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목차
없음.
본문내용
족 중심의 유아특수교육은 가족의 참여를 전제로 한다.
장애아동의 아버지, 어머니, 그리고, 형제를 포함한 가족 구성원 전체는 장애아동의 교육에 효율적으로 참여하고, 학교와 협력적인 관계를 구축하며, 그들이 필요로 하는 지원이나 자원을 스스로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지식과 기술을 필요로 한다. 특히 장애아동의 가족이 전부 그러한 것은 아니지만 이들은 장애아동의 양육에 따른 여러 가지 심리적, 현실적 어려움과 독특한 요구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장애아동의 가족으로 하여금 장애아동의 교육에 효율적으로 참여하고, 그들 스스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어떤 형태로든 지원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인식하고 본교는 2001학년도부터 가족지원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학부모가 학교교육활동 전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함으로써 가정과 학교와의 협력관계를 구축 장애아동의 발달을 촉진시키고자 한다.
나. 목적
(1) 부모들이 자녀의 장애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지식을 갖게 한다.
(2) 자녀의 교육활동에 필요한 기술과 정보를 습득하도록 한다.
(3) 자녀의 바람직한 성정발달을 돕고, 올바른 부모의 역할을 수행하게 한다.
(4) 비장애 형제에 대한 심리적지지 및 가족 전체의 응집력과 결속력을 길러 준다.
(5) 가정과 학교, 지역사회와의 협력관계를 구축하여 전반적인 학교교육활동에 적극 지원하도 록 한다.
2. 운영방침
가. 학부모회를 조직하여 월례회 및 간담회를 실시한다.
나. 부모 교육(소망반)을 주 1회 운영한다.
다. 비장애 형제 모임(믿음반)을 월 1회 운영한다.
라. 아버지 모임(사랑방)을 월 1회 운영한다.
마. 졸업생들과의 연계방법을 모색한다.
3. 운영의 실제
가. 모임별 운영방법
(1) 학부모회 운영
(가) 학부모회를 조직하여 자율적으로 참여운영하도록 한다.
(나) 교장, 교감, 학부모회 임원 및 각 반 대의원이 매월 첫째 주 월요일에 학교교육 활동 전반에 걸친 내용을 협의하는 간담회를 실시한다.
(다) 학부모회는 매월 둘째 주 목요일에 월례회를 실시한다.
(2) 비장애 형제 모임(믿음반) 운영
(가) 본교 재학생, 졸업생의 비장애 형제(초등학교 2학년 이상)를 대상으로 한다.
(나) 매월 둘째 주 토요일 오후에 정기모임을 갖고 방학중에는 캠프를 실시한다.
(다) 본교 교사가 진행을 하고 수도교회 청년부의 지원을 받는다.
(3) 부모 교육모임(소망반) 운영
(가) 본교 아동의 어머니 또는 대리 양육자들(할아버지, 할머니 등)을 대상으로 한다.
(나) 세 가지 주제를 선정하고 세 그룹으로 나누어 주제별 7회씩 1년 동안 모두(21회) 이수하도록 한다.
(다) 주제는 ‘바람직한 부모의 역할과 자세’(교장), ‘가정에서 자녀와 함께 하는 놀이활 동’(교감), ‘신앙 안에서의 자녀교육’(수도교회 목사)으로 한다.
(라) 매주 금요일에 실시한다.
(마) ‘가정에서 할 수 있는 치료교육활동’(치료교사)에 관한 교육을 월 1회 실시한다.
(마) ‘학부모 참여를 통한 치료교육 활동’에 관한 참여수업을 월 1회 실시한다.
(바) 부모교육 교재를 만들어 적극적인 활동의 참여를 독려한다.
(사) 매주 금요일 담임교사와 학급별 협의시간을 통하여 한 주간의 교육활동 평가와 계획을 나누는 시간을 가진다.
(아) 타 기관에서 실시하는 교육프로그램에도 참여하도록 홍보한다.
(4) 아버지 모임(사랑방) 운영
(가) 본교 졸업생 및 재학생의 아버지들을 대상으로 한다.
(나) 매월 마지막주 일요일에 월례회를 실시한다.
(다) 아버지교실을 연 2회 운영한다.
(라) 홈페이지(Http://www.sudolove.sc.kr)를 통한 연계활동을 실시한다.
(마) 자율적으로 참여 운영하도록 한다.
(5) 졸업생 연계 활동
(가) 졸업생 기수별 대표모임을 분기별로 실시한다.
(나) 각종 행사시 초청한다.
(다) 연 2회 졸업생 초청의 날을 운영한다.
(라) 졸업생 진로 지도시 상담을 실시한다.
(6) 기타
(가) 외부강사를 초빙하여 방과후와 방학중 개별치료교육을 실시한다.(음악언어치료)
(나) 장애인 부모, 극빈가정에 치료교육비를 지원한다.
(다) ‘수도사랑가족큰잔치’(어린이날)-재학생졸업생 전 가족이 함께 하는 체육대회, ‘ 아빠와 함께 하는 캠프’(제헌절)를 실시하여, 아버지와 가족의 학교교육활동에 대 한 참여를 독려한다.
(라) 분기별로 소식지를 발행하여 졸업생, 재학생 가족과 학교간의 연계성을 유지한다.
(마) 학부모 대기실을 마련하여 학부모 상호간의 정보교류, 친목 도모 등 학교활동에 대한 관심과 참여도를 높인다.
(바) 여름학교를 실시하여 방학중 교육활동에 대한 효과를 높인다.
(사) 연1회 작품전시회를 개최하여 학부모의 참여와 더불어, 아동교육활동에 대한 결 과를 봄으로써 자부심과 결속력을 강화시킨다.
나. 운영의 실제
(1) 가족지원 프로그램 연간계획(2002학년도)
월
학부모회
믿 음 반
(비장애형제모임)
소 망 반
(부모교육모임)
사 랑 방
(아버지 모임)
졸업생 연계
3
학교 경영 안내
교육상담
(교육활동안내)
모둠별 모임
부모교육프로그램 1
월례회
4
월례회 간담회
다과회
영화관람토론
부모교육프로그램 1
치료교육강좌
월례회
강좌
기수별
대표 모임
5
월례회 간담회
일일교사 운영
유람선 타기
부모교육프로그램 1
치료교육강좌
월례회
정기총회
6
월례회 간담회
참관수업
다과회
요리활동
부모교육프로 그램 2
치료교육강좌
월례회
참관수업
수도사랑 가족
큰잔치 초청
7
8
월례회 간담회
교육상담
캠프
부모교육프로 그램 2
치료교육강좌
시설 방문
(교남어유지동산)
월례회
방학중 졸업생
초청의 날
9
월례회 간담회
교육상담
다과회
미술활동
부모교육프로 그램 2
치료교육강좌
월례회
강좌
기수별 대표 모임
10
월례회 간담회
특수학교(급)방문
진학상담
등산
부모교육프로그램 3
치료교육강좌
월례회
진로지도
작품전시회초청
재학생 학부모와의간담회
작품전시회초청
11
월례회 간담회
일일교사운영
다과회
영화관람
부모교육프로그램 3
치료교육강좌
월례회
12
월례회 간담회 평가
교육상담
방학중 캠프
부모교육프로그램 3
치료교육강좌
월례회
참관수업
기수별 대표 모임
2
평가
장애아동의 아버지, 어머니, 그리고, 형제를 포함한 가족 구성원 전체는 장애아동의 교육에 효율적으로 참여하고, 학교와 협력적인 관계를 구축하며, 그들이 필요로 하는 지원이나 자원을 스스로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지식과 기술을 필요로 한다. 특히 장애아동의 가족이 전부 그러한 것은 아니지만 이들은 장애아동의 양육에 따른 여러 가지 심리적, 현실적 어려움과 독특한 요구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장애아동의 가족으로 하여금 장애아동의 교육에 효율적으로 참여하고, 그들 스스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어떤 형태로든 지원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인식하고 본교는 2001학년도부터 가족지원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학부모가 학교교육활동 전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함으로써 가정과 학교와의 협력관계를 구축 장애아동의 발달을 촉진시키고자 한다.
나. 목적
(1) 부모들이 자녀의 장애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지식을 갖게 한다.
(2) 자녀의 교육활동에 필요한 기술과 정보를 습득하도록 한다.
(3) 자녀의 바람직한 성정발달을 돕고, 올바른 부모의 역할을 수행하게 한다.
(4) 비장애 형제에 대한 심리적지지 및 가족 전체의 응집력과 결속력을 길러 준다.
(5) 가정과 학교, 지역사회와의 협력관계를 구축하여 전반적인 학교교육활동에 적극 지원하도 록 한다.
2. 운영방침
가. 학부모회를 조직하여 월례회 및 간담회를 실시한다.
나. 부모 교육(소망반)을 주 1회 운영한다.
다. 비장애 형제 모임(믿음반)을 월 1회 운영한다.
라. 아버지 모임(사랑방)을 월 1회 운영한다.
마. 졸업생들과의 연계방법을 모색한다.
3. 운영의 실제
가. 모임별 운영방법
(1) 학부모회 운영
(가) 학부모회를 조직하여 자율적으로 참여운영하도록 한다.
(나) 교장, 교감, 학부모회 임원 및 각 반 대의원이 매월 첫째 주 월요일에 학교교육 활동 전반에 걸친 내용을 협의하는 간담회를 실시한다.
(다) 학부모회는 매월 둘째 주 목요일에 월례회를 실시한다.
(2) 비장애 형제 모임(믿음반) 운영
(가) 본교 재학생, 졸업생의 비장애 형제(초등학교 2학년 이상)를 대상으로 한다.
(나) 매월 둘째 주 토요일 오후에 정기모임을 갖고 방학중에는 캠프를 실시한다.
(다) 본교 교사가 진행을 하고 수도교회 청년부의 지원을 받는다.
(3) 부모 교육모임(소망반) 운영
(가) 본교 아동의 어머니 또는 대리 양육자들(할아버지, 할머니 등)을 대상으로 한다.
(나) 세 가지 주제를 선정하고 세 그룹으로 나누어 주제별 7회씩 1년 동안 모두(21회) 이수하도록 한다.
(다) 주제는 ‘바람직한 부모의 역할과 자세’(교장), ‘가정에서 자녀와 함께 하는 놀이활 동’(교감), ‘신앙 안에서의 자녀교육’(수도교회 목사)으로 한다.
(라) 매주 금요일에 실시한다.
(마) ‘가정에서 할 수 있는 치료교육활동’(치료교사)에 관한 교육을 월 1회 실시한다.
(마) ‘학부모 참여를 통한 치료교육 활동’에 관한 참여수업을 월 1회 실시한다.
(바) 부모교육 교재를 만들어 적극적인 활동의 참여를 독려한다.
(사) 매주 금요일 담임교사와 학급별 협의시간을 통하여 한 주간의 교육활동 평가와 계획을 나누는 시간을 가진다.
(아) 타 기관에서 실시하는 교육프로그램에도 참여하도록 홍보한다.
(4) 아버지 모임(사랑방) 운영
(가) 본교 졸업생 및 재학생의 아버지들을 대상으로 한다.
(나) 매월 마지막주 일요일에 월례회를 실시한다.
(다) 아버지교실을 연 2회 운영한다.
(라) 홈페이지(Http://www.sudolove.sc.kr)를 통한 연계활동을 실시한다.
(마) 자율적으로 참여 운영하도록 한다.
(5) 졸업생 연계 활동
(가) 졸업생 기수별 대표모임을 분기별로 실시한다.
(나) 각종 행사시 초청한다.
(다) 연 2회 졸업생 초청의 날을 운영한다.
(라) 졸업생 진로 지도시 상담을 실시한다.
(6) 기타
(가) 외부강사를 초빙하여 방과후와 방학중 개별치료교육을 실시한다.(음악언어치료)
(나) 장애인 부모, 극빈가정에 치료교육비를 지원한다.
(다) ‘수도사랑가족큰잔치’(어린이날)-재학생졸업생 전 가족이 함께 하는 체육대회, ‘ 아빠와 함께 하는 캠프’(제헌절)를 실시하여, 아버지와 가족의 학교교육활동에 대 한 참여를 독려한다.
(라) 분기별로 소식지를 발행하여 졸업생, 재학생 가족과 학교간의 연계성을 유지한다.
(마) 학부모 대기실을 마련하여 학부모 상호간의 정보교류, 친목 도모 등 학교활동에 대한 관심과 참여도를 높인다.
(바) 여름학교를 실시하여 방학중 교육활동에 대한 효과를 높인다.
(사) 연1회 작품전시회를 개최하여 학부모의 참여와 더불어, 아동교육활동에 대한 결 과를 봄으로써 자부심과 결속력을 강화시킨다.
나. 운영의 실제
(1) 가족지원 프로그램 연간계획(2002학년도)
월
학부모회
믿 음 반
(비장애형제모임)
소 망 반
(부모교육모임)
사 랑 방
(아버지 모임)
졸업생 연계
3
학교 경영 안내
교육상담
(교육활동안내)
모둠별 모임
부모교육프로그램 1
월례회
4
월례회 간담회
다과회
영화관람토론
부모교육프로그램 1
치료교육강좌
월례회
강좌
기수별
대표 모임
5
월례회 간담회
일일교사 운영
유람선 타기
부모교육프로그램 1
치료교육강좌
월례회
정기총회
6
월례회 간담회
참관수업
다과회
요리활동
부모교육프로 그램 2
치료교육강좌
월례회
참관수업
수도사랑 가족
큰잔치 초청
7
8
월례회 간담회
교육상담
캠프
부모교육프로 그램 2
치료교육강좌
시설 방문
(교남어유지동산)
월례회
방학중 졸업생
초청의 날
9
월례회 간담회
교육상담
다과회
미술활동
부모교육프로 그램 2
치료교육강좌
월례회
강좌
기수별 대표 모임
10
월례회 간담회
특수학교(급)방문
진학상담
등산
부모교육프로그램 3
치료교육강좌
월례회
진로지도
작품전시회초청
재학생 학부모와의간담회
작품전시회초청
11
월례회 간담회
일일교사운영
다과회
영화관람
부모교육프로그램 3
치료교육강좌
월례회
12
월례회 간담회 평가
교육상담
방학중 캠프
부모교육프로그램 3
치료교육강좌
월례회
참관수업
기수별 대표 모임
2
평가
키워드
추천자료
(장애인 복지) 장애아동의 복지 현황과 문제점 및 복지서비스 해결방안 - 복지기관 방문 보고...
발달장애아동 가족의 문제점 및 대책
장애 아동가족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정신장애 아동가족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유아교육 특수아교육]장애아동의 통합교육에 대한 이해, 장애아동과 통합교육의 개념과 필요...
장애아동(특수아동)과 가정(가족)의 역할, 문제 및 장애아동(특수아동)과 가정교육의 필요성,...
장애아동(특수아동)의 개념과 유형, 장애아동(특수아동)의 협력학습, 장애아동(특수아동)의 ...
학습장애아동 놀이중심학습(놀이중심교육) 어휘력과 독해력신장활동, 학습장애아동 놀이중심...
영화 ‘도가니’속의 장애아동을 보고 특수교육시설 및 장애인 생활시설내의 성폭력 문제를 해...
[사회복지] 장애아동 현황과 장애아동 정책 및 서비스 문제점과 개선방안 고찰
통합보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과 태도 - 장애아동 (목적, 필요성, 통합보육의 개념, 보육시설...
특수아상담_지적장애아동의 단기기억능력과 주의집중력 향상을 위한 구체적 지원 전략을 3가...
[최근 아동학대 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장애아동을 교육할 때 문제행동 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