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길가메시 서사시의 정의
Ⅲ. 길가메시 서사시의 특징
1. 가장 오래된 서사시
2. 과장된 표현
3. 탄생설화의 부존재
Ⅳ. 길가메시 서사시의 의의
Ⅴ. 길가메시 서사시의 교훈
1. 진정한 우정
2. 지나친 행동에 대한 경계
3. 삶과 죽음의 길
4. 유비무환의 자세
5. 남녀간의 사랑 그리고 성욕
6. 인간의 자연적인 모습과 타락된 모습
참고문헌
Ⅱ. 길가메시 서사시의 정의
Ⅲ. 길가메시 서사시의 특징
1. 가장 오래된 서사시
2. 과장된 표현
3. 탄생설화의 부존재
Ⅳ. 길가메시 서사시의 의의
Ⅴ. 길가메시 서사시의 교훈
1. 진정한 우정
2. 지나친 행동에 대한 경계
3. 삶과 죽음의 길
4. 유비무환의 자세
5. 남녀간의 사랑 그리고 성욕
6. 인간의 자연적인 모습과 타락된 모습
참고문헌
본문내용
. 가장 위대한 왕도 죽을 때는 평범한 인간일 수밖에 없다. 죽음을 두려워한다면 그 사람 자신은 오히려 자기가 살아갈 수 있는 시간보다 더 빨리 죽음의 세계로 갈 수 있다. 진정한 삶이란 자기가 하고 싶은 일을 하고 부끄럽지 않은 인생을 살다가 죽는 것이다. 이 책은 죽음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만든다.
4. 유비무환의 자세
홍수이야기에서 본 것처럼 당시 인간들은 대홍수가 일어난다고 했건만 그에 대비하지 않고 그냥 지냈다. 그러다가 홍수가 일어나기 전에 방주를 만들어 홍수에 대비한 사람들은 살아났지만 나머지 사람들은 홍수에 떠내려갔다. 사실 우리 사회에서도 유비무환으로 큰 사고를 막을 길이 있었지만 사건이 일어나기 전에는 대비하지 않는다. 대표적인 예로 씨랜드 사건, 성수대교 붕괴, 천안 초등 축구부 화재 등이 있다. 위 사건은 미리 대비하고 방지만 했더라도 대형사고를 막을 수 있었다. 근데 우리는 꼭 일이 터지고 나서 사고 수습하기 바쁘지 대비하는 모습은 좀처럼 보기 힘들다. 그리고 사고가 발생하고 한두 달 정도 심각하게 받아들이다가 그 다음부턴 무의미해지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러다간 대형사고는 계속 이어질 수밖에 없다. 정말 유비무환을 교훈 삼아서 큰 사고에 대비하는 모습을 보여야겠다.
5. 남녀간의 사랑 그리고 성욕
이성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이성과 사귀고 싶어 하는 것, 더 나아가 육체적으로 접촉하고 싶은 욕구들을 포함해 성욕이라고 한다. 성욕은 성적 자극을 받게 되면 성적 욕망이 생기는데 이러한 성적 욕망을 일컫는 말이기도 하다. 책 앞부분에 창녀가 엔키두를 유혹하여 우르크로 데려가는 부분이 나온다. 비록 이때 창녀는 현재 우리가 아는 창녀의 개념이 아닌 여신의 개념이지만 여자가 남자를 유혹했다는 점에서 성욕이 일어나는 것은 인간에게 있어서는 당연히 생기는 현상이다.
유사이래 남녀간의 사랑은 끊임없이 소설의 주제가 되고 영화화되고 인류최대의 관심사이다. 예전이나 지금이나 남녀관계는 끊을래야 끊을 수 없는 문제이다. 또 여자가 남자에게 버림받고 복수를 하는 부분도 이시타르를 통해 보여 지고 있다. 아무튼 남녀간의 관계는 애매하면서도 필요악적인 존재로 현재도 존재하고 있다.
6. 인간의 자연적인 모습과 타락된 모습
엔키두가 동물과 지내다가 여신을 만나면서 점점 타락해 가는 모습은 우리의 문명세계를 대변해주고 있다. 원초적 세계에서 문명사회로의 전환은 인간을 점점 타락하게 만들었고 이 내용이 엔키두가 대변해주고 있다.
참고문헌
▷ 윤정모(2007), 길가메시 : 윤정모 장편소설, 파미르
▷ 이상엽(1999), 『길가메시 서사시』와 밀턴의 『리시다스』에 나타난 부활의 문제, 성균관대학교영어영문학회
▷ 이원구(2004) 인물 평전 쓰는법 : 영웅 길가메시부터 체 게바라까지, 내일을 여는 책
▷ 정인화(2004), 『길가메시』와 『걸리버 여행기』를 통해서 본 인간의 삶과 죽음, 관동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황성일(2008), 길가메시 서사시와 성경, 광신대학교출판부
▷ N. K.샌다아즈 외 1 명(1978), 길가메시 서사시, 범우사
4. 유비무환의 자세
홍수이야기에서 본 것처럼 당시 인간들은 대홍수가 일어난다고 했건만 그에 대비하지 않고 그냥 지냈다. 그러다가 홍수가 일어나기 전에 방주를 만들어 홍수에 대비한 사람들은 살아났지만 나머지 사람들은 홍수에 떠내려갔다. 사실 우리 사회에서도 유비무환으로 큰 사고를 막을 길이 있었지만 사건이 일어나기 전에는 대비하지 않는다. 대표적인 예로 씨랜드 사건, 성수대교 붕괴, 천안 초등 축구부 화재 등이 있다. 위 사건은 미리 대비하고 방지만 했더라도 대형사고를 막을 수 있었다. 근데 우리는 꼭 일이 터지고 나서 사고 수습하기 바쁘지 대비하는 모습은 좀처럼 보기 힘들다. 그리고 사고가 발생하고 한두 달 정도 심각하게 받아들이다가 그 다음부턴 무의미해지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러다간 대형사고는 계속 이어질 수밖에 없다. 정말 유비무환을 교훈 삼아서 큰 사고에 대비하는 모습을 보여야겠다.
5. 남녀간의 사랑 그리고 성욕
이성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이성과 사귀고 싶어 하는 것, 더 나아가 육체적으로 접촉하고 싶은 욕구들을 포함해 성욕이라고 한다. 성욕은 성적 자극을 받게 되면 성적 욕망이 생기는데 이러한 성적 욕망을 일컫는 말이기도 하다. 책 앞부분에 창녀가 엔키두를 유혹하여 우르크로 데려가는 부분이 나온다. 비록 이때 창녀는 현재 우리가 아는 창녀의 개념이 아닌 여신의 개념이지만 여자가 남자를 유혹했다는 점에서 성욕이 일어나는 것은 인간에게 있어서는 당연히 생기는 현상이다.
유사이래 남녀간의 사랑은 끊임없이 소설의 주제가 되고 영화화되고 인류최대의 관심사이다. 예전이나 지금이나 남녀관계는 끊을래야 끊을 수 없는 문제이다. 또 여자가 남자에게 버림받고 복수를 하는 부분도 이시타르를 통해 보여 지고 있다. 아무튼 남녀간의 관계는 애매하면서도 필요악적인 존재로 현재도 존재하고 있다.
6. 인간의 자연적인 모습과 타락된 모습
엔키두가 동물과 지내다가 여신을 만나면서 점점 타락해 가는 모습은 우리의 문명세계를 대변해주고 있다. 원초적 세계에서 문명사회로의 전환은 인간을 점점 타락하게 만들었고 이 내용이 엔키두가 대변해주고 있다.
참고문헌
▷ 윤정모(2007), 길가메시 : 윤정모 장편소설, 파미르
▷ 이상엽(1999), 『길가메시 서사시』와 밀턴의 『리시다스』에 나타난 부활의 문제, 성균관대학교영어영문학회
▷ 이원구(2004) 인물 평전 쓰는법 : 영웅 길가메시부터 체 게바라까지, 내일을 여는 책
▷ 정인화(2004), 『길가메시』와 『걸리버 여행기』를 통해서 본 인간의 삶과 죽음, 관동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황성일(2008), 길가메시 서사시와 성경, 광신대학교출판부
▷ N. K.샌다아즈 외 1 명(1978), 길가메시 서사시, 범우사
추천자료
길가메시 서사시에 대한 감상
소설 속 인물 분석 -<리얼리즘과 모더니즘 소설 속 인물유형>
채만식의 풍자문학 연구―장편 태평천하를 중심으로 ―
소설의 기원, 고전소설 시대의 소설관, 소설의 본질
소설정리 및 18세기 영국 소설발생
[소설 혼불][최명희 소설][혼불 내용요약][혼불 구성][혼불 가치인식][최명희 소설 혼불의 내...
태평천하(太平天下) 교과서 분석 _ 채만식 저 (태평천하의 소설적 위치 & 디딤돌 문학, ...
가정소설, 가문소설의 정의와 특징, 종류, 성격, 의의 (가정 &#8228; 가문 소설의 정의, ...
[국문학연습 공통] 한국문학사 속에서의 사랑, 죽음과 여성의식을 분석하되, 단편 ‘경희’와...
정유정의 장편 ‘28’을 읽고.. [독후감]
[현대소설론 공통] 다음 두 연작소설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 중 두 명(연작소설 두 편)을 골라...
[국문학연습 공통] 전통적 인습에 맞서는 경희(단편 ‘경희’), 진채선(장편 ‘사랑의 향기’), ...
조선후기 산문문학 -소설을 중심으로- (조선시대 국문소설, 조선시대 군담소설, 조선시대 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