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서론
II.방콕족의 일반적인 개념
1. 비정상적 개인
2. 최근에 등장한 개념
III.예술 작품 속에서 찾아본 방콕족
1. 자신, 가족, 타인, 세상 일체를 거부하는 자기 소외
- ‘이상’의 <날개>
2. 사회의 구조적 모순으로 인한 개인의 무력감
-'찰리채플린'의 <Modern Times'>
3. 급변하는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는 고독한 은둔자
-‘무라카미 류’<지상에서의 마지막 가족>
IV. 방콕족이 아닌 방콕성
V. 결론
II.방콕족의 일반적인 개념
1. 비정상적 개인
2. 최근에 등장한 개념
III.예술 작품 속에서 찾아본 방콕족
1. 자신, 가족, 타인, 세상 일체를 거부하는 자기 소외
- ‘이상’의 <날개>
2. 사회의 구조적 모순으로 인한 개인의 무력감
-'찰리채플린'의 <Modern Times'>
3. 급변하는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는 고독한 은둔자
-‘무라카미 류’<지상에서의 마지막 가족>
IV. 방콕족이 아닌 방콕성
V. 결론
본문내용
외톨이 실태보고’라는 제목으로 방송될 만큼 방콕족은 더 이상 우리와 동떨어진 세계에서 일어나는 특수한 상황에 처한 사람들이 아닌 요즘 우리 사회의 일반적인 현상이 되었다. 일찍이 이러한 문화적 현상이 빠른 속도로 확산되어 온 일본에서는 자신의 방안에만 틀어박혀 외부와의 접촉을 거부하는 개인들이 늘어나자 이들을 가리켜 ‘히키고모리’라고 부르고, 사회 전반적인 시각에서 이들을 바라보고자 한 시도를 해왔다. 그 중에서도 현실을 반영하는 예술이라고 할 수 있는 문학에서 ‘히키고모리’에 대한 내용이 많이 다뤄지고 있는데, 그 대표적인 작가가 바로 ‘무라카미 류’이다. 그의 저서 중에서도 특히 ‘지상에서의 마지막 가족’은 학교에서의 집단 따돌림을 당하고 가정에서의 불화와 폭력 부모와의 대화 단절, 인터넷 게임 중독이라는 환경이 만든 ‘히키고모리’를 통해 이러한 현상은 선천적인 것이 아닌 후천적으로 발생한 것이며, 우리 또한 ‘히키고모리’처럼 될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고 보고 이 작품을 선정하였다.
2)분석
a.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고 고립감을 느끼는 방콕족
-현실에서 멀리 도망치고 싶었기 때문에 히키고모리가 되었다는 생각이 들었다. 원하지 않는대학에 들어갔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짧은 대학생활은 너무도 지겨웠고 떠올리고 싶지 않은 기억들뿐이었다.
-히데키의 뒷모습을 보고 초조해 하고 있는 듯 하다는 느낌을 받았다. 방을 나설 때 히데키, 하고 불러보았다. 그러자, 왜 그래, 하고 불쾌하고 낮은 목소리로 대답하며 히데키는 뒤를 돌아보았다. 미간엔 잔뜩 주름이 잡혀있고, 눈길에는 흉흉한 기운이 가득했다. 아키코는 저도 모르게 힘 좀 내, 하는 말을 하고 말았다. 히데키는 슬픈 표정으로 일어서서 아키코에게 다가와, 더 이상 어떻게 힘을 내란 말이야. 하고 라면그릇을 바닥에 내동댕이 쳤다. 그날 밤부터 히데키가 변한 느낌이 들었다.
히키고모리는 선천적인 정신병이 아니라 자기비하감, 희망없음, 대사회적 울분들이 쌓여서 바깥 세상과 완전히 단절된 채 스스로를 유폐시켜 버리는 정신병적인 상태에 놓여있는 이들이다. 평범하던 그들이 어느날 갑자기 히키고모리가 되는 가장 큰 이유는 사회 또는 인간관계 속에서 자신이 소외되는 충격적 경험을 하게 되고 이때부터 적극적인 사회생활을 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일본에서는 왕따를 당했던 경험이 있는 대부분의 청소년들이 자살, 가출 등 극단적인 방법 외에도 히키고모리가 되는 것을 선택하는 경우를 많이 볼 수 있었다. 게다가 방안에만 틀어박혀있어도 정보사회의 발달과 인터넷의 발달로 전 세계의 모든 사건을 클릭한번으로 알 수 있기 때문에 굳이 방 밖으로 나갈 이유를 찾지 못한다. 위와 같은 소설 본문의 흐름은 사회가 한 개인을 히키고모리로 만들기까지의 과정을 보여준다.
-폭력은 아주 사소한 일을 계기로 일어났다. 그때 말대꾸를 하면, 너 지금 뭐라고 했어! 하고 벌컥 화를 내며 때리 기 시작했다. 찍소리 한번 하지 않고 참고 있어도, 이년아 뭐라고 한마디 해봐! 하면서 때렸다.
히키고모리는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는 자신과 그런 개인을 외면하는 사회에 대한 저주를 가족이나 친구와 같은 가장 가까운 사람에게 심한 욕설을 하거나 폭력을 휘두름으로써 화풀이한다. 그들은 자신이 꿈꾸는 이상과 반대되는 현실 속에서 느끼게 되는 무기력함에서 비롯한 사회적 고립과 자기 비하를 급기야 폭력과 같은 퇴행현상을 통해 분출하고 있다.
b. 극복하려는 개인
-왜 갑자기 두려움이 없어졌을까. 목적이 생겼기 때문일까. 대학에 갈때나 아르바이트를 하러 갈때도 목적은 있었지만, 늘 공황상태에 빠지지 않았던가. 오늘은 인파에 밀리면서도 두려움을 느끼지
2)분석
a.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고 고립감을 느끼는 방콕족
-현실에서 멀리 도망치고 싶었기 때문에 히키고모리가 되었다는 생각이 들었다. 원하지 않는대학에 들어갔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짧은 대학생활은 너무도 지겨웠고 떠올리고 싶지 않은 기억들뿐이었다.
-히데키의 뒷모습을 보고 초조해 하고 있는 듯 하다는 느낌을 받았다. 방을 나설 때 히데키, 하고 불러보았다. 그러자, 왜 그래, 하고 불쾌하고 낮은 목소리로 대답하며 히데키는 뒤를 돌아보았다. 미간엔 잔뜩 주름이 잡혀있고, 눈길에는 흉흉한 기운이 가득했다. 아키코는 저도 모르게 힘 좀 내, 하는 말을 하고 말았다. 히데키는 슬픈 표정으로 일어서서 아키코에게 다가와, 더 이상 어떻게 힘을 내란 말이야. 하고 라면그릇을 바닥에 내동댕이 쳤다. 그날 밤부터 히데키가 변한 느낌이 들었다.
히키고모리는 선천적인 정신병이 아니라 자기비하감, 희망없음, 대사회적 울분들이 쌓여서 바깥 세상과 완전히 단절된 채 스스로를 유폐시켜 버리는 정신병적인 상태에 놓여있는 이들이다. 평범하던 그들이 어느날 갑자기 히키고모리가 되는 가장 큰 이유는 사회 또는 인간관계 속에서 자신이 소외되는 충격적 경험을 하게 되고 이때부터 적극적인 사회생활을 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일본에서는 왕따를 당했던 경험이 있는 대부분의 청소년들이 자살, 가출 등 극단적인 방법 외에도 히키고모리가 되는 것을 선택하는 경우를 많이 볼 수 있었다. 게다가 방안에만 틀어박혀있어도 정보사회의 발달과 인터넷의 발달로 전 세계의 모든 사건을 클릭한번으로 알 수 있기 때문에 굳이 방 밖으로 나갈 이유를 찾지 못한다. 위와 같은 소설 본문의 흐름은 사회가 한 개인을 히키고모리로 만들기까지의 과정을 보여준다.
-폭력은 아주 사소한 일을 계기로 일어났다. 그때 말대꾸를 하면, 너 지금 뭐라고 했어! 하고 벌컥 화를 내며 때리 기 시작했다. 찍소리 한번 하지 않고 참고 있어도, 이년아 뭐라고 한마디 해봐! 하면서 때렸다.
히키고모리는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는 자신과 그런 개인을 외면하는 사회에 대한 저주를 가족이나 친구와 같은 가장 가까운 사람에게 심한 욕설을 하거나 폭력을 휘두름으로써 화풀이한다. 그들은 자신이 꿈꾸는 이상과 반대되는 현실 속에서 느끼게 되는 무기력함에서 비롯한 사회적 고립과 자기 비하를 급기야 폭력과 같은 퇴행현상을 통해 분출하고 있다.
b. 극복하려는 개인
-왜 갑자기 두려움이 없어졌을까. 목적이 생겼기 때문일까. 대학에 갈때나 아르바이트를 하러 갈때도 목적은 있었지만, 늘 공황상태에 빠지지 않았던가. 오늘은 인파에 밀리면서도 두려움을 느끼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