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우주기술개발의 요소
Ⅲ. 우주기술개발의 현황
1. 위성체 설계
1) 고해상도 전자광학카메라
2) 저해상도 카메라
3) 과학 측정 센서
4) 탑재체 데이터 전송시스템
5) 구조 및 열제어계
6) 자세제어계
7) 추진계
8) 전력계
9) 원격측정 명령계
2. 국내 제작부품
3. 위성체 시험
1) 인공위성 개발시험
2) 발사환경시험
3) 전자파 환경시험
4) 궤도환경시험
Ⅳ. 우주기술개발의 홍보전략
1.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우주개발사업에 대한 중장기 홍보전략
2.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자체를 대상으로 한 중장기 홍보전략
Ⅴ. 향후 우주기술개발의 정책방향
1. 기본방향
2. 부처간 역할분담 및 종합조정
3. 기술교류 촉진방안(연구소간 역할분담)
Ⅵ. 결론
참고문헌
Ⅱ. 우주기술개발의 요소
Ⅲ. 우주기술개발의 현황
1. 위성체 설계
1) 고해상도 전자광학카메라
2) 저해상도 카메라
3) 과학 측정 센서
4) 탑재체 데이터 전송시스템
5) 구조 및 열제어계
6) 자세제어계
7) 추진계
8) 전력계
9) 원격측정 명령계
2. 국내 제작부품
3. 위성체 시험
1) 인공위성 개발시험
2) 발사환경시험
3) 전자파 환경시험
4) 궤도환경시험
Ⅳ. 우주기술개발의 홍보전략
1.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우주개발사업에 대한 중장기 홍보전략
2.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자체를 대상으로 한 중장기 홍보전략
Ⅴ. 향후 우주기술개발의 정책방향
1. 기본방향
2. 부처간 역할분담 및 종합조정
3. 기술교류 촉진방안(연구소간 역할분담)
Ⅵ.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우주기술개발의 요소, 우주기술개발의 현황, 우주기술개발의 홍보전략, 향후 우주기술개발의 정책방향 분석
Ⅰ. 서론
Ⅱ. 우주기술개발의 요소
Ⅲ. 우주기술개발의 현황
1. 위성체 설계
1) 고해상도 전자광학카메라
2) 저해상도 카메라
3) 과학 측정 센서
4) 탑재체 데이터 전송시스템
5) 구조 및 열제어계
6) 자세제어계
7) 추진계
8) 전력계
9) 원격측정 명령계
2. 국내 제작부품
3. 위성체 시험
1) 인공위성 개발시험
2) 발사환경시험
3) 전자파 환경시험
4) 궤도환경시험
Ⅳ. 우주기술개발의 홍보전략
1.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우주개발사업에 대한 중장기 홍보전략
2.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자체를 대상으로 한 중장기 홍보전략
Ⅴ. 향후 우주기술개발의 정책방향
1. 기본방향
2. 부처간 역할분담 및 종합조정
3. 기술교류 촉진방안(연구소간 역할분담)
Ⅵ. 결론
참고문헌
Ⅰ. 서론
우리나라의 우주개발은 1992년 첫 위성인 우리별 1호를 우주로 발사함으로써 시작되었다. 그 이후 우리별 2, 3호와 무궁화 1, 2, 3호등이 차례로 발사되었다. 그리고 1999년 12월 21일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다목적실용위성인 아리랑1호가 성공적으로 발사되어 우리나라는 지난 9년 동안 7개의 위성을 보유 거의 매년 한 개씩의 위성을 발사한 것이 되어 세계적으로도 놀라울 정도로 보유위성수가 빨리 늘어나고 있는 나라로 발돋움하고 있다. 현재는 해상도 1m급의 아리랑 2호를 발사를 목표로 개발 중에 있다. 지금까지 매년 한 개 이상의 위성을 발사하는 나라는 전세계적으로 10개국 미만인 것이다.
장차 우주발사체 개발을 목표로 개발해온 과학 로켓도 93년에 1단형 고체추진제 로켓인 KSR-I을 2회 성공적으로 발사하였고 2단형 고체 추진제 과학로켓인 KSR-II의 시험 발사가 이루어졌다. 통신부분에 문제가 생겨 발사 28초 이후의 비행추적은 실패하였지만 목표지점까지의 비행은 성공적으로 이루어 졌다. 98년의 발사시험에서는 모든 부분에서 성공적인 비행을 하여 과학로켓 개발에 큰 진전을 이룩하였다. 현재는 97년 12월 시작된 국내 최초의 액체 추진제 과학 로켓인 KSR-III의 비행시험을 준비하고 있다. 국내에서 발사할 첫 우주발사체의 발사 장소인 우주센터를 전남 고흥군 외나라도로 최종 확정하여 본격적인 우주개발의 초석을 다졌다.
국제공동의 우주개발 참여를 위한 국제우주정거장건설의 참여도 미국 NASA와 본격적으로 협의되고 있으며 방송통신기상위성의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도 올 봄에 시작되었다.
과학기술부는 국가우주개발 중장기 계획을 확정하였다. 국가 과학기술 위원회에서 확정된 국가우주개발 중장기계획에 의하면 2015년까지 5조 2천870억 원을 투자하여 세계 10위 수준의 우주개발선진국으로 진입시킨다는 계획이다.
각 분야별 투자액은 위성체 분야에 2조4천400억 원, 우주발사체 분야에 1조 4천400억 원, 우주연구개발에 8천3백억 원, 국제협력사업에 5천700억 원이다.
우주발사체 분야를 살펴보면 우리의 우주로켓으로 100kg급의 과학위성을 우리의 우주센터에서 발사하여 우주클럽에 가입하고 2010년까지는 저궤도에 1톤급 위성을 발사할 수 있는 우주 발사체를 개발하며 2015년까지는 무게 1.5톤급 위성을 지구 저궤도에 발사할 수 있는 우주 발사체를 개발 국제위성발사서비스 시장에 진출할 계획이다.
인공위성분야도 2015년까지 20개의 위성을 개발할 계획이다. 20기의 인공위성 개발계획에는 1기의 통신방송기상위성과 7기의 과학위성(우리별3호 포함), 8기의 다목적실용위성, 4기의 무궁화 위성 등이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우주정거장 사업에 미국과 공동으로 참여하며 우주비행사를 양성 우주정거장에 탑승하는 계획과 국제 공동 행성탐사등도 추진하여 국내 우주산업을 발전시킬 계획이다.
Ⅱ. 우주기술개발의 요소
스프트
Ⅰ. 서론
Ⅱ. 우주기술개발의 요소
Ⅲ. 우주기술개발의 현황
1. 위성체 설계
1) 고해상도 전자광학카메라
2) 저해상도 카메라
3) 과학 측정 센서
4) 탑재체 데이터 전송시스템
5) 구조 및 열제어계
6) 자세제어계
7) 추진계
8) 전력계
9) 원격측정 명령계
2. 국내 제작부품
3. 위성체 시험
1) 인공위성 개발시험
2) 발사환경시험
3) 전자파 환경시험
4) 궤도환경시험
Ⅳ. 우주기술개발의 홍보전략
1.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우주개발사업에 대한 중장기 홍보전략
2.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자체를 대상으로 한 중장기 홍보전략
Ⅴ. 향후 우주기술개발의 정책방향
1. 기본방향
2. 부처간 역할분담 및 종합조정
3. 기술교류 촉진방안(연구소간 역할분담)
Ⅵ. 결론
참고문헌
Ⅰ. 서론
우리나라의 우주개발은 1992년 첫 위성인 우리별 1호를 우주로 발사함으로써 시작되었다. 그 이후 우리별 2, 3호와 무궁화 1, 2, 3호등이 차례로 발사되었다. 그리고 1999년 12월 21일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다목적실용위성인 아리랑1호가 성공적으로 발사되어 우리나라는 지난 9년 동안 7개의 위성을 보유 거의 매년 한 개씩의 위성을 발사한 것이 되어 세계적으로도 놀라울 정도로 보유위성수가 빨리 늘어나고 있는 나라로 발돋움하고 있다. 현재는 해상도 1m급의 아리랑 2호를 발사를 목표로 개발 중에 있다. 지금까지 매년 한 개 이상의 위성을 발사하는 나라는 전세계적으로 10개국 미만인 것이다.
장차 우주발사체 개발을 목표로 개발해온 과학 로켓도 93년에 1단형 고체추진제 로켓인 KSR-I을 2회 성공적으로 발사하였고 2단형 고체 추진제 과학로켓인 KSR-II의 시험 발사가 이루어졌다. 통신부분에 문제가 생겨 발사 28초 이후의 비행추적은 실패하였지만 목표지점까지의 비행은 성공적으로 이루어 졌다. 98년의 발사시험에서는 모든 부분에서 성공적인 비행을 하여 과학로켓 개발에 큰 진전을 이룩하였다. 현재는 97년 12월 시작된 국내 최초의 액체 추진제 과학 로켓인 KSR-III의 비행시험을 준비하고 있다. 국내에서 발사할 첫 우주발사체의 발사 장소인 우주센터를 전남 고흥군 외나라도로 최종 확정하여 본격적인 우주개발의 초석을 다졌다.
국제공동의 우주개발 참여를 위한 국제우주정거장건설의 참여도 미국 NASA와 본격적으로 협의되고 있으며 방송통신기상위성의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도 올 봄에 시작되었다.
과학기술부는 국가우주개발 중장기 계획을 확정하였다. 국가 과학기술 위원회에서 확정된 국가우주개발 중장기계획에 의하면 2015년까지 5조 2천870억 원을 투자하여 세계 10위 수준의 우주개발선진국으로 진입시킨다는 계획이다.
각 분야별 투자액은 위성체 분야에 2조4천400억 원, 우주발사체 분야에 1조 4천400억 원, 우주연구개발에 8천3백억 원, 국제협력사업에 5천700억 원이다.
우주발사체 분야를 살펴보면 우리의 우주로켓으로 100kg급의 과학위성을 우리의 우주센터에서 발사하여 우주클럽에 가입하고 2010년까지는 저궤도에 1톤급 위성을 발사할 수 있는 우주 발사체를 개발하며 2015년까지는 무게 1.5톤급 위성을 지구 저궤도에 발사할 수 있는 우주 발사체를 개발 국제위성발사서비스 시장에 진출할 계획이다.
인공위성분야도 2015년까지 20개의 위성을 개발할 계획이다. 20기의 인공위성 개발계획에는 1기의 통신방송기상위성과 7기의 과학위성(우리별3호 포함), 8기의 다목적실용위성, 4기의 무궁화 위성 등이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우주정거장 사업에 미국과 공동으로 참여하며 우주비행사를 양성 우주정거장에 탑승하는 계획과 국제 공동 행성탐사등도 추진하여 국내 우주산업을 발전시킬 계획이다.
Ⅱ. 우주기술개발의 요소
스프트
추천자료
우주경제와 개발
[블루투스][블루투스기술][블루투스활용][블루투스개발][SIG]블루투스의 정의, 블루투스의 유...
과학영재(과학기술영재)의 정의, 특징, 판별, 과학영재교육(과학기술영재교육)의 필요성과 실...
[3DTV] 3DTV 집중 보고서 - 3DTV의 개념 및 구현 원리와 방식, 3DTV 시장 전망 및 기술 개발 ...
[환경기술][환경기술 역사][환경기술 수준][환경기술 동향][환경기술 개발방향]환경기술의 의...
[북한 과학기술][주체과학기술]북한 과학기술의 전문연구기관, 북한 과학기술의 협력, 북한 ...
[과학기술][과학기술정보][과학기술인력][과학기술 관련 제언]과학기술의 외부경제성, 과학기...
[스마트카]차세대 자동차 스마트카의 정의와 특징 및 장단점, 스마트카 기술 개발 동향 및 서...
[정보기술정책, IT정책]정보기술정책(IT정책)과 정책평가요소, 기술이전정책, 정보기술정책(I...
[정보통신기술(ICT)]정보통신기술(ICT)과 정보격차, 정보공유, 정보통신기술(ICT)과 정보유통...
[중소기업][기술혁신][기업][기술][혁신][중소기업 기술혁신 모형][기술혁신 개발사업]중소기...
[조직체행동개발] 조직구조적 행동개발(직무 재설계(job redesign), 목표관리 조직개발, 사회...
[중소기업 지원사업][신제품개발지원사업][기술지원사업]중소기업 자금지원사업, 중소기업 기...
정부정책론- 경제성장성책,성장정책의 필요성,인적 및 물적 자본형성과 경제성장,기술진보와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