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유아 듣기, 말학, 읽기, 쓰기 지도에 관련된 활동 조사하기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유아 듣기, 말학, 읽기, 쓰기 지도에 관련된 활동 조사하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적절한 교육 프로그램이라는 말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발달적으로 적절한 교육 프로그램이란 유아의 필요와 능력, 관심, 그리고 그들의 부모가 희망하는 이상적인 교육 결과까지도 배려한 프로그램이다. 교육 프로그램이 발달적으로 적절한 프로그램이 되기 위해서는 교수 활동이 ①유아의 관심과 흥미를 지속시킬 수 있어야 하고, ②유아가 탐색과 언어활동에 직접적인 참여를 할 수 있어야 하며, ③유아들이 직접 질문을 만들어내고 토의의 시간을 가질 수 있어야 하며, ④유아가 가지고 있는 정보, 기술, 수행을 연결하여 실제적으로 언어를 사용해 볼 수 있어야 하며, ⑤그들이 새로이 학습한 것을 실제로 수행해 보일 수 있는 기회를 가져야 하며, 그리고 ⑥유아가 이미 알고 있는 지식, 기술, 태도 등을 나타내 보일 수 있는 기회를 반드시 가져야 한다(Machado,1999).
이것은 DeVries와 Kohlberg(1987)가 효과적인 학습은 인식(awareness), 탐색(exploration), 탐구(inquiry), 그리고 활용(utilization)의 네 단계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고 주장한 것과 Holdway(1986)가 자연스러운 언어 학습은 시범(demonstration), 참여(participation), 연습(practice), 그리고 수행(performance)의 과정을 반드시 거쳐야 한다고 주장한 것과도 일치하는 것이어서 좋은 교수 활동은 교육의 목표나 내용, 그리고 인간의 발달적 특성, 교육의 효과성 그 모두가 일관성 있게 배려된 활동이라는 점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유아 언어 교수가 설정한 교육 목표의 특성, 발달적 특성, 교육의 효과성이라는 측면에 잘 부합하는 활동이 되기 위해서는 교사가 교수 활동을 할 때 반드시 적용해야 할 기본적인 원리들을 더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①계획된 혹은 계획되지 않은 모든 활동에 언어가 스며들도록 해야 한다.
②교실은 의사소통과 아이디어 교환이 충분히 일어날 수 있는 역동적인 분위기여야 한다.
③간접적인 경험보다는 직접적 경험이 더 선호되어야 한다.
④탐색과 발견이 함께 일어날 수 있도록 교사는 유아들을 유도해야 한다.
⑤교사의 교수 기법은 충분히 훈련되어 있어야 하고 유아의 관심과 흥미, 그리고 현재의 능력에 대해서 늘 민감해야 한다.
⑥사물, 사건, 그리고 경험을 교수 활동으로 연결시켜야 한다.
⑦집단 활동 뿐 아니라 개별적 활동도 계획해야 한다.
⑧교수 활동은 유아의 관심과 흥미를 끌 수 있어야 한다.
⑨교사는 교육 목표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이를 성취하기 위해 열심을 다해야 한다.
⑩유아의 경험을 언어 교수 활동으로 연결하는 통합적인 언어 접근법을 사용해야 한다.
이상의 원리들을 적용하여 교수 활동을 전개하려면 적어도 교사는 매우 열성적이고, 발견하는 것을 즐길 줄 알고, 따뜻한 인간관계를 가질 줄 알고, 다른 사람들을 기꺼이 지원할 줄 아는 반응적인 사람이어야 할 것이다. 다시 말하면, 교사는 유아가 성공할 수 있다는 믿음을 가지고 유아에게 ‘의미 있는 타자’(significant others)가 되어 주고, 유아가 선택하는 것을 허락하고, 유아의 실수를 너그럽게 받아들이는 사람이 되어야 할 것이다. 흔히, 유아의 언어 학습이 극대화되려면 교사와 유아의 관계가 평등하고, 서로 존중하고, 신뢰하고, 진정한 대화를 할 수 있어야 한다고들 말한다. 교사와 유아의 관계가 이렇게 될 때, 유아는 교사가 자신들의 이야기를 귀담아 들어주고, 그들의 아이디어를 귀하게 생각하고 그들과 진정한 대화하기를 원하고 있다는 것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교사가 계획한 모든 활동에 열심히 참여하게 되고, 그들이 가진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게 된다.
결국, 교사가 이상과 같은 역할을 다할 때 다음과 같은 교수 기능을 하게 된다. 첫째, 교사는 일상에서 언어 사용자로서의 시범을 유아들에게 보여 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무엇에 관하여 말을 하고, 그것들을 어떻게 말해야 하는지 자연스럽게 보여 주게 된다. 둘째, 유아들에게 다양한 경험들을 제공하게 된다. 유능한 교사라면 교실에서 일어나는 그리고 유아들이 경험하게 되는 많은 사건들은 교사가 미리 계획한 것들임에 틀림없다. 셋째, 교사는 유아들과 함께 서로 경험을 나누고 대화를 촉진하는 상호 작용 촉진자로서의 기능을 하게 된다. 이 세 기능은 유아의 수준과 개인적인 특성에 따라 약간씩 다르게 나타나기는 하지만 그 기능 면에서 크게 다르지는 않을 것이다.
언어 사용자로서의 시범은 반드시 ‘무엇을 어떻게 말해야 하는지’의 문제만은 아니다.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의 모든 행동들과 태도를 말한다. 이것은 결론을 끌어내고, 인과 관계를 추리하고, 계획을 세우고, 결과나 효과를 평가하는 사고의 양식까지 포함한다. 좋은 언어사용 시범자는 사물, 사건, 개념, 혹은 화자가 말하는 결론들을 서로 연결지어 생각해보는 습관을 가지고 있다. 많은 유아 교사들은 유아에게 말을 하고 질문을 할 때 유아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교사가 전하고자 하는 말의 의도가 무엇이며, 핵심적인 아이디어가 무엇인지 간결하게 설명하기 위해 노력한다. 이것은 교사와 유아간의 언어적 상호 교환에서 권장되어야 할 습관이다. 교사는 매우 분명하고 기술적인 언어를 적절한 속도와 어조로 이해하기 쉽게 말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훌륭한 언어사용의 시범은 분명하고 적절한 말 뿐 만 아니라 적절한 표정과 사랑과 이해와 애정과 행복과 기쁨까지 표현되어야 할 것이다. 교사가 말을 할 때 유아의 주의를 끄는 방법까지도 시범해 보여야 할 것이다.
교사가 유아들의 언어 발달의 촉진을 위해 제공할 수 있는 경험의 종류는 무한하다. 기억해야 할 가장 중요한 사실은 우리가 가르쳐야 할 유아 자신들이 가장 풍부하고 자연스러운 경험의 보고이며, 이들은 모두 100% 문식자(literate)로 변해갈 수 있다는 믿음을 가져야 한다는 사실이다. 교사는 그들 나름의 창의적인 능력을 발휘하여 설정한 교육 목표를 달성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경험들을 찾아내어 유아들에게 제공해야 할 것이다. 교사는 항상 유아들을 생각하면서 책, 다른 교사, 교수를 위한 잡지, 웍
  • 가격3,3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3.07.18
  • 저작시기2013.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18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