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작기계][공작기계산업][CNC공작기계]공작기계의 정의와 본질, 공작기계의 종류와 기능, 공작기계의 특징, 공작기계와 공작기계산업, 공작기계와 CNC공작기계(컴퓨터를 이용한 수치제어 공작기계)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공작기계][공작기계산업][CNC공작기계]공작기계의 정의와 본질, 공작기계의 종류와 기능, 공작기계의 특징, 공작기계와 공작기계산업, 공작기계와 CNC공작기계(컴퓨터를 이용한 수치제어 공작기계)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공작기계의 정의와 본질
1. 공작기계의 본질
2. 공작기계의 정의

Ⅲ. 공작기계의 종류와 기능
1. 선반(旋盤)
1) 보통선반
2) 터릿선반
2. 드릴링 머신(Drilling machine)
1) 휴대용 drill
2) 수조절(手調節) 드릴링 머신
3) 직립(直立) 드릴링 머신
4) radial 드릴링 머신
3. 보링 머신(Boring machine)
1) 수평 보링 머신
2) Jig 보링 머신
3) 정밀 보링 머신
4) 수직 보링 머신
5) 직립 turret선반(turret직립 보링 머신)

Ⅳ. 공작기계의 특징

Ⅴ. 공작기계와 공작기계산업
1. 공작기계산업의 특성
1) 공작기계는『기계를 만드는 기계(Mother Machine)』로서 자본재산업의 핵심
2) 국가전략산업으로 공급수준에 따라 산업의 기술력과 경쟁력의 척도가 됨
3) 규격, 품질, 성능이 다양한 기술집약산업으로 기술축척에 장기간이 소요
4) 경기변동에 민감한 산업임
2. 공작기계산업의 현황
1) 세계 공작기계 생산 추이
2) 국가별 생산현황

Ⅵ. 공작기계와 CNC공작기계(컴퓨터를 이용한 수치제어 공작기계)
1. 실험 목적 및 개요
2. 기초이론
1) NC
2) CNC
3. 실험 방법 및 실습 순서

참고문헌

본문내용

축을 회전시키고 심압대의 handle을 돌려 이송을 주는 방법과 drill을 고정 한 drill chuck을 심압대의 taper구멍에 끼우며 주축을 회전 시키고 심압대에서 이송을 주는 방법에 의하여 구멍뚫기 작 업을 행할 수 있다. 같은 방법으로 reaming도 할 수 있다.
2) 터릿선반
공구대(tool post)에 작업순서에 따라 공구를 설치하여 표면절삭, 가로절삭, drilling, 나사절삭 등의 작업을 일괄적으로 할 수 있는 선반이다.
주축의 방향에 따라 수평 터릿선반, ram형 터릿선반, saddle형 터릿선반, 직립 터릿선반으로 분류된다.
a) ram형 터릿선반
회전공구대는 saddle상에서 왕복이동을 하는 안내, 즉 ram에 설치되어 있다. saddle의 이동은 bed상에서 이루어진다. 봉재와 가벼운 공작물의 가공에 적합하다.
b) saddle형 터릿선반
회전공구대가 직접 saddle 상에 설치되어 ram형에 비하여 공구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 할 수 있으며, 큰 공작물 가공에 적합하다.
2. 드릴링 머신(Drilling machine)
1) 휴대용 drill
항상 휴대할 수 있으며, 어느 각도에서도 구멍을 뚫을 수 있다.
2) 수조절(手調節) 드릴링 머신
이송(feed)을 인력으로 하는 소형의 belt전동식 드릴링 머신이다. spindle의 외부 sleve위에 있는 rack를 pinion으로 상하이동시키며, 보통 drill의 치수는 15mm이하이다.
3) 직립(直立) 드릴링 머신
수조절 드릴링 머신과 구조는 같으나, 다만 이송을 자동으로 할 수 있다는 차이가 있다.
머신의 일종으로서 [A→B→C→D→E]의 순서로 이송동력이 전달되어 worm gear F를 회전시켜 F의 축상에 있는 pinion이 spindle sleeve의 rack를 하향시킨다.
4) radial 드릴링 머신
대형의 공작물에 여러 개의 구멍을 뚫을 때 공작물을 이동시키지 않고 arm을 vertical colunm주위에 회전시키고 drilling head가 arm상에서 이동시켜 작업할 수 있는 공작기계이다. radial 드릴링 머신중 에서 drilling gead가 arm상에서 직선운동만 되는 것을 보통식(plain type) 이라 하고, 직선운동과 회전운동을 동시에 할 수 있는 것을 만능식(universal type)이라 한다.
3. 보링 머신(Boring machine)
boring은 drilling 또는 주조(casting)등에서 이미 뚫린 구멍을 확대하거나 내부를 완성 가공하는 작업이다. boring의 원리는 선삭과 같으나 boring machine은 공작물이 커서 회전시키면 편심될 염려가 있든가, 형상이 회전하기에 곤란한 공작물의 가공에 이용된다.
1) 수평 보링 머신
수평 보링 머신은 수평인 주축을 갖고 있으며, 2개의 column사이에 세로 방향으로 움직이는 saddle과 가로 방향으로 움직이는 table, 상하 및 좌우로 움직이는 주축대(headstock), boring bar를 지지하는 column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평 보링 머신은 다음과 같이 분류 할 수 있다.
a) table형-saddle면상에서 table이 spindle과 평행 및 직각으로 이동한 다. boring이외의 일반가공에 사용된다.
b) planer형-table형과 비슷하나 saddle이 없고 길이 방향의 이송은 bed상의 안내에 따라 column이 이동하여 이루어진다. 중량이 큰공작물에 사용된다. 수평 planer형 보링 머신의 block diagram이다.
c) floor형-공작물을 T홈이 있는 floor plate에 고정하고 주축대는 column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며, column은 bedt상을 따라 이동한다. 공작물이 커서 table형에서 가공하기 어려운 것을 가공할 때 사용되며, 수평 floor형 보링 머신의 block diagram이다.
2) Jig 보링 머신
drilling에서 정확하지 못한 구멍가공, 각종 jig의 제작, 기타 정밀한 구멍가공을 위한 전문기계로서 제품의 허용오차는 ±0.002~0.005mm정도 이다. table과 주축대의 위치를 정하기 위하여 나사식 측정장치, 표집봉 gauge, dial gauge, 현미경에 의한 광학적 측정장치 등을 갖추고 있다. jig 보링 머신에는 쌍주형(雙柱形)과 단주형(單柱形)이 있으며, 단주형 jig 보링 머신의 일종이다.
3) 정밀 보링 머신
회전속도가 크고 feed의 정밀도가 높은 기구를 갖고 있으며, bite재료는 초경합금 또는 diamond를 사용한다. spindle bearing과 공구와의 위치 관계가 일정하므로 진원도(眞圓度)및 진직도(眞直度)등이 높다.
4) 수직 보링 머신
spindle이 수직으로 위치하고 있으며, 공구의 위치는 cross rail과 cross rail상의 tool head에 의하여 조절된다. 공구는 선삭 및 평삭의 것과 같은 형상의 것이며, 공작물을 고정한 table이 회전운동을 하여 boring,수평면가공 및 수직선삭 등을 할 수 있다.
5) 직립 turret선반(turret직립 보링 머신)
turret선반의 주축대를 수직축상에 수평으로 위치시키고 cross rail이 상하로, turret head가 cross rail상에서 이동하여 공작물을 고정한 table이 회전하도록 되어 있는 공작기계이다. 이 공작기계는 길이가 짧고 지름이 크며 중량이 큰 가공물의 가공에 적합하다.
Ⅳ. 공작기계의 특징
협의적인 가공을 행함에 있어서는 최 단시간에 최소의 비용으로 정확한 제품을 얻는데 있다. 여기서 정확한 제품이란 모양, 치수, 가공면에 대한 정밀도 즉, 공작 정밀도가 정해진 조건에 일치한 제품으로서 반드시 이것들의 정밀도가 가장 우수해야 한다는 뜻은 아니다. 가공은 손으로도 할 수 있으며 이 가공을 손 다듬질이라고 하고, 가공량이 클 때 어느 정도 이하의 공작이라도 만족할 때에는 공작기계로 하는 쪽이 시간과 비용이 절약되므로 경제적일 것이다. 공작 기계에 의한 가공을 기계가공 혹은 기계공작 이라고 하고, 손으로 하는 가공을 다듬질 이라 하여 구별한다. 공작기계의 정밀도가 높게 된 오늘날에 있어서는 이른바 갈아
  • 가격6,5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3.07.20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33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