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
Ⅱ. 본론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
1. 소설의 유형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
2. 애정 소설의 개념과 등장 배경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4
3. 애정소설의 유형과 특성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7
1) 적강 연인형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8
2) 신진 관료형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9
3) 절행 가인형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1
4) 정절 기녀형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2
4. 애정 소설의 특질과 소설사적 의의 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4
1) 애정소설의 특질 ( 유형적 차원 ) ___________________________ 14
2) 소설사적 의의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6
Ⅲ. 결론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7
Ⅳ. 참고 문헌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8
Ⅱ. 본론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
1. 소설의 유형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
2. 애정 소설의 개념과 등장 배경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4
3. 애정소설의 유형과 특성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7
1) 적강 연인형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8
2) 신진 관료형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9
3) 절행 가인형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1
4) 정절 기녀형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2
4. 애정 소설의 특질과 소설사적 의의 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4
1) 애정소설의 특질 ( 유형적 차원 ) ___________________________ 14
2) 소설사적 의의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6
Ⅲ. 결론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7
Ⅳ. 참고 문헌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8
본문내용
나누어 볼 수 있다. 남녀 주인공 가운데 보다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인물의 성격에 따라 네 가지 부류로 나누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성격적 특성에 따라 작품 각 편 역시 네 가지 작품군으로 뚜렷이 구분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주인공의 성격적 특성을 분류 기준으로 삼아 작품의 유형을 분류하기로 한다.
첫째, 남녀 주인공이 다 같이 적강이라는 특이한 출생내력을 지니는 부류로 남녀의 역할 비중이 대체로 대등하게 그려진다. 남녀가 모두 천상선인이었으나 천상 규율을 어기고 죄를 지음에 따라 지상으로 하강하여 천상에서부터 정해진 연분, 천정배필로 설정된다. 이처럼 ‘적강’이라는 출생내력과 ‘천정배필’이라는 특이한 연분을 지니므로 이들을 ‘적강연인형’이라 할 수 있다.
둘째, 주동적 역할을 하는 남주인공이 소년등과하여 요로에 진출하면서 촉망받는 관료가 되는 부류이다. 장원급제하여 관직에 나아간 주인공은 군왕과의 관계를 이용하여 전횡하는 척신세력에 대해 강한 비판의식을 지닌 인물로 그려진다. 즉, 주인공은 척신세력의 부당한 횡포에 맞서는 신진관료다운 성격적 풍모를 지닌 인물로 이런 인물들을 ‘신진관료형’이라 할 수 있다.
셋째, ‘신진관료형’과는 달리 여주인공이 보다 중심 역할을 하게 되는 부류인데 주인공은 장래를 언약한 정혼자와의 신의를 지키기 위해 연인과 결별위기에 직면하자 능동적인 자세로 자기희생적인 해결방법을 모색한다. 따라서 이 유형을 ‘절행가인형’이라 할 수 있다.
한편, 기녀형의 작품에서는 사족 출신의 남성과 천민 신분의 기녀가 남녀 주인공으로 설정되는데, 기녀인 여주인공이 보다 중심인물이 된다. 여주인공은 청루에 있지만 한결같이 드높은 절개를 고수하는 정절형 기녀로, 수령의 첩이 되는 것을 거부하고 평생을 함께할 연분을 고대하는 인물이다. 따라서 이 유형을 ‘정철기녀형’이라 할 수 있다.
이어서 본격적으로 각 유형의 실상과 특성을 살펴본다.
2) 유형의 실상과 특성
(1) 적강연인형 (謫降戀人型)
① 실상
이 유형에서는 남녀 주인공이 모두 ‘천상득죄로 인한 적강’이라는 특이한 출생내력을 지니며 대부분 명문대가의 만득자로 출생하는데, 태몽이나 해산시의 출생과정에서 적강사유와 함께 이들이 서로 천정배필임이 알려진다. 주인공들은 천상에서부터 연분이 정해진 ‘적강연인’으로 설정되며 이때의 적강화소가 작품 전체의 서사구조와 긴밀한 유기성을 갖는다. 주인공들이 혼약은 상사지정에 의한 것이나 대부분 적강시 천상에서부터 정해진 천정연분이 만남의 주된 계기가 된다는 점에서 이들의 결연형태는 ‘천정형 상사결연’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혼사장애로 인한 혼사기의 시련 역시 적강사유와 일정한 관련을 지니며 혼사기 시련을 극복하는데 결정적 계기가 되는 초경험적 현상 역시 천상인연에 의한 초월적 존재들에 의해 이루어지며, 사후 승천의 결구도 적강화소와 관련된다. 따라서 이 유형에서는 ‘적강연인’이라는 주인공들의 성격적 특성과 관련된 적강화소가 바로 유형적 변별성을 유지하는 주된 요소가 된다. 해당 작품으로는 <숙향전>, <숙영낭자전>, <백학선전>, <권익중전>, <양산백전>이 있다.
② 특성
- 일대기적 구조
이 유형의 작품에서는 주인공들의 고행상과 극복과정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데 그것은 이 유형의 작품들이 이원적 세계관을 기반으로 한 일대기적 구조로 짜여져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특성이 가장 자 드러나는 <숙향전>을 예로 들어 그 구조를 살펴보며 다음과 같다.
① 숙향과 이선의 적강출생과 초경험적 현상
- 숙향의 적강출생과 숙향과의 연분계시
- 이선의 적강출생과 숙향과의 연분계시
② 양인의 성장기 시련 및 결연기 구혼고행과 초경험적 현상
- 숙향의 성장기 시련과 초경험적 현상-선몽체험에 의한 연분감지
- 이선의 선몽체험에 의한 연분감지- 결연기 구혼고행과 초경험적 현상
③ 양인의 만남과 혼사 (천정형 상사결연)
- 이선의 구혼과 혼약
- 이선 고모의 주혼과 행례
④ 혼사장애로 인한 결별위기(혼사기 시련)와 초경험적 현상
- 부친의 혼사장애와 친자갈등
- 숙향의 고통과 초경험적 현상
- 양왕의 혼사장애와 늑혼갈등
- 이선의 선계고행과 초경험적 현상
⑤ 위기의 극복과 합근
- 부모의 천정연분 인지와 혼사 용납
- 이선의 장원급제와 제회
- 공주와의 천상연분 인지
- 이선의 귀환과 삼인 합근
⑥ 애정생활과 향복
⑦ 사후 승천과 초경험적 현상
여기서 보듯이 이 작품은 숙향과 이선의 결연과정이 일대기적 구조에 의해 전개된다. ‘적강출생-성장기 시련과 결연기 구혼고행-만남과 혼사-혼사장애와 결별위기-위기극복과 합근-애정생활과 향복-사후 승천’과 같은 일대기적 삶의 행로에 따라 사건이 전개된다.
<숙영낭자>전과 <백학선전>의 경우에도 각기 숙영과 선군, 은하와 백로의 결연과정이 일대기적 구조에 의해 전개된다. 이들 작품에서는 ‘적강출생-만남과 혼사-혼사장애와 결별위기-위기극복과 재회-애정생활과 향복-사후승천’과 같은 일대기적 삶의 행로에 따라 전개된다. 또한 <권익중전>과 <양산백전>에서도 역시 춘화와 익증, 양대와 산백의 결연과정이 일대기적 구조에 의해 그려진다.
작품에 따라 구체적인 사건 전개과정은 약간의 차이를 지닐 수 있으나, 이 유형의 작품들은 공통적으로 남녀 주인공의 결연과정을 그리고 있으며, 주인공들의 출생에서부터 사후 승천하기까지의 일대기적 삶의 행로에 따라 사건이 전개되는 일대기적 구조를 지니고 있다.
- 이원적 세계관
앞서 살펴본 일대기적 구조로 전개되는 삶의 행로는 이원적 세계관을 기반으로 하는 것이 특징인데 이 세계는 천상선인들이 거주하는 천상계와 인간이 거주하는 지상계로 구성되며 천상계의 옥황상제가 이 세계를 주관한다. 여기는 이원적 세계관을 토대로 하고 있다. 이 세계관에 의하면 인간의 운명은 옥황상제의 명에 의해 결정되며 현실계의 삶은 태어나면서부터 이미 정해진 운명에 따라 전개되는 것이다. 이 유형에서 나타나는 주인공들의 일대기적 삶은 바로 이러한 이원적 세계관에 의해 출생 시부터 정해진 운명에 따라 전개되고 있다. 그 전형적인 예가 <숙향전>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 ... 어졔 부와이 옥경의 조회 옥졔 말을 듯오니 쇼 텬상의 득죄여 김젼의 집의
첫째, 남녀 주인공이 다 같이 적강이라는 특이한 출생내력을 지니는 부류로 남녀의 역할 비중이 대체로 대등하게 그려진다. 남녀가 모두 천상선인이었으나 천상 규율을 어기고 죄를 지음에 따라 지상으로 하강하여 천상에서부터 정해진 연분, 천정배필로 설정된다. 이처럼 ‘적강’이라는 출생내력과 ‘천정배필’이라는 특이한 연분을 지니므로 이들을 ‘적강연인형’이라 할 수 있다.
둘째, 주동적 역할을 하는 남주인공이 소년등과하여 요로에 진출하면서 촉망받는 관료가 되는 부류이다. 장원급제하여 관직에 나아간 주인공은 군왕과의 관계를 이용하여 전횡하는 척신세력에 대해 강한 비판의식을 지닌 인물로 그려진다. 즉, 주인공은 척신세력의 부당한 횡포에 맞서는 신진관료다운 성격적 풍모를 지닌 인물로 이런 인물들을 ‘신진관료형’이라 할 수 있다.
셋째, ‘신진관료형’과는 달리 여주인공이 보다 중심 역할을 하게 되는 부류인데 주인공은 장래를 언약한 정혼자와의 신의를 지키기 위해 연인과 결별위기에 직면하자 능동적인 자세로 자기희생적인 해결방법을 모색한다. 따라서 이 유형을 ‘절행가인형’이라 할 수 있다.
한편, 기녀형의 작품에서는 사족 출신의 남성과 천민 신분의 기녀가 남녀 주인공으로 설정되는데, 기녀인 여주인공이 보다 중심인물이 된다. 여주인공은 청루에 있지만 한결같이 드높은 절개를 고수하는 정절형 기녀로, 수령의 첩이 되는 것을 거부하고 평생을 함께할 연분을 고대하는 인물이다. 따라서 이 유형을 ‘정철기녀형’이라 할 수 있다.
이어서 본격적으로 각 유형의 실상과 특성을 살펴본다.
2) 유형의 실상과 특성
(1) 적강연인형 (謫降戀人型)
① 실상
이 유형에서는 남녀 주인공이 모두 ‘천상득죄로 인한 적강’이라는 특이한 출생내력을 지니며 대부분 명문대가의 만득자로 출생하는데, 태몽이나 해산시의 출생과정에서 적강사유와 함께 이들이 서로 천정배필임이 알려진다. 주인공들은 천상에서부터 연분이 정해진 ‘적강연인’으로 설정되며 이때의 적강화소가 작품 전체의 서사구조와 긴밀한 유기성을 갖는다. 주인공들이 혼약은 상사지정에 의한 것이나 대부분 적강시 천상에서부터 정해진 천정연분이 만남의 주된 계기가 된다는 점에서 이들의 결연형태는 ‘천정형 상사결연’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혼사장애로 인한 혼사기의 시련 역시 적강사유와 일정한 관련을 지니며 혼사기 시련을 극복하는데 결정적 계기가 되는 초경험적 현상 역시 천상인연에 의한 초월적 존재들에 의해 이루어지며, 사후 승천의 결구도 적강화소와 관련된다. 따라서 이 유형에서는 ‘적강연인’이라는 주인공들의 성격적 특성과 관련된 적강화소가 바로 유형적 변별성을 유지하는 주된 요소가 된다. 해당 작품으로는 <숙향전>, <숙영낭자전>, <백학선전>, <권익중전>, <양산백전>이 있다.
② 특성
- 일대기적 구조
이 유형의 작품에서는 주인공들의 고행상과 극복과정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데 그것은 이 유형의 작품들이 이원적 세계관을 기반으로 한 일대기적 구조로 짜여져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특성이 가장 자 드러나는 <숙향전>을 예로 들어 그 구조를 살펴보며 다음과 같다.
① 숙향과 이선의 적강출생과 초경험적 현상
- 숙향의 적강출생과 숙향과의 연분계시
- 이선의 적강출생과 숙향과의 연분계시
② 양인의 성장기 시련 및 결연기 구혼고행과 초경험적 현상
- 숙향의 성장기 시련과 초경험적 현상-선몽체험에 의한 연분감지
- 이선의 선몽체험에 의한 연분감지- 결연기 구혼고행과 초경험적 현상
③ 양인의 만남과 혼사 (천정형 상사결연)
- 이선의 구혼과 혼약
- 이선 고모의 주혼과 행례
④ 혼사장애로 인한 결별위기(혼사기 시련)와 초경험적 현상
- 부친의 혼사장애와 친자갈등
- 숙향의 고통과 초경험적 현상
- 양왕의 혼사장애와 늑혼갈등
- 이선의 선계고행과 초경험적 현상
⑤ 위기의 극복과 합근
- 부모의 천정연분 인지와 혼사 용납
- 이선의 장원급제와 제회
- 공주와의 천상연분 인지
- 이선의 귀환과 삼인 합근
⑥ 애정생활과 향복
⑦ 사후 승천과 초경험적 현상
여기서 보듯이 이 작품은 숙향과 이선의 결연과정이 일대기적 구조에 의해 전개된다. ‘적강출생-성장기 시련과 결연기 구혼고행-만남과 혼사-혼사장애와 결별위기-위기극복과 합근-애정생활과 향복-사후 승천’과 같은 일대기적 삶의 행로에 따라 사건이 전개된다.
<숙영낭자>전과 <백학선전>의 경우에도 각기 숙영과 선군, 은하와 백로의 결연과정이 일대기적 구조에 의해 전개된다. 이들 작품에서는 ‘적강출생-만남과 혼사-혼사장애와 결별위기-위기극복과 재회-애정생활과 향복-사후승천’과 같은 일대기적 삶의 행로에 따라 전개된다. 또한 <권익중전>과 <양산백전>에서도 역시 춘화와 익증, 양대와 산백의 결연과정이 일대기적 구조에 의해 그려진다.
작품에 따라 구체적인 사건 전개과정은 약간의 차이를 지닐 수 있으나, 이 유형의 작품들은 공통적으로 남녀 주인공의 결연과정을 그리고 있으며, 주인공들의 출생에서부터 사후 승천하기까지의 일대기적 삶의 행로에 따라 사건이 전개되는 일대기적 구조를 지니고 있다.
- 이원적 세계관
앞서 살펴본 일대기적 구조로 전개되는 삶의 행로는 이원적 세계관을 기반으로 하는 것이 특징인데 이 세계는 천상선인들이 거주하는 천상계와 인간이 거주하는 지상계로 구성되며 천상계의 옥황상제가 이 세계를 주관한다. 여기는 이원적 세계관을 토대로 하고 있다. 이 세계관에 의하면 인간의 운명은 옥황상제의 명에 의해 결정되며 현실계의 삶은 태어나면서부터 이미 정해진 운명에 따라 전개되는 것이다. 이 유형에서 나타나는 주인공들의 일대기적 삶은 바로 이러한 이원적 세계관에 의해 출생 시부터 정해진 운명에 따라 전개되고 있다. 그 전형적인 예가 <숙향전>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 ... 어졔 부와이 옥경의 조회 옥졔 말을 듯오니 쇼 텬상의 득죄여 김젼의 집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