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문화의 이해 타이핑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제문화의 이해 타이핑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가족의 노동과 기술 공유, 친족집단의 토지 통제
집단의례의 정교화
국지적 전쟁
정치적 통제를 위한 지도자간의 복잡한 경쟁(빅맨)
위세경제(경쟁적 축제와 선물주기)
경쟁형 지도자 능력있는 지도자 빅맨
추장형 지도자 누군가의 후계자이기때문
사제형 지도자 가장 바람직한 지도자
3. 원시농경사회의 자원전쟁2 : 뉴기니 센트럴 엥가족
-부족한 자원 경쟁으로 인한 잦은 전쟁
-집단 내부의 결속, 집단 간 동맹
-뚜렷한 영역권, 출산 장려
-부계출계집단 중심의 사회적 관계 만연
-공동체의식 높음, 공동의 공간(신성한 춤마당, 숲) 보유
-여타 부계출계집단과의 위세 경쟁
-빅맨 만들기 : 달변자, 많은 지식, 중재자, 평화의 사도, 전쟁 유발자
-동맹관계의 만연 : 혼인, 선물, 음식과 희귀재 교환
-부의 과시적 경쟁을 통한 전쟁 방지 효과
3. 원시농경사회의 자원전쟁3 : kaiko 축제
-뉴기니 고지대 가장자리의 ξ바가족 ( The Tsembaga ) 14명/km2
-화전식 농경 ( slash and burn ), 오랜휴경기간, 야생식량 부족, 돼지사육
-잦은 전쟁, 살인 다반사, 치열한 전투
-Rappaport(문화유물론적 입장) : Kaiko 축제 : 토지, 인구, 전쟁이 의례체계에 연결
ξ바가족 추장이 축제를 선포하면 돼지를 도살함(지방과 단백질 보충을 위해) 이것이 Kaiko축제. 동맹부족을 초청하여 같이 축제를 벌임. 축제가 끝나고나면 전쟁이 일어남. 초청하지않은 원수부족과 전쟁. 전쟁후 돼지를 사육함(여성의 일) .이후 다시 축제를 염
8. 이스터섬의 수수께끼
-태평양의 외딴 섬
-제주도의 1/10면적, 온난한 기후, 비옥한 토양
-19세기 후반 불모의 땅
-약 2,000명 정도의 인구 거주 가능 추정
-거대한 석상과 제단
-이스터섬의 수수께끼
-구대륙 문명인들의 도래?
-외계인의 방문?
퀴즈 원시농경사회는 수렵·채집만하던 사회로 부족한 자원경쟁으로 인한 전쟁은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 ( X )
9. 이스터섬의 생활
5세기에서 7세기경부터 인간 거주 시작
13세기부터 16세기까지 석상 건립
7,000명에서 2만명의 인구 거주
야자수 중심의 아열대 숲
야자수 : 석상 운반용, 카누 제작용, 식량자원
어로 및 사냥 : 돌고래, 바다표범, 조류, 쥐
초기 이스터섬 : 비옥한 토지, 풍부한 식량과 건축 재료
번성에 따른 인구 증가
10. 이스터섬의 비극
-씨족에 기반한 집단 사이의 경쟁
-경쟁적인 석상 건립
-석상과 인구 증가 속도가 숲의 자연적 재생산 속도 추월
-개간, 화덕, 카누제작 및 건축용으로 벌목 ( 숲의 파괴 )
숲의 파괴 ( 사냥과 어로활동의 위축 토양 침식 식량자원 급감 )
닭의 사육과 식인
기존 정치체제 붕괴
인구급감, 환경파괴
이스터섬의 교훈 : 작은 지구로서 이스터섬
자신의 이해관계를 위해서 전쟁을 하다보면 망함
라파누이 : 원주민들이 이스터섬을 얘기할 때 사용하는 말
12주 3강 오래된 미래의 교훈
지속가능한 사회
보존과 개발
지속가능한 개발
원시경제와 시장경제의 논리
지속가능한 사회
-지속가능한 발전의 논리가 적용되는 사회
-지속가능한 발전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개발
-미래세대의 안락한 삶과 현대 세대의 충족
-경제성장과 생태계보존
-생태계, 생명계 유지, 생물종의 다양성 보전, 자원의 지속적 이용
2. 개발이냐? 보존이냐?
뉴타운 개발
- 도시낙후지역의 주거환경 개선
- 기반시설 확충과 도시기능 회복
- 각종 개발법의 한계 극복 : 개발 효용성 증대
- 광역적, 체계적, 계획적, 효율적 개발 추진
- 신 시가지와 구 시가지의 불균형 개선
-실재의 결과
- 소외
- 사회적 배제
- 양극화 심화
3. 개발의 영향
긍정적
- 경제적 기회 증대
- 지역 활성화
부정적 영향
- 지역공동체의 해체
- 전통의 파괴
- 개발의 불균등한 혜택에 따른 계층간 격차 심화
- 차별과 배제에 따른 사회적 갈등의 증폭
4. 지속가능한 개발 방식
개발지역민 모두에게 긍정적 효과 기대
대외자본의존을 낮춘 소규모개발 지향
개발방향에 지역민의 참여
환경파괴와 문화적 손상 방지
개발지역 전통문화보존을 위한 노력
5. 오래된 미래의 교훈
-인도 북부의 라다크지역 : 인도북부 중국과 접경 지역
-연중 대부분이 겨울인 척박한 환경의 고립된 지역
-작은 티벳 : 티벳 불교를 비롯한 티벳의 문황와 풍속 전승
-환경과 조화를 이룬 삶의 공동체
-서구문명과의 접촉으로 인한 전통적 생활문화의 파괴
-무엇이 진보(발전)인가?
6. 원시경제와 시장경제
-원시경제
- 친족에 기반, 사회, 도덕(윤리 의무). 정치적 관계와 중점
- 경제적 이해관계가 아닌 사회, 정치, 도덕적 관점에 기반
- 생계와 사회문화적 의무를 위한 생산
- 서구산업사회를 대상으로 한 경제학적 모델 적용 불가
시장경제
- 이윤추구를 위한 생산
- 경제적 효용의 극대화 모색
7. 환경을 통해 본 문화와 경제
지배의 경제학
- 물질적 풍요가 행복의 기준
- 경제행위의 합리적 결정을 통한 인간행태 이해
공존의 경제학
- 저생산체계와 느림의 철학 ( 슬로우푸드 운동 )
- 공존과 상생의 원칙이 행복의 기준
문화 > 경제인가? 문화 = 경제인가? 문화 < 경제인가?
퀴즈 원시경제는 경제적 이해관계가 아닌 사회, 정치 도덕적 관점에 기반을 두고 있다.
( O )
13주 1강 : 모던도시와 포스트모던 도시
도시화
도시문화
포스트모던 사회
모던 도시와 포스트모던 도시
도시화
인구의 집중과 지역적, 사회적 변화
도시적 요소( 제도, 생활양식, 라이프스타일)의 확산
* 촌락 -> 도시
* 도시 기능의 확산 (변두리, 교외지역)
* 도시내부지역의 도시화
1970년대 중반이 되어서야 도시인구와 농촌인구가 균형을 이루었다.
2. 도시문화
-생활양식으로서 도시성 ( Urbanism as a way of life )
-인구수, 인구밀도, 이질성의 증대에 따른 생활양식의 변화
-경쟁의 심화, 현대적 제도, 비인격화, 익명성
-직업의 분화, 전문화, 사회적 이동의 증가, 획일화
3. 포스트모던 사회 ( 융합 )
-탈산업화 · 탈공업화
-기술, 정보, 기술집약적 산업활동
-소비생활의 고도화
-건축물, 경관, 형태의 예술성 강조
-사회, 정치적 가지
  • 가격12,600
  • 페이지수31페이지
  • 등록일2013.07.14
  • 저작시기2012.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93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