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자질하는 행동의 아동행동수정 사례연구(아동관찰 및 행동연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자질하는 행동의 아동행동수정 사례연구(아동관찰 및 행동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고자질하는 행동의 이해
  1) 고자질하는 행동이란?
  2) 고자질하는 아동의 특징
  3) 고자질하는 행동의 원인
  4) 개선 및 지도
 2. 행동수정
  1) 행동수정이란?
  2) 행동수정의 절차
  (1) 행동의 특성 규정
  (2) 관찰법의 결정
  (3) 기초선 측정단계
  (4) 행동수정 목표 설정
  (5) 동기 유발 방법과 행도수정기법의 설정
  (6) 행동 지도 절차의 설정
  (7) 행동수정 시행과정
  (8) 결과의 점검
  (9) 변화된 행동의 유지 계획

Ⅲ. 행동수정의 실제
 1. 대상아동의 특성
 2. 발달사항
 3. 대상 아동의 문제 행동 특징
 4. 관찰 일시 및 관찰 방법  5. 기초선 측정 단계
 6. 행동수정 목표 설정
 7. 강화 방법과 행동수정 기법의 설정
 8. 행동지도 절차의 설정
 9. 행동수정 시행과정
  1) 강화 단계
  2) 반전 단계
  3) 재강화 단계
 10. 결과의 점검
Ⅳ. 결론
참고문헌
부록
느낀점

본문내용


(pm.6~8)
4회
관찰자가 다연이와다예(언니)에게 “우리 색칠공부하고놀까?”라고 물었다. 다예가 “네!”라고 답했다. 그리고는 다연이도 언니를 따라 ‘네!’라고 답했다. 도화지와 크레파스를 들고와 크레파스뚜껑을 열었다. 다연이와 다예는 동시에 같은 색깔을 골랐다. 관찰자는 동시에 집은 크레파스를 빼고 각자의 색깔을 정해주었다.
4
4월 2일
(pm.6~8)
3회
다연이와 서영(동생)이가 블록놀이를 했다. 엄마가 “이제 블록놀이 그만하고 정리하자”라고 말했다. 다연이는 고개를 끄덕였다. 서영이는 블록을 정리하지도 않고 거실로 나간다. 다연이가 서영이를 따라가 ‘서영아 같이 블록정리해야지 그러면 언니가 사탕줄게’ 라고 말하자, 서영이는 고개를 끄덕이며 방으로 가 블록을 정리한다.
5
4월 3일
(pm.6~8)
2회
다연이가 지혜(친구)와 で흙놀이를 하고 있었다. 다연이가 만든 걸보고는 지혜가 “우와~”라고 말하며 눈이똥그레진다. 다연이가 지혜의 모습을 보자 “너도 만들어줄까?”라고 말하자, 지혜가 “응!” 이라고 대답하자, 다연이가 지혜를 위해 열심히 무언가를 만들어준다.
평균
3.4회
16÷5=3.4
반전단계를 통하여 강화단계에서 사용하였던 강화방법이 입증 되었기에 동일한 강화방법을 이용해 재강화단계에서 사용하였다.
재강화단계에서는 5일 동안 4회 → 3회 → 4회 → 3회 → 2회로 점차 횟수가 줄어드는 것을 볼 수 있으며 5일 동안의 평균횟수는 3.4회로 관찰 되었다.
10. 결과의 점검
위 그래프와 같이 기초선 단계에서는 고자질하는 행동이 평균적으로 7.6회 나타났다. 강화단계에서 사회적 강화와 물질적 강화를 준 결과 평균행동이 4.8회로 줄었으며 고자질 하는 행동이 점차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 다음 강화를 주지 않는 반전 단계에서는 고자질 하는 행동이 점차 증가 하여 평균 6.25로 늘어났다. 이것은 강화단계에서 사용한 강화방법이 효과가 있음을 증명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재강화단계에서 동일한 강화방법을 사용한 결과 평균 3.4라는 횟수가 나오게 되었다. 행동수정 목표를 4회 이하로 줄이는 것으로 정하였으므로 행동수정 연구의 결과는 성공했다 볼 수 있다.
Ⅳ. 결론
지금까지 고자질하는 행동을 하는 아이의 문제행동과 행동수정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대상아동의 고자질하는 행동의 횟수를 줄이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여러 가지 행동수정기법을 활용하여 고자질하는 행동을 수정해 보았다. 그 결과 기초선 단계에서 7.6회라는 평균 횟수가 나왔으나 칭찬 스티커의 활용의 물질적 강화와 칭찬하기, 안아주기 등의 사회적 강화방법을 사용하였을 때 평균 횟수가 4.8회로 절반정도로 횟수를 줄일 수 있게 되어 그 효과를 검증할 수 있었다. 때문에 동일한 방법으로 재강화를 하였으며 평균 횟수 3.4회로 행동수정의 결과는 성공이라 하겠다. 이러한 성공의 요인으로 몇 가지를 살펴볼 수 있다.
첫째, 아이의 잘못을 지적하기 보다는 아이의 감정을 읽어주는 것이다.
‘그렇게 하면 안돼’ 라고 말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것은 나쁜 아이들이 하는 행동이야’ ‘그것은 옳지 않은 행동이야’ 등의 반응을 하면서 지적하는 것은 아이에게 부정적인 자아상만 갖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피하였고, ‘다연이가 이러이러해서 속상했구나~’ 라는 말을 사용하여 아이의 감정을 다독여 주며, (일관성 있는 규칙을 적용하도록 하였다.)→ 다연이와 접하는 모든 어른들에게 알려 동일한 방식으로 대응 하도록 하였다.
둘째, 아이에게 적절한 강화물의 제시한 것이라 하겠다.
물질적 강화물인 칭찬스티커는 아이가 평소에 좋아하는 캐릭터로 된 것으로 즉각적으로 강화를 해주어서 바로 그 자리에서 칭찬과 함께 스티커를 붙이게 하여 아이가 성취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부모님의 적극적인 협조이다.
충분히 자신이 관심을 받고 있으며, 다른 방법으로도 충분히 인정을 받을 수 있고 사랑받을 수 있음을 알려주도록 하였다.
참고문헌
1) 아동행동 연구 및 관찰평가 - 전남련김재환이혜배. 창지사. 2007
2) 행동수정사례 연구 보고서 - 오산대학 아동보육과 이상미. 2010
3) 지식백과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6&dirId=61303&docId=158354707&qb=6rOg7J6Q7KeI7ZWY64qU7ZaJ64+Z&enc=utf8§ion=kin&rank=3&search_sort=0&spq=0
4) 네이버 통합 검색
http://blog.naver.com/lovemom_kr?Redirect=Log&logNo=150166680909
http://blog.naver.com/rudals052525?Redirect=Log&logNo=140166643689
부록
1) 체크리스트
느낀점
과제를 받고 처음에 친척동생이 가장 떠올랐다. 집과도 가깝고 방문하기도 쉽고 관찰하기도 쉬울꺼라 생각을 했었다. 그렇지만 관찰하고 기록하다보니 쉽다고 느낀것에대해 후회가 되었고, 유아에대해 깨닫는게 많았다. 나중에 실습을 나가고 어린이집 선생님이 될 생각을 하니 막막하다는 생각을 크게 느꼈다. 가장먼저 과제를 하면서 깨달은게 아이의 보이지 않는 세심한 부분까지 알고 있어야 한다는 것을 깨달았다. 아이가 지능이 어리다한들 마음은 어린유아인 만큼 여리고 그걸 곧 따라하고 습관이 될수 있다는걸 알았다. 과제를 하면서 친척동생을 대상으로 하루를 관찰을 했을땐 내가 아는 친척동생의 모습만 보였었다. 그렇지만 하루 이틀 이렇게 19일이지나면 내가 관찰자 입장 이자 어린이집 선생님의 마음으로 아이를 관찰을 해보자 라고 생각을 하게 된다. 나는 과제를 통해 직접 교육을 가르치진 않았지만, 배우고 깨닫고 나혼자 터득하고 알고가는 것같아서 뿌듯함도 느꼇고 친척동생이 항상 고자질 하는 행동을에 대해 잘못된점 들을 못 늦겼었다. 관찰을 통해 느꼈고, 내가 아는 친척동생이 맞나 싶었고, 다른 잘못된 행동들도 눈에 보였던 것 같다. 내가 주어진 과제인 고자질하는 행동의 모습을 관찰 하면서 여러 모습을 관찰하고 잘못된 점을 관찰자입장에서 고쳐주려고 많이 노력했던 것 같다. 과제를 통해 배움이 큰 것 같다.
  • 가격3,000
  • 페이지수32페이지
  • 등록일2013.07.14
  • 저작시기2013.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88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