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서양문화와 헬레니즘문화
1. 헬레니즘 문화
2. 상업과 교역의 발달
3. 알렉산드리아
4. 헬레니즘 사상
1) 에피쿠로스 파
2) 스토아 파
Ⅲ. 서양문화와 르네상스문화
1. 인간의 존엄성
2. 영혼의 불멸성
3. 진리의 조화성
Ⅳ. 서양문화와 주거문화
1. 고대주거
1) 고대근동
2) 고대 이집트
3) 고대 아시아
2. 중세주거
1) 봉건제도와 가족생활
2) 성장하는 도시와 변화하는 가족생활
3. 르네상스의 주거
4. 근대와 현대주거
Ⅴ. 서양문화와 술문화(음주문화)
Ⅵ. 서양문화의 교류
참고문헌
Ⅱ. 서양문화와 헬레니즘문화
1. 헬레니즘 문화
2. 상업과 교역의 발달
3. 알렉산드리아
4. 헬레니즘 사상
1) 에피쿠로스 파
2) 스토아 파
Ⅲ. 서양문화와 르네상스문화
1. 인간의 존엄성
2. 영혼의 불멸성
3. 진리의 조화성
Ⅳ. 서양문화와 주거문화
1. 고대주거
1) 고대근동
2) 고대 이집트
3) 고대 아시아
2. 중세주거
1) 봉건제도와 가족생활
2) 성장하는 도시와 변화하는 가족생활
3. 르네상스의 주거
4. 근대와 현대주거
Ⅴ. 서양문화와 술문화(음주문화)
Ⅵ. 서양문화의 교류
참고문헌
본문내용
고 마루 중앙에는 개방된 爐가 있었다. 벽난로의 발명과 함께 굴뚝이 내화재료로 만들어 지고 연기가 집 내부에서 빠져 나갈 수 있게 되었다.
중세 도시주택은 조악했으나 16세기에 들어서면서부터 성장계급인 상인과 숙련된 장인들이 정교한 주택을 지었다.
3. 르네상스의 주거
르네상스는 전통적 그리스, 로마의 이상과 형태로의 의식적인 복귀를 반영하고 있으며, 이 시기의 주요인물인 팔라디오는 기둥, 돔, 중정을 서로 다른 크기로 대담하고 질서 있게 배치하는 팔라디안 스타일이라고 부르는 디자인 원리를 창조했다.
르네상스의 형식성이 나중에는 모든 예술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데 이것이 바로 바로크 스타일이다. 좀 더 후에는 환상적이고 장식성이 있으면서 자유롭고 비대칭적인 경향이 나타나고 이를 로코코 스타일 이라고 부른다.
중세주택의 형태를 가장 급격히 변화시킨 것은 프라이버시에 대한 감각의 발달이었다. 결과적으로 사람들은 미분화된 방에서 공유하던 일상생활에서 빠져나와 먹고, 자고 목욕하고 경배하고 프라이버시가 있는 가운데 은밀한 생활의 영위가 가능하게 되었다. 우선 가정 내부의 기능을 분리하여 안락함과 프라이버시를 주어 집이 새로운 정서와 감수성을 갖게 되었다.
4. 근대와 현대주거
19세기 말에 이르러 오늘날의 주택과 같은 건축과 디자인으로의 진화가 시작되었고 20세기 초 중요한 전환점을 맞게 된 이후 계속 발전되고 다듬어 졌다. 19세기 후반과 20세기의 주거양식은 목표와 성취에 있어서 많은 다양성을 보이기 때문에 요약하기가 쉽지 않다. 그러나 건축과 가구는 산업에 의해 소개된 재료와 방법을 십분 이용하였고 기능, 재료, 축조과정의 표현을 뚜렷이 하는 심미적인 원리가 있었으며, 개인적 스타일 창조도 상당히 활발하였다.
현대주거공간에 이르는 가장 중요한 혁신은 개방형 평면으로 나타나는데, 공간의 흐름에 대한 해석을 중요시하며 내부공간의 상호 관입효과를 위해 네모난 상자와 같은 공간을 거부했다. 철, 강철, 콘크리트 등의 새로운 재료의 강도가 구조적 지지를 해 줌 으로써 내부공간을 위한 디자인 장치와 구분되었고, 중앙난방시스템이 발달됨으로써 폐쇄형 평면으로 열을 방안에 가두어 두기 위해 공간을 밀폐할 필요성을 제거하였으므로 공간구성을 아이디어에 따라 자유롭게 할 수 있었다.
Ⅴ. 서양문화와 술문화(음주문화)
서양 사람들은 첫잔을 권하기 전에 꼭 뭘 마실 거냐고 물어보고, 다음부터는 자기가 따라 마신다. 술집에는 라운드(Round)방식이 있는데 몇 명이 라운드에 들면 차례대로 한 사람씩 각 사람들이 원하는 술을 잔술로 사는 것이다.
서양인들은 술의 색깔, 향, 맛을 음미하고 부드럽게 올라오는 취기를 느끼며 오감의 즐거움을 만끽한다.
음주는 그들의 생활 속에 깊이 녹아 따로 떼어 낼 수 없는 부분으로 자리 잡고 있다.
멕시코인들은 원샷(one shot) 음주문화의 원조라 해도 무방할 정도로 술을 급히 마신다. 손등에 레몬즙을 바르고 거기에 소금을 뿌린 다음 테킬라를 한 모금 마시고 안주대신 소금을 핥아먹는다. 테킬라에 누에 비슷하게 생긴 벌레 한 마리를 넣어서 마시는 것이 있다. 대개 그 벌레는 병의 바닥에 가라앉아 있다가 마지막 잔을 따를 때 따라 나오는데 그 벌레를 먹으면 행운이 있다는 얘기가 있다.
Ⅵ. 서양문화의 교류
몽골제국이 단명하여 마르코 폴로가 귀국할 때는 이미 육로가 두절되어 해상통로를 이용하였다. 중국에서 원(元)나라가 무너지고 명(明)나라가 등장하자 남해로 향한 진출은 역사상 최대규모로 시도되었다. 명나라 영락제(永樂帝) 때부터 시작된 정화(鄭和)의 해상 원정대는 전후 7회에 걸쳐 자바 ·인도 ·페르시아 ·아라비아에서부터 멀리 아프리카 동안의 마다가스카르까지 진출하였다.
15세기 말에는 콜럼버스의 아메리카대륙 발견에 뒤이은 바스코 다 가마의 희망봉 발견으로 몽골제국 붕괴에 따른 동서교통의 두절이 해상통로를 통해 연결되었다. 16세기 이후 명나라 말 청나라 초에는 마테오 리치가 중국에 그리스도교와 서양학술을 전하였다. 특히 명나라 말기에는 독일인 아담 샬이 제조한 대포로 청나라에 대항하기도 했는데, 18세기 이후의 동서교섭은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즉, 지금까지 오랫동안 몽골의 지배 하에 있던 러시아가 동진을 계속하여 청과 북쪽의 국경을 접하게 되어 1689년에는 청과 네르친스크조약을 체결하고, 청나라는 계속해서 영국 ·네덜란드 등과 조약을 맺었다.
그 후 중국인은 차차 밀려오는 서양의 세력과 필사적인 투쟁을 하고, 1842년의 아편전쟁 후로는 중국 이외의 모든 문화를 멸시하던 ‘중화사상(中華思想)’의 자존심이 뿌리째 흔들리게 되었다. 그들은 서양에 중국을 능가하는 무력 이외에도 제도 ·도덕 ·학문 ·예술 ·기술이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게 되었다. 아편전쟁 이후 체결된 영국과의 난징조약[南京條約]으로 중국은 처음으로 외국, 즉 오랑캐의 나라와 대등한 관계를 인정하고, 항구를 개방해야만 되었다.
1850년에 일어난 태평천국(太平天國)의 난은 그 자체의 성공이나 실패 여부보다는 그리스도교라는 외래사상이 그 지도이념이 되었다는 데 의의가 크다. 청나라의 멸망은 중국 역사상 왕조의 교체라는 의미 이상으로 수천 년을 이어온 중국전통의 대시련이었다는 점에서 간과할 수 없다. 청나라 말기 이후 동서교섭사는 고대나 중세에 볼 수 없었던 동양에 대한 서양의 우월에서 온 압력이라는 형태를 취하였다. 이제는 ‘중화(中華)’와 ‘이적(夷狄)’의 구별이나 동서의 구분도 점점 희박해져 세계 일체시대로 향하고 있다. 이것이 오늘날까지 계속되어온 동서교섭사의 현 위치이다.
참고문헌
류정아(1993), 이탈리아의 르네상스문화에서 보이는 부르크하르트의 역사인식, 전남대학교
박명석(2000), 세계화와 동·서양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태학사
박다니엘(2009), 하스몬 왕조의 헬레니즘화 정책 : 헬레니즘 문화 수용과 유대 종교 전통의 고수, 전남대학교
조셉 스트레이어 외 1 명(2008), 서양문화의 뿌리를 찾아서,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정갑영(1994), 문화 르네상스 시대의 문화의 의미, 한국인문사회과학회
한동구(2003), 헬레니즘이 유대문화에 미친 영향, 한국인문사회과학회
중세 도시주택은 조악했으나 16세기에 들어서면서부터 성장계급인 상인과 숙련된 장인들이 정교한 주택을 지었다.
3. 르네상스의 주거
르네상스는 전통적 그리스, 로마의 이상과 형태로의 의식적인 복귀를 반영하고 있으며, 이 시기의 주요인물인 팔라디오는 기둥, 돔, 중정을 서로 다른 크기로 대담하고 질서 있게 배치하는 팔라디안 스타일이라고 부르는 디자인 원리를 창조했다.
르네상스의 형식성이 나중에는 모든 예술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데 이것이 바로 바로크 스타일이다. 좀 더 후에는 환상적이고 장식성이 있으면서 자유롭고 비대칭적인 경향이 나타나고 이를 로코코 스타일 이라고 부른다.
중세주택의 형태를 가장 급격히 변화시킨 것은 프라이버시에 대한 감각의 발달이었다. 결과적으로 사람들은 미분화된 방에서 공유하던 일상생활에서 빠져나와 먹고, 자고 목욕하고 경배하고 프라이버시가 있는 가운데 은밀한 생활의 영위가 가능하게 되었다. 우선 가정 내부의 기능을 분리하여 안락함과 프라이버시를 주어 집이 새로운 정서와 감수성을 갖게 되었다.
4. 근대와 현대주거
19세기 말에 이르러 오늘날의 주택과 같은 건축과 디자인으로의 진화가 시작되었고 20세기 초 중요한 전환점을 맞게 된 이후 계속 발전되고 다듬어 졌다. 19세기 후반과 20세기의 주거양식은 목표와 성취에 있어서 많은 다양성을 보이기 때문에 요약하기가 쉽지 않다. 그러나 건축과 가구는 산업에 의해 소개된 재료와 방법을 십분 이용하였고 기능, 재료, 축조과정의 표현을 뚜렷이 하는 심미적인 원리가 있었으며, 개인적 스타일 창조도 상당히 활발하였다.
현대주거공간에 이르는 가장 중요한 혁신은 개방형 평면으로 나타나는데, 공간의 흐름에 대한 해석을 중요시하며 내부공간의 상호 관입효과를 위해 네모난 상자와 같은 공간을 거부했다. 철, 강철, 콘크리트 등의 새로운 재료의 강도가 구조적 지지를 해 줌 으로써 내부공간을 위한 디자인 장치와 구분되었고, 중앙난방시스템이 발달됨으로써 폐쇄형 평면으로 열을 방안에 가두어 두기 위해 공간을 밀폐할 필요성을 제거하였으므로 공간구성을 아이디어에 따라 자유롭게 할 수 있었다.
Ⅴ. 서양문화와 술문화(음주문화)
서양 사람들은 첫잔을 권하기 전에 꼭 뭘 마실 거냐고 물어보고, 다음부터는 자기가 따라 마신다. 술집에는 라운드(Round)방식이 있는데 몇 명이 라운드에 들면 차례대로 한 사람씩 각 사람들이 원하는 술을 잔술로 사는 것이다.
서양인들은 술의 색깔, 향, 맛을 음미하고 부드럽게 올라오는 취기를 느끼며 오감의 즐거움을 만끽한다.
음주는 그들의 생활 속에 깊이 녹아 따로 떼어 낼 수 없는 부분으로 자리 잡고 있다.
멕시코인들은 원샷(one shot) 음주문화의 원조라 해도 무방할 정도로 술을 급히 마신다. 손등에 레몬즙을 바르고 거기에 소금을 뿌린 다음 테킬라를 한 모금 마시고 안주대신 소금을 핥아먹는다. 테킬라에 누에 비슷하게 생긴 벌레 한 마리를 넣어서 마시는 것이 있다. 대개 그 벌레는 병의 바닥에 가라앉아 있다가 마지막 잔을 따를 때 따라 나오는데 그 벌레를 먹으면 행운이 있다는 얘기가 있다.
Ⅵ. 서양문화의 교류
몽골제국이 단명하여 마르코 폴로가 귀국할 때는 이미 육로가 두절되어 해상통로를 이용하였다. 중국에서 원(元)나라가 무너지고 명(明)나라가 등장하자 남해로 향한 진출은 역사상 최대규모로 시도되었다. 명나라 영락제(永樂帝) 때부터 시작된 정화(鄭和)의 해상 원정대는 전후 7회에 걸쳐 자바 ·인도 ·페르시아 ·아라비아에서부터 멀리 아프리카 동안의 마다가스카르까지 진출하였다.
15세기 말에는 콜럼버스의 아메리카대륙 발견에 뒤이은 바스코 다 가마의 희망봉 발견으로 몽골제국 붕괴에 따른 동서교통의 두절이 해상통로를 통해 연결되었다. 16세기 이후 명나라 말 청나라 초에는 마테오 리치가 중국에 그리스도교와 서양학술을 전하였다. 특히 명나라 말기에는 독일인 아담 샬이 제조한 대포로 청나라에 대항하기도 했는데, 18세기 이후의 동서교섭은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즉, 지금까지 오랫동안 몽골의 지배 하에 있던 러시아가 동진을 계속하여 청과 북쪽의 국경을 접하게 되어 1689년에는 청과 네르친스크조약을 체결하고, 청나라는 계속해서 영국 ·네덜란드 등과 조약을 맺었다.
그 후 중국인은 차차 밀려오는 서양의 세력과 필사적인 투쟁을 하고, 1842년의 아편전쟁 후로는 중국 이외의 모든 문화를 멸시하던 ‘중화사상(中華思想)’의 자존심이 뿌리째 흔들리게 되었다. 그들은 서양에 중국을 능가하는 무력 이외에도 제도 ·도덕 ·학문 ·예술 ·기술이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게 되었다. 아편전쟁 이후 체결된 영국과의 난징조약[南京條約]으로 중국은 처음으로 외국, 즉 오랑캐의 나라와 대등한 관계를 인정하고, 항구를 개방해야만 되었다.
1850년에 일어난 태평천국(太平天國)의 난은 그 자체의 성공이나 실패 여부보다는 그리스도교라는 외래사상이 그 지도이념이 되었다는 데 의의가 크다. 청나라의 멸망은 중국 역사상 왕조의 교체라는 의미 이상으로 수천 년을 이어온 중국전통의 대시련이었다는 점에서 간과할 수 없다. 청나라 말기 이후 동서교섭사는 고대나 중세에 볼 수 없었던 동양에 대한 서양의 우월에서 온 압력이라는 형태를 취하였다. 이제는 ‘중화(中華)’와 ‘이적(夷狄)’의 구별이나 동서의 구분도 점점 희박해져 세계 일체시대로 향하고 있다. 이것이 오늘날까지 계속되어온 동서교섭사의 현 위치이다.
참고문헌
류정아(1993), 이탈리아의 르네상스문화에서 보이는 부르크하르트의 역사인식, 전남대학교
박명석(2000), 세계화와 동·서양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태학사
박다니엘(2009), 하스몬 왕조의 헬레니즘화 정책 : 헬레니즘 문화 수용과 유대 종교 전통의 고수, 전남대학교
조셉 스트레이어 외 1 명(2008), 서양문화의 뿌리를 찾아서,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정갑영(1994), 문화 르네상스 시대의 문화의 의미, 한국인문사회과학회
한동구(2003), 헬레니즘이 유대문화에 미친 영향, 한국인문사회과학회
추천자료
르네상스 문체론의 발달과 궁정문화
강동선사문화축제를 다녀와서
[일본 문화와 이해 발표 자료] 일본의 주거 문화
[이탈리아][이탈리아문화][이탈리아의 주요도시][이탈리아의 건축][이탈리아의 교육제도][이...
[북한문화][북한 주거형태][북한 명절][북한 민속놀이][북한 교육기관][북한 교육행정][북한 ...
[홍콩]홍콩의 기본정보, 홍콩의 경제, 홍콩의 공공주거, 홍콩의 대중국투자, 홍콩의 영화산업...
르네상스 예술과 문화
인간과 주거 문화
유럽문화와사회 - 유럽미술사(르네상스고전주의~사실주의)
이탈리아 르네상스 문화
영국의 주거 문화
서양건축사 르네상스(Renaissance) 건축 - 14∼6세기에 서유럽 문명사에 나타난 문화운동.pptx
다문화 사회의 이해 - 북한이탈주민(北韓離脫住民)에 대한 제도적 고찰 {초기 정착금 지급제...
(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 최우수 독후감 선정 : 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 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