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인즈학파와 고전학파의 총수요관리정책 비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케인즈학파와 고전학파의 총수요관리정책 비교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총수요관리정책의 정의
2. 고전학파의 총수요관리정책
2-1. 재정정책의 상대적 유효성
2-2. 화폐금융정책의 상대적 유효성
3. 케인즈학파의 총수요관리정책
3-1. 재정정책의 상대적 유효성
3-2. 화폐 금융정책의 상대적 유효성
4. 결론
※참고자료

본문내용

, 표면상의 가치에 경제행동을 의존하게 된다.
이 존재하지 않고 명목임금이 상하 신축적으로 움직이는 노동시장을 반영한것이다.
2-1. 재정정책의 상대적 유효성 r P
LM AS
r1
r0 → P0
IS1
IS0 AD
0 Y0 Y 0 Y0 Y
<수직의 LM곡선과 완만한 IS곡선하에서 확장적 재정정책은 이자율만 상승시킬뿐 총수요 증가효과는 없다. 따라서 AD곡선에도 영향이 없다.>
<1>
정부의 지출을 증가시켰다고 하자. 그러나 이러한 확장적 재정정책으로 IS곡선이 우측이동해도 이자율만 r0에서 r1으로 상승할 뿐 총수요 증가효과는 없다. 이것은 정부지출 증가로 인한 총수요 증가효과가 이자율 상승에 따른 민간투자의 감소로 완전히 상쇄되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고전학파 세계에서 확장적 재정정책은 완전한 구축효과로 총수요를 증가시키지 못하고, 따라서 균형국민소득도 증가시키지 못한다. 다만 총수요의 구성항목중에서 정부부문 비중을 높이고 민간부문 비중을 낮추는 효과만을 갖는다.
2-2. 화폐금융정책의 상대적 유효성
r P
LM0 LM1 AS
P1

r0 P0
AD1
AD0
Y Y
0 Y0 Y1 0 Y1 Y2
<확정적 금융정책은 LM곡선과 AD곡선을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화폐환상이 없고 임금의 신축성을 가정하는 고전학파의 경우 총공급은 물가수준에 관계없이 완전고용산출량 수준에서 결정된다. 따라서 확장적 화폐금융정책은 물가수준만 상승시키고 균형국민소득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결국 고전학파 시계에서 확장적 화폐금융정책은 물가상승만을 가져올 뿐 균형국민소득을 증가시키지는 못한다. 또한 재정정책과는 달리, 화폐금융정책 실시 이후 새로운 균형점에서 총수요의 구성항목 간 비중 변화도 없다. 이와 같이 고전학파 세계에서 통화량의 변화가 실질변수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명목변수만을 변화시키는 것을 화폐의 중립성(neutrality of money)이라고 한다.
<2>
3. 케인즈학파의 총수요관리정책
케인즈학파의 특징은 수직선 형태의 IS곡선과 수평선 형태의 LM곡선, 그리고 수평선 형태의 총공급곡선으로 표현된다. 수직의 IS곡선은 이자율에 완전 비탄력적인 투자함수를 반영한 것이고, 수평인 LM곡선은 유동성함정(liquidity trap) 유동성함정 : 유동성 함정이란 돈을 풀고 금리를를 낮춰도 투자와 소비가 늘지 않아 경기활성화가 이뤄지지 않는 상황을 말한다. 지난 1920년대 세계경제 대 공황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06.07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97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