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영웅소설의 서사구조
Ⅲ. 영웅소설의 일생구조
1. 고귀한 혈통을 지니고 태어났다
2. 비정상적으로 잉태되었거나 출생했다
3. 범인과는 다른 탁월한 능력을 타고 났다
4. 어려서 기아(棄兒)가 되어 죽을 고비에 이르렀다
Ⅳ. 영웅소설의 문체
Ⅴ. 영웅소설과 유생전
1. 애정소설적 구성
2. 명혼담적 구조
3. 신분적 특징
4. 혼사 장애 모티프
5. 남성 주인공의 일대기적 특징
Ⅵ. 영웅소설과 박씨전
Ⅶ. 영웅소설과 유문성전
참고문헌
Ⅱ. 영웅소설의 서사구조
Ⅲ. 영웅소설의 일생구조
1. 고귀한 혈통을 지니고 태어났다
2. 비정상적으로 잉태되었거나 출생했다
3. 범인과는 다른 탁월한 능력을 타고 났다
4. 어려서 기아(棄兒)가 되어 죽을 고비에 이르렀다
Ⅳ. 영웅소설의 문체
Ⅴ. 영웅소설과 유생전
1. 애정소설적 구성
2. 명혼담적 구조
3. 신분적 특징
4. 혼사 장애 모티프
5. 남성 주인공의 일대기적 특징
Ⅵ. 영웅소설과 박씨전
Ⅶ. 영웅소설과 유문성전
참고문헌
본문내용
아님을 알 수 있다. 설빙과 봉빈 그리고 계월은 만득자녀라는 점뿐만 아니라, 선녀들이 내려와 그들의 탄생을 지켜보았고 특히 봉빈과 계월의 경우, 선녀가 죄를 지어 인간 세상에 내려왔다는 태몽을 통해 영웅 탄생의 신비함을 가미시켰다.
3. 범인과는 다른 탁월한 능력을 타고 났다
고구려 동명왕의 이름은 주몽(朱蒙)이다. 이는 동명왕이 일곱 살의 나이에 스스로 활과 화살을 만들어 백 번 쏘아 백 번 다 맞혔는데 나라 풍속에 활 잘 쏘는 사람을 가리켜 주몽이라고 하므로 그 이름을 삼았다고 전한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점은 동명왕이 책이나 스승을 통해 이러한 능력을 배웠다는 이야기가 없는 것으로 보아 그의 탁월한 능력은 선천적인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탁월한 능력은 (가)에서 드러난 고귀한 혈통을 다시 한 번 강조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후대의 영웅소설에서는 (가)에서 설명했듯이 영웅이 가진 고귀한 혈통이라는 것이 단지 고관대작의 자녀라는 현실적 차원의 산물이므로 「동명왕신화」와 같은 선천적인 능력을 타고난다는 것이 쉽게 이해되지 않는 부분이다. -「홍길동전」의 길동 역시 고관대작의 아들로 도술을 부린다는 선천적 능력을 가지고 있으나 , 최초의 영웅소설이므로 ‘영웅의 일생 구조’를 충실히 따라 작품이 쓰였다고 생각한다. - 따라서, 영웅소설의 주인공들이 나중에 펼칠 영웅적 활약의 바탕은 수학을 통해 얻어지는 후천적인 능력으로 이들이 선천적으로 가진 뛰어난 점은 평범한 사람들에 비해 머리가 총명하거나 영민하여 그 수학 속도가 빠르다는 점이다.
「장국진전」계향 : 천문지리와 병법, 창쓰기에 능통
「김희경전」설빙 : 시서백가(詩書百家)에 능통하고 검법을 익히매 일삭(一朔)에 통달
「이봉빈전」봉빈 : 총명혜일(聰明慧日)하고 재질이 과인
「홍계월전」계월 : 일람첩기(一覽輒記)하고 풍운조화지술을 삼삭(三朔) 안에 통달
위에서 밑줄을 그은 부분은 네 편의 여성영웅소설 주인공들이 혼자 혹은 스승의 도움을 얻어 그 능력을 수학한 부분이다. 계향이 천문지리와 병법에 능통하고 창 쓰기를 잘 한 것과 설빙이 검법을 익힌 것은 혼자서 책을 보고 수학한 것이며, 계월이 풍운조화지술을 통달한 것은 스승인 곽도사의 가르침을 통한 것이었다. 이는 여성영웅소설의 주인공 역시 선천적이 아닌 후천적 노력의 결과로 얻어진 능력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4. 어려서 기아(棄兒)가 되어 죽을 고비에 이르렀다
‘영웅의 일생’ 구조에서 (라)는 더욱 강한 영웅이 되기 위해 거쳐야 하는 시련의 과정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시련의 과정은 (다)에서 다루었던 능력의 차이에 따라 다른 모습으로 나타난다. 즉, 선천적 능력을 타고났던 영웅들은 자신의 탁월한 능력을 두려워하는 주변 사람들에 의해 죽을 위기에 처하는 직접적인 시련을 겪는다. 이에 비해 후천적 능력을 가진 영웅소설들의 주인공들은 그들의 능력이 아직 드러나지 않았으므로 자신에게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시련보다는 간신의 참소로 인한 집안의 몰락으로 그 형태가 바뀌어 나타난다.
「장국진전」계향 : 어려서 아버지 이창옥이 간신의 참소를 받아 역률로 다스려지고, 그 어머니가 이에 절망해서 자살.
「김희경전」설빙 : 아버지가 참소를 받아 원찬(遠竄)되었다가 사망. 희경을 찾을 수 없어 강에 투신.
「이봉빈전」봉빈 : 부모가 운공부자의 참사에 절망하여 병사. 강희가 혼인을 강행하므로 집에서 나와 피신
「홍계월전」계월 : 장사랑의 난이 일어나 피난을 가다 수적 맹길을 만나 물에 던져지고 부모와도 이별
특히 여성영웅소설의 주인공들은 여성이라는 신분적 한계로 인해 부모와의 헤어짐이나 부모의 죽음은 이제 그들을 지탱해 주었던 의지처가 없어졌다는 심리적 불안과 함께 생계의 막막함이 큰 시련으로 다가왔을 것이다. 이러한 상황은 계월을 제외한 나머지 세 작품에 나타나는데, 설빙과 봉빈의 경우는 여기에 정혼자인 희경과 운기의 부재(不在)가 더해져 그 시련이 더욱 강하게 그려지고 있다.
Ⅳ. 영웅소설의 문체
고전소설 연구에 있어 문체에 관한 연구는 다른 연구 분야에 비해서 많이 이루어지지는 않았다. 대부분의 연구는 개별 작품의 문체적 특징을 살피는 수준에서 머물고 있어, 고전소설 전반의 문체적 특성을 탐구하는 데에까지 나아간 것은 아니다. 본고 또한 문체론적인 입장에서, 영웅소설 문체 전반적 논의를 펴는 것은 아니다. 다만, 영웅소설이라는 장르에서 나타나는 문체적 특징을 추출하고 그것의 의미를 묻는 작업을 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고전소설 전반의 문체에 관한 연구를 이루는 데 일정한 기여를 할 것이라 생각된다.
한글로 이루어진 우리의 고전소설의 서사적 진술 방식은 서술자의 직접 서술과 작중 인물의 극적 재현으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인 고전소설은 서술과 대화를 단순히 교체하는 방식을 통하여 작품을 진행하는 경향이 두드러진다. 따라서 각 작품의 문체적 특징은 작품 내적인 서술자의 설명적 요약적 진술, 그리고 작중인물의 대화 등을 통하여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영웅소설의 문체에 대해서는 이른바 ‘문어체소설’이라고 평가받아 왔다. 즉 서술자의 목소리가 처음부터 끝까지 일관되게 흐르는, 서술자의 서술충동에 충실한 문체인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문어체적인 소설에도 두 가지 양상이 존재한다. 이른바 상층소설과 하층소설의 차이라 할 것이다. 상층소설(구운몽, 창선감의록 류와 대하소설 등)의 경우 영웅소설류의 문체와는 다른 전아한 모습을 띠고 있다. 예컨대, <소대성전>과 <구운몽>의 서두를 비교해 보자.
대명 셩화년간의 일위 샹이 이시되 셩은 쇼요 명은 량이라 조와 덕이 일국의 진동더니 일즉 룡문의 올나 며슬이 병부샹서의 니러 명망이 됴야의 덥헛더니 일즉 나라 하직고 고향 동 도라와 한가 사이 되여시니 가산은 요부여 셰상의 긔릴거시 업스되 슬하의 낫 식이 업셔 쥬야 슬허더니 (……) (4:385)
텬하의 일흠난 뫼히 다시 이시니 동은 온 동악태산이오 셔 온 셔악화산이오 가온 온 듕악슝산이오 븍은 온 븍악홍산이오 남은 온 남악형산이니 이 닐온 오악이라 오악듕의 현산이 뉴의 머니 구의산이 남녁 잇고 동졍회 븍의 잇고 상강믈이 삼면의 둘넛고 일흔 두봉 가온 다봉이 쟝 놉고 놉흐니
3. 범인과는 다른 탁월한 능력을 타고 났다
고구려 동명왕의 이름은 주몽(朱蒙)이다. 이는 동명왕이 일곱 살의 나이에 스스로 활과 화살을 만들어 백 번 쏘아 백 번 다 맞혔는데 나라 풍속에 활 잘 쏘는 사람을 가리켜 주몽이라고 하므로 그 이름을 삼았다고 전한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점은 동명왕이 책이나 스승을 통해 이러한 능력을 배웠다는 이야기가 없는 것으로 보아 그의 탁월한 능력은 선천적인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탁월한 능력은 (가)에서 드러난 고귀한 혈통을 다시 한 번 강조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후대의 영웅소설에서는 (가)에서 설명했듯이 영웅이 가진 고귀한 혈통이라는 것이 단지 고관대작의 자녀라는 현실적 차원의 산물이므로 「동명왕신화」와 같은 선천적인 능력을 타고난다는 것이 쉽게 이해되지 않는 부분이다. -「홍길동전」의 길동 역시 고관대작의 아들로 도술을 부린다는 선천적 능력을 가지고 있으나 , 최초의 영웅소설이므로 ‘영웅의 일생 구조’를 충실히 따라 작품이 쓰였다고 생각한다. - 따라서, 영웅소설의 주인공들이 나중에 펼칠 영웅적 활약의 바탕은 수학을 통해 얻어지는 후천적인 능력으로 이들이 선천적으로 가진 뛰어난 점은 평범한 사람들에 비해 머리가 총명하거나 영민하여 그 수학 속도가 빠르다는 점이다.
「장국진전」계향 : 천문지리와 병법, 창쓰기에 능통
「김희경전」설빙 : 시서백가(詩書百家)에 능통하고 검법을 익히매 일삭(一朔)에 통달
「이봉빈전」봉빈 : 총명혜일(聰明慧日)하고 재질이 과인
「홍계월전」계월 : 일람첩기(一覽輒記)하고 풍운조화지술을 삼삭(三朔) 안에 통달
위에서 밑줄을 그은 부분은 네 편의 여성영웅소설 주인공들이 혼자 혹은 스승의 도움을 얻어 그 능력을 수학한 부분이다. 계향이 천문지리와 병법에 능통하고 창 쓰기를 잘 한 것과 설빙이 검법을 익힌 것은 혼자서 책을 보고 수학한 것이며, 계월이 풍운조화지술을 통달한 것은 스승인 곽도사의 가르침을 통한 것이었다. 이는 여성영웅소설의 주인공 역시 선천적이 아닌 후천적 노력의 결과로 얻어진 능력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4. 어려서 기아(棄兒)가 되어 죽을 고비에 이르렀다
‘영웅의 일생’ 구조에서 (라)는 더욱 강한 영웅이 되기 위해 거쳐야 하는 시련의 과정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시련의 과정은 (다)에서 다루었던 능력의 차이에 따라 다른 모습으로 나타난다. 즉, 선천적 능력을 타고났던 영웅들은 자신의 탁월한 능력을 두려워하는 주변 사람들에 의해 죽을 위기에 처하는 직접적인 시련을 겪는다. 이에 비해 후천적 능력을 가진 영웅소설들의 주인공들은 그들의 능력이 아직 드러나지 않았으므로 자신에게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시련보다는 간신의 참소로 인한 집안의 몰락으로 그 형태가 바뀌어 나타난다.
「장국진전」계향 : 어려서 아버지 이창옥이 간신의 참소를 받아 역률로 다스려지고, 그 어머니가 이에 절망해서 자살.
「김희경전」설빙 : 아버지가 참소를 받아 원찬(遠竄)되었다가 사망. 희경을 찾을 수 없어 강에 투신.
「이봉빈전」봉빈 : 부모가 운공부자의 참사에 절망하여 병사. 강희가 혼인을 강행하므로 집에서 나와 피신
「홍계월전」계월 : 장사랑의 난이 일어나 피난을 가다 수적 맹길을 만나 물에 던져지고 부모와도 이별
특히 여성영웅소설의 주인공들은 여성이라는 신분적 한계로 인해 부모와의 헤어짐이나 부모의 죽음은 이제 그들을 지탱해 주었던 의지처가 없어졌다는 심리적 불안과 함께 생계의 막막함이 큰 시련으로 다가왔을 것이다. 이러한 상황은 계월을 제외한 나머지 세 작품에 나타나는데, 설빙과 봉빈의 경우는 여기에 정혼자인 희경과 운기의 부재(不在)가 더해져 그 시련이 더욱 강하게 그려지고 있다.
Ⅳ. 영웅소설의 문체
고전소설 연구에 있어 문체에 관한 연구는 다른 연구 분야에 비해서 많이 이루어지지는 않았다. 대부분의 연구는 개별 작품의 문체적 특징을 살피는 수준에서 머물고 있어, 고전소설 전반의 문체적 특성을 탐구하는 데에까지 나아간 것은 아니다. 본고 또한 문체론적인 입장에서, 영웅소설 문체 전반적 논의를 펴는 것은 아니다. 다만, 영웅소설이라는 장르에서 나타나는 문체적 특징을 추출하고 그것의 의미를 묻는 작업을 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고전소설 전반의 문체에 관한 연구를 이루는 데 일정한 기여를 할 것이라 생각된다.
한글로 이루어진 우리의 고전소설의 서사적 진술 방식은 서술자의 직접 서술과 작중 인물의 극적 재현으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인 고전소설은 서술과 대화를 단순히 교체하는 방식을 통하여 작품을 진행하는 경향이 두드러진다. 따라서 각 작품의 문체적 특징은 작품 내적인 서술자의 설명적 요약적 진술, 그리고 작중인물의 대화 등을 통하여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영웅소설의 문체에 대해서는 이른바 ‘문어체소설’이라고 평가받아 왔다. 즉 서술자의 목소리가 처음부터 끝까지 일관되게 흐르는, 서술자의 서술충동에 충실한 문체인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문어체적인 소설에도 두 가지 양상이 존재한다. 이른바 상층소설과 하층소설의 차이라 할 것이다. 상층소설(구운몽, 창선감의록 류와 대하소설 등)의 경우 영웅소설류의 문체와는 다른 전아한 모습을 띠고 있다. 예컨대, <소대성전>과 <구운몽>의 서두를 비교해 보자.
대명 셩화년간의 일위 샹이 이시되 셩은 쇼요 명은 량이라 조와 덕이 일국의 진동더니 일즉 룡문의 올나 며슬이 병부샹서의 니러 명망이 됴야의 덥헛더니 일즉 나라 하직고 고향 동 도라와 한가 사이 되여시니 가산은 요부여 셰상의 긔릴거시 업스되 슬하의 낫 식이 업셔 쥬야 슬허더니 (……) (4:385)
텬하의 일흠난 뫼히 다시 이시니 동은 온 동악태산이오 셔 온 셔악화산이오 가온 온 듕악슝산이오 븍은 온 븍악홍산이오 남은 온 남악형산이니 이 닐온 오악이라 오악듕의 현산이 뉴의 머니 구의산이 남녁 잇고 동졍회 븍의 잇고 상강믈이 삼면의 둘넛고 일흔 두봉 가온 다봉이 쟝 놉고 놉흐니
추천자료
서사무가와 판소리 사설의 비교 - 서사무가 <손님굿>, <제면굿>과 판소리 <흥보가>를 중심으로 -
서사무가의 하나 바리공주
삼선기의 형성배경과 구조 및 작자 의식
양들의 침묵 - 영화와 원작 소설의 비교분석을 통해 본 영화의 예술성
서술 시점을 중심으로 살펴본 소설의 사실과 허구의 관계
[서사의 형식][서사의 요소][서사와 서사전략][서사와 서사교육][서사와 커뮤니케이션][서사...
[서사][서사의 의미][서사의 구성][서사의 전략][서사와 서사도덕][서사와 서사체][서사와 작...
서사문학교육
신경숙의 풍금이 있던 자리의 정신분석학적 접근 [반복 구조와 그 원인으로서 주체형성과정을...
[서사시][서사시 개념][서사시 환경][서사시 역사][서사시 전개][중세문학][서사한시][문학][...
[길가메시 서사시, 길가메시 서사시 정의, 길가메시 서사시 특징, 길가메시 서사시 의의, 길...
상호주관성의 서사 -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을 중심으로
상호 텍스트성-서사의 상업화 관점에서 『춘향전』의 경우
몽유록계(夢遊錄系) 소설 연구(원생몽유록, 대관재몽유록, 강도몽유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