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언어유희의 정의
Ⅲ. 언어유희의 유형
1. 음운적 유형
2. 문법적 유형
3. 어휘적 유형
4. 의미적 유형
5. 기호․문자적 유형
Ⅳ. 언어유희와 덩달이시리즈
Ⅴ. 언어유희와 헤르만헤세
Ⅵ. 결론
참고문헌
Ⅱ. 언어유희의 정의
Ⅲ. 언어유희의 유형
1. 음운적 유형
2. 문법적 유형
3. 어휘적 유형
4. 의미적 유형
5. 기호․문자적 유형
Ⅳ. 언어유희와 덩달이시리즈
Ⅴ. 언어유희와 헤르만헤세
Ⅵ.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언어유희의 정의, 언어유희의 유형, 언어유희와 덩달이시리즈, 언어유희와 헤르만헤세 분석
Ⅰ. 서론
Ⅱ. 언어유희의 정의
Ⅲ. 언어유희의 유형
1. 음운적 유형
2. 문법적 유형
3. 어휘적 유형
4. 의미적 유형
5. 기호문자적 유형
Ⅳ. 언어유희와 덩달이시리즈
Ⅴ. 언어유희와 헤르만헤세
Ⅵ. 결론
참고문헌
Ⅰ. 서론
한 걸음 나아가 언어의 이해는 언어와 관련한 지식뿐 아니라 일반 지식과도 무관한 것으로 본 성현들의 말은 귀담아 들을 필요가 있다. 우리 사회의 언어는 지식이 많고 권력과 재력이 있는 소위 지도층일수록 깊이 병들어 있고, 반대로 배우지 못하고 가진 것 없는 소시민 사회에서 그런대로 건강을 유지하고 있는 현상을 우리는 목격하고 있다. 사회적으로 영향력이 큰 말일수록 부패한 정도가 심한 현상은 우리를 더욱 당황하게 한다. 말을 듣는 데에도 지식은 도움이 되기보다는 장애가 되기 쉽다. 지식은 편견을 만들어 빗나가게 하기 때문이다. 일견 이는 모순처럼 들리나, 요즘 정계에서 여야 간에 시비하는 것을 보든지, 학자들의 토론 장면을 상상해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옛날에도 예수의 말을 제대로 이해한 것은 어부나 농부 목수 등 지식과는 무관한 사람들이었다. 위대한 스승들은 자연스러움에 대해 말하였을 뿐이나 학식이 풍부한 사람들은 자신을 규율하는 것으로 해석하고 그 말들을 기억하려 한다. 그러나 참으로 수용적인 사람은 그들이 말한 내용을 기억하지 못할는지는 모르지만 그가 말한 바를 이해할 것이며, 그 말이 그의 지식에는 나타나지 않을지도 모르지만 그의 삶에는 분명히 나타날 것이다.
진실한 언어를 이해하는 데는 특별히 어떠한 지식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이는 아름다운 것이다. 오늘날 우리 사회의 언어 생활이 이토록 타락한 것은 잡다한 지식이 넘쳐나고 사람들이 머리 속에서 이러한 지식을 남용하는 데서 그 원인을 찾아볼 수도 있을 듯하다. 이제 우리는 언어 사용 방식이 너무 형식 일변도로 기울어진 데 대해서 회의와 위기 의식을 느끼면서 선인들의 언어관에서 다른 일면의 아름다움과 슬기를 살펴 보고자 한다. 이들은 물론 비현실적으로 비칠 수도 있을 듯하나, 이 시대의 언어 공해에 대하여 반성하고 그 극복을 위한 조그만 암시라도 받을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Ⅱ. 언어유희의 정의
언어유희(言語遊戱)란 말이나 글자를 소재로 하여 재미있는 말을 만들어 즐기는 놀이이다. 쉽게 말해 말장난이라고 할 수 있다. 그 종류는 크게 음성에 의한 것과 문자에 의한 것의 두 가지가 있는데, 대표적인 예를 다음에서 살펴 보기로 하자.
우선 아크로스틱(acrostic)이 있다. 아크로스틱은 각행의 첫 글자나 처음과 끝의 글자를 모으면 일정한 단어나 어구, 또는 시의 제목이나 사람의 이름이 되는 유희시를 말한다. 우리가 보통 자신의 이름을 소재로 많이 짓는 삼행시 같은 것도 여기에 속하며, 좌우 어느 쪽에서 읽어도 의미가 통하도록 되어 있는‘언어의 마방진’도 아크로스틱에 속한다.
두 번째로 언어유희 중에 회문이라는 것이 있다. 회문은 앞에서부터 읽거나 뒤에서부터 거꾸로 읽거나 같은 음, 같은 의미가 되는 어구 또는 문장을 말하며 펠린드롬(palindrome)이라고도 한다.
대표적인 예로써 ‘다시 합창 합시다’가 있다. 영어로 된 것도 상당수 있는데, \'Madam, I\'m Adam\',\'Live not evil\',\'Nane no one man\'등의 문장과 ‘eye\',level\'등이 그것이다.
세 번째로 어구속의 문자를 바꾸어 놓음으로써 새로운 뜻을 가진 어구를 만드는 놀이로 애너그램(anagram)이 있다.
예를 들어, ‘priest → stripe → sprite → ripest → esprit’가 애너그램이다.
네 번째로 음향시가 있는데, 우리나라 민요의 ‘메기는 소리’가 그에 속한다.
다섯 번째로 중의법 놀이라고 하는 것이 있는데, 동음이의를 이용한 말에 2 가지 뜻을 담기게 하는 작시법 또는 이를 이용한 말장난을 의미한다.
Ⅲ. 언어유희의 유형
1. 음운적 유형
음운적인 유형은 언어유희를 나누는 데 있어서 일차적으로 말소리의 유사성 또는 동음유음(類音)반복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 음운적인 유형의 말소리 유사성을 측정하는 데에는 국어 내에서의 음소체계를 전제로 두고 있다.
(1)가.a. 간장공장 공장장은 장공장장이고, 공공장 공장장은 공공장장이다.
b. 지붕 위의 콩깍지는 깐 콩깍지인가, 안 깐 콩깍지인가?
나. 삭톡끽 톡끽약 억딕록 각늑냑? 깍촉깍촉
Ⅰ. 서론
Ⅱ. 언어유희의 정의
Ⅲ. 언어유희의 유형
1. 음운적 유형
2. 문법적 유형
3. 어휘적 유형
4. 의미적 유형
5. 기호문자적 유형
Ⅳ. 언어유희와 덩달이시리즈
Ⅴ. 언어유희와 헤르만헤세
Ⅵ. 결론
참고문헌
Ⅰ. 서론
한 걸음 나아가 언어의 이해는 언어와 관련한 지식뿐 아니라 일반 지식과도 무관한 것으로 본 성현들의 말은 귀담아 들을 필요가 있다. 우리 사회의 언어는 지식이 많고 권력과 재력이 있는 소위 지도층일수록 깊이 병들어 있고, 반대로 배우지 못하고 가진 것 없는 소시민 사회에서 그런대로 건강을 유지하고 있는 현상을 우리는 목격하고 있다. 사회적으로 영향력이 큰 말일수록 부패한 정도가 심한 현상은 우리를 더욱 당황하게 한다. 말을 듣는 데에도 지식은 도움이 되기보다는 장애가 되기 쉽다. 지식은 편견을 만들어 빗나가게 하기 때문이다. 일견 이는 모순처럼 들리나, 요즘 정계에서 여야 간에 시비하는 것을 보든지, 학자들의 토론 장면을 상상해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옛날에도 예수의 말을 제대로 이해한 것은 어부나 농부 목수 등 지식과는 무관한 사람들이었다. 위대한 스승들은 자연스러움에 대해 말하였을 뿐이나 학식이 풍부한 사람들은 자신을 규율하는 것으로 해석하고 그 말들을 기억하려 한다. 그러나 참으로 수용적인 사람은 그들이 말한 내용을 기억하지 못할는지는 모르지만 그가 말한 바를 이해할 것이며, 그 말이 그의 지식에는 나타나지 않을지도 모르지만 그의 삶에는 분명히 나타날 것이다.
진실한 언어를 이해하는 데는 특별히 어떠한 지식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이는 아름다운 것이다. 오늘날 우리 사회의 언어 생활이 이토록 타락한 것은 잡다한 지식이 넘쳐나고 사람들이 머리 속에서 이러한 지식을 남용하는 데서 그 원인을 찾아볼 수도 있을 듯하다. 이제 우리는 언어 사용 방식이 너무 형식 일변도로 기울어진 데 대해서 회의와 위기 의식을 느끼면서 선인들의 언어관에서 다른 일면의 아름다움과 슬기를 살펴 보고자 한다. 이들은 물론 비현실적으로 비칠 수도 있을 듯하나, 이 시대의 언어 공해에 대하여 반성하고 그 극복을 위한 조그만 암시라도 받을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Ⅱ. 언어유희의 정의
언어유희(言語遊戱)란 말이나 글자를 소재로 하여 재미있는 말을 만들어 즐기는 놀이이다. 쉽게 말해 말장난이라고 할 수 있다. 그 종류는 크게 음성에 의한 것과 문자에 의한 것의 두 가지가 있는데, 대표적인 예를 다음에서 살펴 보기로 하자.
우선 아크로스틱(acrostic)이 있다. 아크로스틱은 각행의 첫 글자나 처음과 끝의 글자를 모으면 일정한 단어나 어구, 또는 시의 제목이나 사람의 이름이 되는 유희시를 말한다. 우리가 보통 자신의 이름을 소재로 많이 짓는 삼행시 같은 것도 여기에 속하며, 좌우 어느 쪽에서 읽어도 의미가 통하도록 되어 있는‘언어의 마방진’도 아크로스틱에 속한다.
두 번째로 언어유희 중에 회문이라는 것이 있다. 회문은 앞에서부터 읽거나 뒤에서부터 거꾸로 읽거나 같은 음, 같은 의미가 되는 어구 또는 문장을 말하며 펠린드롬(palindrome)이라고도 한다.
대표적인 예로써 ‘다시 합창 합시다’가 있다. 영어로 된 것도 상당수 있는데, \'Madam, I\'m Adam\',\'Live not evil\',\'Nane no one man\'등의 문장과 ‘eye\',level\'등이 그것이다.
세 번째로 어구속의 문자를 바꾸어 놓음으로써 새로운 뜻을 가진 어구를 만드는 놀이로 애너그램(anagram)이 있다.
예를 들어, ‘priest → stripe → sprite → ripest → esprit’가 애너그램이다.
네 번째로 음향시가 있는데, 우리나라 민요의 ‘메기는 소리’가 그에 속한다.
다섯 번째로 중의법 놀이라고 하는 것이 있는데, 동음이의를 이용한 말에 2 가지 뜻을 담기게 하는 작시법 또는 이를 이용한 말장난을 의미한다.
Ⅲ. 언어유희의 유형
1. 음운적 유형
음운적인 유형은 언어유희를 나누는 데 있어서 일차적으로 말소리의 유사성 또는 동음유음(類音)반복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 음운적인 유형의 말소리 유사성을 측정하는 데에는 국어 내에서의 음소체계를 전제로 두고 있다.
(1)가.a. 간장공장 공장장은 장공장장이고, 공공장 공장장은 공공장장이다.
b. 지붕 위의 콩깍지는 깐 콩깍지인가, 안 깐 콩깍지인가?
나. 삭톡끽 톡끽약 억딕록 각늑냑? 깍촉깍촉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