금 조직외부의 동료 과학자들과 그 정보를 공유하게 된다. 이런 현상은 연구를 특허, 상품화해야 하는 공학자들 사이에서 더욱 극명하게 나타나는 현상으로, 진행중인 연구와 관련하여 외부와의 비공식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는 것을 스파이 행위로 간주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자연과학자들 사이에서도 이론과 관련된 아이디어 경쟁도 이에 못지않게 치열하다고 볼 수 있다. 팀의 일원으로 부속연구를 수행해야 한다는 것, 외부와의 정보교류가 차단된다는 것 때문에 나름대로 가능한 외부와의 정보입수방법을 개발하지 않을 수 없었으며, 이로써 출현하게 된 것이 정보 게이트키퍼이다. 조직(연구팀)내의 일반연구원들의 정보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정보유입의 통로역할을 하는 인물이 필연적이기 때문이다.
이런 역할을 수행하는 이들을 정보 게이트키퍼라는 명칭이외에도 핵심 커뮤니케이터(key communicator), 전문커뮤니케이터(special communicator), 커뮤니케이션 스타(communication star), 내부 자문역(internal consultant) 등 여러 명칭으로 불리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정보 게이트키퍼를 매개로 한 간접 정보유통현상은 신문방송학(매스커뮤니메이션)에서는 2단계 정보유통 및 다단계 정보유통으로 이미 알려져 왔다. 사회과학분야에서 특히 매스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 정보 게이트키퍼와 비슷한 개념으로 사용되는 인물의 특성을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정보 gatekeeper와 유사한 사회과학분야에서의 용어들>
소스 (source)
매스 커뮤니케이션
혁신의 전파(diffusion of innovation)
설득 및 태도변화의 심리학
명 칭
opinion leader,
influential
innovator
early adaptor
persuasive
source
기 능
외부정보의
수신 및 전달
그룹에게 innovation전파, 태도변화, innovation에 관 한 외부정보원
태도변화에 영향
그룹의 역할
커뮤니케이션 네트웍크에 핵심인물
다른 그룹 맴버들의 모범
그룹맴버의 모범
언론주도자
innovation의 초기 사용자
여론주도자
개인적 특성
사교적,접근용이, 사회적 활동 왕성
유능, 많은경험, 사람들에게 널리 인식, 알려짐
평균보다
Ⅰ. 개요
Ⅱ. 게이트키퍼의 요인
Ⅲ. 게이트키퍼의 역할
1. 참조 연결자(referal / connector)
1) 초기 정보접촉의 원천
2) 정보평가의 접촉원천
3) 아이디어 지원을 위한 접촉원천
2. 정보원(information source)
1) 직접적인 정보원
2) 문자(인쇄)정보원에로의 안내
3) 정보탐색의 종결자(terminator)
4) 정보의 배포자
3. 아이디어 판매자(idea salesman)
1) 아이디어 판매자
2) 아이디어 기업가
4. 아이디어 촉진자(idea facilitator)
1) 아이디어의 원천
2) 아이디어 평가자
5. 아이디어 지원자(idea supporter)
Ⅳ. 게이트키퍼의 효과
Ⅴ. 게이트키퍼와 슈메이커
Ⅵ. 게이트키퍼와 인터넷뉴스
참고문헌
Ⅰ. 개요
자연과학자들은 보편적인 이론개발에 주력하기에 공학자들 보다 조직외부와의 정보공유(학회, 세미나) 및 교환이 자유로운 편이며 또한 더 활성화되어 있다. 이는 앞서 외부와의 많은 비공식 커뮤니케이션망(network)이 형성된 예를 통해서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자연과학자라 할지라도 새로운 연구문제와 관련하여 조직 내에서 공동 연구실험팀이 구성이 되고, 거기서 연구팀의 일원으로 배치되면 기획된 연구문제에만 집중하게 된다. 즉, 구성원들과 정보를 중점적으로 공유하되, 외부와 중요정보 교류는 차단된다. 여기서 실질적인 기획과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책임 연구원급을 중심으로 조직내부에서만 정보가 발생교류되고, 이 연구에서 어느 정도의 정보가치를 활용하고 나서, 결과물이 공식 커뮤니케이션(저널에 기재)을 통해 유통하게 되면, 다시금 조직외부의 동료 과학자들과 그 정보를 공유하게 된다. 이런 현상은 연구를 특허, 상품화해야 하는 공학자들 사이에서 더욱 극명하게 나타나는 현상으로, 진행중인 연구와 관련하여 외부와의 비공식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는 것을 스파이 행위로 간주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자연과학자들 사이에서도 이론과 관련된 아이디어 경쟁도 이에 못지않게 치열하다고 볼 수 있다. 팀의 일원으로 부속연구를 수행해야 한다는 것, 외부와의 정보교류가 차단된다는 것 때문에 나름대로 가능한 외부와의 정보입수방법을 개발하지 않을 수 없었으며, 이로써 출현하게 된 것이 정보 게이트키퍼이다. 조직(연구팀)내의 일반연구원들의 정보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정보유입의 통로역할을 하는 인물이 필연적이기 때문이다.
이런 역할을 수행하는 이들을 정보 게이트키퍼라는 명칭이외에도 핵심 커뮤니케이터(key communicator), 전문커뮤니케이터(special communicator), 커뮤니케이션 스타(communication star), 내부 자문역(internal consultant) 등 여러 명칭으로 불리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정보 게이트키퍼를 매개로 한 간접 정보유통현상은 신문방송학(매스커뮤니메이션)에서는 2단계 정보유통 및 다단계 정보유통으로 이미 알려져 왔다. 사회과학분야에서 특히 매스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 정보 게이트키퍼와 비슷한 개념으로 사용되는 인물의 특성을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정보 gatekeeper와 유사한 사회과학분야에서의 용어들>
소스 (source)
매스 커뮤니케이션
혁신의 전파(diffusion of innovation)
설득 및 태도변화의 심리학
명 칭
opinion leader,
influential
innovator
early adaptor
persuasive
source
기 능
외부정보의
수신 및 전달
그룹에게 innovation전파, 태도변화, innovation에 관 한 외부정보원
태도변화에 영향
그룹의 역할
커뮤니케이션 네트웍크에 핵심인물
다른 그룹 맴버들의 모범
그룹맴버의 모범
언론주도자
innovation의 초기 사용자
여론주도자
개인적 특성
사교적,접근용이, 사회적 활동 왕성
유능, 많은경험, 사람들에게 널리 인식, 알려짐
평균보다
추천자료
조직 유연성 확보와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아웃소싱 전략
심층분석,글로벌 핵심 인재와 글로벌 기업의 인재 육성 사례Powerpoint,마이크로소프트의 글...
(한국정부론)핵심행정부의 관점에서 구성 주체별 행정능력 향상을 위한 향후 발전방안, 국회...
직무의 중요성과 그 핵심내용
정신보건법의 이해(핵심문제포함)
사회복지실천론 - 사회복지실천의 핵심가치와 원칙, 사회복지실천의 중심가치, 사회복지실천...
보건직 공무원 3과목 핵심 요약집
아시아나항공 기업분석및 핵심역량분석과 아시아나항공 새로운 경영전략제안과 향후방향분석 ...
현대 기아차와 BMW 핵심 역량 비교- 현대차 마케팅,기아차 마케팅,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
스타벅스PPT, 스타벅스핵심역량
카페베네의 산업구조분석 및 핵심 성공요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