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들어가는 말
2.작품 속에 나타나는 시대적 배경
3.작품의 줄거리
4. 인물분석
4-1. 이춘풍
4-2. 춘풍의 처(김씨)
4-3. 추월
5.작품분석
5-1.소설의 갈등 구조로 본 분석
5-2.두 개로 구분되는 작품 구성분석
6.작품의 성격
6-1.인물의 일상성과 사실주의적 성격
6-2.신분변동과 물질적 가치 추구 사상
6-3.가부장적 권위의 퇴조와 여성권리의 신장
7. 이춘풍전의 한계점
7-1.보수적이고 전근대적인 이념적 요소
7-2.타협적인 여성의식
8. 나오는 말
2.작품 속에 나타나는 시대적 배경
3.작품의 줄거리
4. 인물분석
4-1. 이춘풍
4-2. 춘풍의 처(김씨)
4-3. 추월
5.작품분석
5-1.소설의 갈등 구조로 본 분석
5-2.두 개로 구분되는 작품 구성분석
6.작품의 성격
6-1.인물의 일상성과 사실주의적 성격
6-2.신분변동과 물질적 가치 추구 사상
6-3.가부장적 권위의 퇴조와 여성권리의 신장
7. 이춘풍전의 한계점
7-1.보수적이고 전근대적인 이념적 요소
7-2.타협적인 여성의식
8. 나오는 말
본문내용
방법이었다. 하지만 이런 모습이 적극적이고 진취적인 여성의 모습으로 그려짐으로써 화폐상품경제사회의 폐단을 미화시키고 있다. 또한 춘풍의 아내 김씨가 회계비장이 되고, 평양감사의 권위를 등에 업고 치부하여 가는 과정은 더욱 안이한 시대의식에 머무르고 있다. 또 춘풍의 처가 추월에게서 돈을 받아내는 방식을 통하여 짐작할 수 있다. 춘풍의 아내는 관원의 위세를 이용하여 우선 추월을 붙잡아 오고, 매질하는 방식으로 사건에 접근한다. 이는 지배층이 피지배층을 억압하는 모습이다. 그리하여 피지배층인 추월은 비장의 의도한 바대로 돈을 갚겠다고 하게 된다. 이런 안이한 시대 인식의 자세에 머무름으로써 작가는 완강한 신분 사회의 질서를 용인하는 것으로 생각 할 수 있다.
7-2.타협적인 여성의식
무능력하고 무기력한 춘풍을 대신해 생계를 책임져야했던 춘풍의 처는 생존을 위해 춘풍에게 압력을 가할 수 있는 힘 있는 남성의 이미지를 빌려 남편으로부터 시대에 뒤떨어진 권위의식을 제거하고 남편을 원하던 가장의 모습으로 변모시켜야만 했던 것이다. 결국 춘풍의 아내 김씨는 여자의 힘으로 직접 삶을 개척하기보다 자신의 운명이 종속되어 있는 남편 춘풍을 통해서 삶을 개선하는 것이 현실적이라는 것을 깨닫고, 남편을 통해 소원하던 바를 이룬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춘풍에 대한 비판을 아끼지 않지만, 결국 열악한 여성들의 현실극복을 위해서는 남성의 힘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자연스럽게 토로하고 있다. 그러므로 작품을 통해 방탕한 춘풍에게 시종일관 던져지는 비판적 시각은, 결국 새 시대의 덕목을 갖춘 춘풍으로 거듭나기를 바라는 요구를 담고 있는 것이며 가부장적 사회의 지속을 위해 생산적인 가장이기를 희망하는 것이다. 이에 작품의 대단원에서 춘풍 내외는 다시 춘풍을 중심으로 건실한 가정을 이루게 된다. 결국 춘풍과 아내 김씨는 합리적인 남성의 권위가 권장되는 새로운 남성중심의 사회에 적응해가는 것이다.
8.나오는 말
<이춘풍전>은 물량적 가치관으로 변모하는 사회상 즉 조선후기의 서울과 상업도시 평양을 배경으로 춘풍과 춘풍 처 김씨 사이에 일어나는 일상적인 이야기를 다룬 작품이다. 이 작품은 소비적 향락생활로 일관하는 춘풍의 행위를 중심으로 사건이 펼쳐지며, 남편의 방탕이나 과오를 억제하거나 메워주는 춘풍 처의 활동도 주요한 기능을 하는 이야기이다. 그리고 춘풍 처가 평양기생의 사환으로 전락한 남편을 구원하는 과장에서 드러난 남편의 가부장 권위와 주색잡기의 소비적 향락 생활, 기생 추월의 이기적, 이해타산적인 인간성 문제를 근대적 지향의 의식과 가치관을 지닌 아내 김씨의 시선을 빌어서 풍자적으로 다루고 있다. 또한 <이춘풍전>은 근대적 문화양식이 널리 유행된 시대를 배경으로 하고 있으며, 현실적으로 실리적인 가치관을 지닌 일상적 인물을 채용하여 그 인물들의 삶을 사실주의적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즉 서민의 생활과 인간의 순수한 감정을 적나라하게 묘사하거나 당대 사회의 구조적 모순 및 부조리를 풍자하고 비판하는 서민 지향적근대 지향적 성격을 띠고 있는 작품으로 파악할 수 있다.
7-2.타협적인 여성의식
무능력하고 무기력한 춘풍을 대신해 생계를 책임져야했던 춘풍의 처는 생존을 위해 춘풍에게 압력을 가할 수 있는 힘 있는 남성의 이미지를 빌려 남편으로부터 시대에 뒤떨어진 권위의식을 제거하고 남편을 원하던 가장의 모습으로 변모시켜야만 했던 것이다. 결국 춘풍의 아내 김씨는 여자의 힘으로 직접 삶을 개척하기보다 자신의 운명이 종속되어 있는 남편 춘풍을 통해서 삶을 개선하는 것이 현실적이라는 것을 깨닫고, 남편을 통해 소원하던 바를 이룬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춘풍에 대한 비판을 아끼지 않지만, 결국 열악한 여성들의 현실극복을 위해서는 남성의 힘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자연스럽게 토로하고 있다. 그러므로 작품을 통해 방탕한 춘풍에게 시종일관 던져지는 비판적 시각은, 결국 새 시대의 덕목을 갖춘 춘풍으로 거듭나기를 바라는 요구를 담고 있는 것이며 가부장적 사회의 지속을 위해 생산적인 가장이기를 희망하는 것이다. 이에 작품의 대단원에서 춘풍 내외는 다시 춘풍을 중심으로 건실한 가정을 이루게 된다. 결국 춘풍과 아내 김씨는 합리적인 남성의 권위가 권장되는 새로운 남성중심의 사회에 적응해가는 것이다.
8.나오는 말
<이춘풍전>은 물량적 가치관으로 변모하는 사회상 즉 조선후기의 서울과 상업도시 평양을 배경으로 춘풍과 춘풍 처 김씨 사이에 일어나는 일상적인 이야기를 다룬 작품이다. 이 작품은 소비적 향락생활로 일관하는 춘풍의 행위를 중심으로 사건이 펼쳐지며, 남편의 방탕이나 과오를 억제하거나 메워주는 춘풍 처의 활동도 주요한 기능을 하는 이야기이다. 그리고 춘풍 처가 평양기생의 사환으로 전락한 남편을 구원하는 과장에서 드러난 남편의 가부장 권위와 주색잡기의 소비적 향락 생활, 기생 추월의 이기적, 이해타산적인 인간성 문제를 근대적 지향의 의식과 가치관을 지닌 아내 김씨의 시선을 빌어서 풍자적으로 다루고 있다. 또한 <이춘풍전>은 근대적 문화양식이 널리 유행된 시대를 배경으로 하고 있으며, 현실적으로 실리적인 가치관을 지닌 일상적 인물을 채용하여 그 인물들의 삶을 사실주의적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즉 서민의 생활과 인간의 순수한 감정을 적나라하게 묘사하거나 당대 사회의 구조적 모순 및 부조리를 풍자하고 비판하는 서민 지향적근대 지향적 성격을 띠고 있는 작품으로 파악할 수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