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고려문화재와 경남지역
Ⅲ. 고려문화재와 부석사 무량수전
Ⅳ. 고려문화재와 고려청자(상감청자)
Ⅴ. 고려문화재와 팔만대장경
Ⅵ. 결론
참고문헌
Ⅱ. 고려문화재와 경남지역
Ⅲ. 고려문화재와 부석사 무량수전
Ⅳ. 고려문화재와 고려청자(상감청자)
Ⅴ. 고려문화재와 팔만대장경
Ⅵ.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 문화에 대한 요구는 장인들의 손길에서 고려청자의 미가 구현되었다. 고려청자를 바로 장인들의 숨결과 눈길로 바라볼 때 그 가치가 나타나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따라서 고려청자를 만든 장인의 입장이 되어 고려청자를 만들어보는 체험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다.
Ⅴ. 고려문화재와 팔만대장경
고려 고종 때 대장도감을 설치하여 16년 만에 완성한 이 대장경판은 세계문화사에서 한국문화의 우수성을 과시할 수 있는 우리의 소중한 문화유산이다.
고려시대에 판각되었기 때문에 고려대장경이라고 불려지는 이 장경은 그 매수가 8만 여 판에 달하고 8만 4천 법문을 수록하였기 때문에 팔만대장경이라고도 한다. 몽고의 침입을 불교의 힘으로 물리치고자 하는 염원에서 만들어진 이 대장경판은 오자 한자 없는 완벽을 기하여 새겨졌다.
이 고려대장경은 거제도 등지에서 잘 자라는 자작나무로 만들었는데 이 나무를 벌채하여 3년 동안 바닷물에 담갔다가 꺼내어 조각을 내고 다시 소금물에 삶은 뒤 그늘에서 말렸다.
대패질을 해서 면을 고르게 한 뒤에는 경문을 붓으로 쓰고 , 그에 따라 새겼던 것이다. 경판의 양 끝에는 각목으로 붙여 뒤틀리는 일이 없도록 하였고 전체 판 위에다 가볍게 옻칠을 하고 네 귀퉁이에는 동으로 장식을 달았다.
수많은 글자를 완벽하리만큼 고르게 새겨 마치 한 사람의 솜씨처럼 보일 만큼 글자의 조형성과 예술성이 뛰어나다. 또한 대장경을 보관하고 있는 장경판고는 조선 초기에 만들어진 해인사의 현존 건물 중 가장 오래된 寶庫로 북쪽의 법보전, 남쪽의 수다라전, 그리고 이 두 건물을 잇는 작은 두 동의 건물을 합쳐 모두 네 동으로 되어있다.
이 건물은 특히 대장경을 보관하는 데에 필수조건인 습도와 통풍이 자연적으로 잘 조절되었다는 점이다. 자동적으로 습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땅에 숯과 횟가루, 찰흙 등을 넣어 다졌는가 하면 판전의 창문도 통풍이 잘 되도록 아주 과학적인 방법으로 만들어져 판본 보존창고로는 아주 이상적인 건물이라고 할 수 있다
Ⅵ. 결론
고려시대에서는 그 사회적 변천에 따라서 그 역사계승인식도 변천 · 발달 · 확대되어왔음을 알 수 있다. 우선 고구려의 건국에서 후삼국의 통일 이전까지는 고려는 고구려를 계승한 왕조임을 표방하였으나, 후삼국을 통일하자 그 사정이 달라졌다. 그리하여 후삼국의 통일이후 무신정권의 성립까지는 국내 실제문제에 있어서는 신라의 계승왕조라는 의식을 가지게 되었던 것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무인정권의 성립으로 고려는 커다란 사회적 변동을 겪게 된다. 그때까지 고려사회의 지배적 위치에 있었던 신라세력이 몰락 해버린 것이다. 이처럼 고려시대에서는 고려의 건국에서 무인정권시대까지는 삼국 중 어느 특정한 왕조의 계승자라는 역사의식을 가졌을 뿐, 삼국 이전으로 그 역사의식을 확대시키지 못한 한계성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원의 간섭을 받게 되면서, 한국사에 대한 역사의식이 크게 발전 · 확대되어갔음을 주목하여 보았다. 이와 같이 성장한 민족의식은 뒤에 조선 초기에 개화되는 민족문화의 밑거름이 되었다는 점에서 그 역사적 의의를 찾을 수도 있다.
참고문헌
김준우 외 1명, 입지특성을 고려한 문화재 주변지역 관리방안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2005
문화재청 유형문화재과, (문화재대관)국보 전적 : 삼국·고려시대, 문화재청, 2009
배찬노, 고려시대의 목판화와 그 실용 : 팔만대장경과 한·일 목판화를 중심으로, 경성대학교, 2005
박혜상, 한국 근대기 고려청자의 미술품 인식 형성과 확산, 이화여자대학교, 2010
새얼문화재단 외 1명, 고려 팔만대장경과 강화도, 새얼문화재단, 2001
이적수, 부석사 무량수전-고려 건축 양식의 보고, 한국건설산업연구원, 2009
Ⅴ. 고려문화재와 팔만대장경
고려 고종 때 대장도감을 설치하여 16년 만에 완성한 이 대장경판은 세계문화사에서 한국문화의 우수성을 과시할 수 있는 우리의 소중한 문화유산이다.
고려시대에 판각되었기 때문에 고려대장경이라고 불려지는 이 장경은 그 매수가 8만 여 판에 달하고 8만 4천 법문을 수록하였기 때문에 팔만대장경이라고도 한다. 몽고의 침입을 불교의 힘으로 물리치고자 하는 염원에서 만들어진 이 대장경판은 오자 한자 없는 완벽을 기하여 새겨졌다.
이 고려대장경은 거제도 등지에서 잘 자라는 자작나무로 만들었는데 이 나무를 벌채하여 3년 동안 바닷물에 담갔다가 꺼내어 조각을 내고 다시 소금물에 삶은 뒤 그늘에서 말렸다.
대패질을 해서 면을 고르게 한 뒤에는 경문을 붓으로 쓰고 , 그에 따라 새겼던 것이다. 경판의 양 끝에는 각목으로 붙여 뒤틀리는 일이 없도록 하였고 전체 판 위에다 가볍게 옻칠을 하고 네 귀퉁이에는 동으로 장식을 달았다.
수많은 글자를 완벽하리만큼 고르게 새겨 마치 한 사람의 솜씨처럼 보일 만큼 글자의 조형성과 예술성이 뛰어나다. 또한 대장경을 보관하고 있는 장경판고는 조선 초기에 만들어진 해인사의 현존 건물 중 가장 오래된 寶庫로 북쪽의 법보전, 남쪽의 수다라전, 그리고 이 두 건물을 잇는 작은 두 동의 건물을 합쳐 모두 네 동으로 되어있다.
이 건물은 특히 대장경을 보관하는 데에 필수조건인 습도와 통풍이 자연적으로 잘 조절되었다는 점이다. 자동적으로 습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땅에 숯과 횟가루, 찰흙 등을 넣어 다졌는가 하면 판전의 창문도 통풍이 잘 되도록 아주 과학적인 방법으로 만들어져 판본 보존창고로는 아주 이상적인 건물이라고 할 수 있다
Ⅵ. 결론
고려시대에서는 그 사회적 변천에 따라서 그 역사계승인식도 변천 · 발달 · 확대되어왔음을 알 수 있다. 우선 고구려의 건국에서 후삼국의 통일 이전까지는 고려는 고구려를 계승한 왕조임을 표방하였으나, 후삼국을 통일하자 그 사정이 달라졌다. 그리하여 후삼국의 통일이후 무신정권의 성립까지는 국내 실제문제에 있어서는 신라의 계승왕조라는 의식을 가지게 되었던 것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무인정권의 성립으로 고려는 커다란 사회적 변동을 겪게 된다. 그때까지 고려사회의 지배적 위치에 있었던 신라세력이 몰락 해버린 것이다. 이처럼 고려시대에서는 고려의 건국에서 무인정권시대까지는 삼국 중 어느 특정한 왕조의 계승자라는 역사의식을 가졌을 뿐, 삼국 이전으로 그 역사의식을 확대시키지 못한 한계성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원의 간섭을 받게 되면서, 한국사에 대한 역사의식이 크게 발전 · 확대되어갔음을 주목하여 보았다. 이와 같이 성장한 민족의식은 뒤에 조선 초기에 개화되는 민족문화의 밑거름이 되었다는 점에서 그 역사적 의의를 찾을 수도 있다.
참고문헌
김준우 외 1명, 입지특성을 고려한 문화재 주변지역 관리방안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2005
문화재청 유형문화재과, (문화재대관)국보 전적 : 삼국·고려시대, 문화재청, 2009
배찬노, 고려시대의 목판화와 그 실용 : 팔만대장경과 한·일 목판화를 중심으로, 경성대학교, 2005
박혜상, 한국 근대기 고려청자의 미술품 인식 형성과 확산, 이화여자대학교, 2010
새얼문화재단 외 1명, 고려 팔만대장경과 강화도, 새얼문화재단, 2001
이적수, 부석사 무량수전-고려 건축 양식의 보고, 한국건설산업연구원, 2009
추천자료
- (지역사회 복지론) 지역사회의 개념
- 용도 지역 제도인 지역, 지구, 구역제에 대해서
- 일본에서 지역연구의 변화와 정치학적 지역연구의 연구경향
- [지역 사회 교육론]나·눔 학습동아리 지역 사회 프로그램 기획 ,만들기
- 한 지역의 평생교육 사례를 소계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를 구체적으로 서술
- [지역사회복지관] 지역사회복지관의 기능과 역할 및 개선방안
- 참여정부 지역발전정책 패러다임의 평가: 지역혁신체제 이론을 중심으로
- [지역사회복지론]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에 대하여 각 학자들의 주장을 비교하여 제출하시오.
- [지역사회영양학]우리나라의 건강증진을 위하여 보건영양정책과 보건소에서 실시되는 생애주...
- [지역사회복지론] 지역사회복지계획을 함에 있어 주민참여가 어려운 이유, 내가 참여할 수 ...
- [지역개발론 2공통] 지역정책이란 왜 필요한지 그리고 어떤 목표를 지향하고 있는지 논의해 ...
- ★ 지역사회복지론 - 지역사회 내 충족되지 않은 욕구와 문제점에 대해 본인이 생각하는 해결...
- [지역사회복지론] 사회체계이론과 생태학이론에 대해 정리하고, 지역사회복지 실천에 미치는...
- 우리나라의 지역사회보장계획의 배경에 대해서 논하시오 - 지역사회보장계획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